[甘遂散][감수산]
治耳聾.
甘遂末.
葱汁和丸, 綿裹塞耳中, 口含甘草湯. 兩藥須各兩處修製, 妙[入門].
이롱증을 치료한다.
감수가루.
감수가루를 파즙으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귀를 틀어막고 입에는 감초 달인 물을 머금고 있는다.
감수와 감초는 반드시 각각 다른 곳에서 만들어야 좋다(입문).

[甘遂散][감수산]
治五種癲癎, 及婦人心風血迷神效.
甘遂末一錢, 以猪心血和勻, 將猪心批作兩片, 入在內再合, 以線札縛,

皮紙包濕, 慢火煨熟, 取藥出硏細, 入辰砂水飛末一錢, 和勻分作四丸.

每一丸, 將所煨猪心煎湯化下. 如大便下惡物卽止, 不效再服一丸[得效].
다섯 가지의 전간과 부인이 심풍(心風)으로 혈(血)이 어지러이 막힌 것을 잘 치료한다.
감수가루 한 돈을 돼지 심장의 피와 잘 섞어 돼지 심장을 반으로 쪼개

그 안에 넣은 다음 다시 실로 단단히 묶는다.
이것을 피지로 싸서 물을 축여 약한 잿불에 묻어 구워 잘 익힌 뒤

약을 꺼내어 곱게 간 다음 진사(수비한 것) 한 돈을 넣는다.
위의 약들을 잘 섞어 네 알을 만든다.
약을 만들 때 잿불에 묻어 구웠던 돼지 심장을 달인 물에 한 알씩 녹여 먹는다.
대변으로 나쁜 것이 나오면 그만 먹고, 효과가 없으면 다시 한 알을 먹는다(득효).

[甘遂散][감수산]
治大小便不通.
赤皮甘遂 二兩, 煉蜜 二合.
和勻, 每一兩分四服, 日進一服, 蜜水調下[得效].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감수(껍질이 붉은 것) 두 냥, 꿀(졸인 것) 두 홉.
위의 약들을 골고루 섞어 한 냥을 4번에 나누어 먹는데,

하루에 한 번씩 꿀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蝎散][강길산]  (0) 2018.12.15
[疳濕散][감습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