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木香元][청목향원]
治寒疝, 及膀胱疝氣, 腫氣.
黑丑 頭末 三兩,
破故紙, 蓽澄茄, 檳榔 各二兩,
靑木香 一兩.
右爲末, 水丸梧子大, 空心鹽湯, 下五十丸[入門].
한산 및 방광산기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흑축(두말한 것) 석 냥,
파고지, 필징가, 빈랑 각 두 냥,
청목향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쉰 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一法, 靑木香元二百粒, 斑猫七箇, 同炒, 令微香,

以磁器盖之, 候冷去猫, 每五十丸, 茴香酒呑下.
盖疝屬肝, 故借猫以治風[入門].
다른 방법으로 청목향원 이백 알과 반묘 일곱 개를 함께 타서

조금 냄새가 날 정도로 볶아서 사기그릇에 넣고 뚜껑을 덮어 식힌 다음

반묘를 빼내고 한 번에 쉰 알씩 회향으로 담근 술로 먹는다.
산병은 간에 속하므로 반묘의 기를 빌려서 풍을 다스리는 것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豉元][초시원]   (0) 2019.01.06
[靑娥元][청아원]  (0) 2019.01.06
[鐵彈元][철탄원]   (0) 2019.01.06
[天眞元][천진원]  (0) 2019.01.06
[天柱元][천주원]  (0) 2019.01.06

[鐵彈元][철탄원]
治中風喎斜 癱瘓 涎潮 語澁 筋攣 骨痛應是風疾無不治之
五靈脂8g, 川烏炮40g,
乳香 沒藥 各20g, 麝香4g
爲末 滴水和 丸彈子大 每1丸 薄荷酒 化下(局方).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며
거품침을 흘리고 말을 잘 하지 못하며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마디가 아픈 것과 여러 가지 풍병을 다 치료한다.
오령지 80g,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40g, 유향, 몰약 각각 2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술에 풀어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娥元][청아원]  (0) 2019.01.06
[靑木香元][청목향원]  (0) 2019.01.06
[天眞元][천진원]  (0) 2019.01.06
[天柱元][천주원]  (0) 2019.01.06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0) 2019.01.06

[天眞元][천진원]
治 內傷 脾腎俱虛 飮食不進 津液枯渴 形容羸瘁
肉蓯蓉 山藥(生者) 天門冬 各375g, 當歸450g,
爲末,精羊肉4.2k批開入藥 在內裹定扎縛 入糯米酒4甁中
煮令酒乾 再入水2升 又煮候肉爛如泥 乃入黃芪末187.5g
人蔘末112.5g 白朮末75g,熟糯米飯焙末375g
拌勻 同擣作丸梧子大 每服100丸 日三次 一日,
約服300丸,藥難作丸 則入蒸餠同擣爲丸 溫酒
或塩湯送下(得效).
내상(內傷)으로 비(脾)와 신(腎)이 다 허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며 진액이 고갈되고 몸이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육종용, 마(산약, 생것), 천문동 각각 380g, 당귀 460g.
위의 4가지 약을 가루낸다.
양고기(4, 200kg짜리)를 쪼개고 그 속에 약가루를 넣고 동여맨 다음
찹쌀술 4병을 부어 술이 다 줄 때까지 달인다.
여기에 또 물 2되를 붓고 끓여 고기를 푹 진무르게 달인 다음
단너삼가루(黃 末) 200g, 인삼가루 120g, 흰삽주가루(白朮末) 80g,
찹쌀로 지은 밥을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를 낸 것 380g을 넣어
반죽한 후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하루 3번 먹되 하루동안에 약 300알씩 먹는다.
만약 알약을 만들기 어려울 때에는 증병(蒸餠)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曾脫血肌瘦 絶不入食 行步不得 手足痿弱 血氣乾槁
形神不足 如滑腸不食 守死無法.
可治者 如咽喉窄下食不得,
只能5~7粒漸漸服之,
粒數多則便可養起,
久服 令人面色紅潤 滋血生津液,
大便乾燥者 服之者潤(得效)
이미 피를 많이 흘려서 몸이 여위고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여 걷지 못하며
손발이 느른하고 약하며 혈기가 마르고 몸과 정신도 약하며 설사하고 먹지 못하여
치료할 도리가 없어 죽기를 기다리는 사람이나 목구멍이 좁아져서 음식을
넘기기 어려우면 다만 5-7알로부터 점차 알수를 늘여 많이 먹게 되면 병이 낫는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얼굴빛이 붉어지고 윤기가 나며 피를 불쿠어 주고
진액(津液)을 생기게 한다.
대변이 굳은 데 먹으면 자연히 잘 나간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木香元][청목향원]  (0) 2019.01.06
[鐵彈元][철탄원]   (0) 2019.01.06
[天柱元][천주원]  (0) 2019.01.06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0) 2019.01.06
[眞珠母元][진주모원]  (0) 2019.01.06

[天柱元][천주원]
治項軟.
蛇含石 一大塊 火煅醋淬七次, 鬱金 末 少許.
右硏細, 入麝香少許. 飯丸芡實大, 每一丸, 荊芥湯, 入薑汁二三點, 化下[得效].
항연을 치료한다.
사함석 큰 덩어리 한 개(불에 달구어 식초에 일곱 번 담금질한다),
울금(가루낸 것) 조금.
위의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사향을 조금 넣고 밥으로 반죽하여 감실대의 알약을 만든다.
한 알씩 생강즙 두세 방울을 넣은 형개 달인 물에 녹여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鐵彈元][철탄원]   (0) 2019.01.06
[天眞元][천진원]  (0) 2019.01.06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0) 2019.01.06
[眞珠母元][진주모원]  (0) 2019.01.06
[辰砂元][진사원]   (0) 2019.01.06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治脾胃虛寒 氣弱 不能消化飮食 又療膈噎 反胃.
枳實 陳皮 麥芽 三稜 蓬朮 茴香 白薑 肉豆簆 縮砂 白茯苓 良薑 益智 胡椒
木香 藿香 薏苡仁 紅豆 白朮 丁香 山藥 白扁豆 桔梗 人參 神麯 甘草 各等分
爲末 調和煉蜜 丸彈子大 細嚼 白湯 溫酒 任下(局方).
비위가 허하고 차며[寒] 위기가 약하여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과
열격( 膈), 반위(反胃)도 치료한다.
지실,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삼릉, 봉출, 회향, 건강, 육두구, 사인,
흰솔풍령(백복령), 양강, 익지인, 후추, 목향, 곽향, 율무쌀(의이인), 홍두,
흰삽주(백출), 정향, 마(산약), 까치콩(백편두), 도라지(길경), 인삼,
약누룩(신국),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잘 씹어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眞元][천진원]  (0) 2019.01.06
[天柱元][천주원]  (0) 2019.01.06
[眞珠母元][진주모원]  (0) 2019.01.06
[辰砂元][진사원]   (0) 2019.01.06
[地黃元][지황원]   (0) 2019.01.06

[眞珠母元][진주모원]
治 神魂不寧 驚悸不得睡
眞珠母30g,

熟地黃, 當歸 各60g
人參, 酸棗仁炒, 栢子仁, 犀角, 白茯神 各40g
沈香, 龍齒 各20g
爲末 蜜丸梧子大 朱砂爲衣,
每40~50丸 薄荷湯下 日二服.
此方 眞珠母爲君 龍齒佐之,
眞珠募入肝經爲第一 龍齒與肝同類也,
龍齒虎睛 人皆以爲鎭心 藥殊不知 龍齒安魂 虎睛定魄
龍能變化 故魂遊而不定,
虎能專靜 故魄止而有守.
若魄不寧者 宜用虎睛,
魂飛揚者 宜用龍齒(本事).
마음이 불안하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주모 30g,
찐지황(숙지황), 당귀 각각 60g,
인삼,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측백씨, 서각, 백복신 각각 40g,
침향, 용치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40-50알씩 하루 두번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
이 처방은 진주모를 주약으로 하고 용치를 좌약으로 하였다.
진주모가 간경에 작용하는 약에서는 제일이고 용치는 간과 같은 종류이다.
용치와 범의 눈알을 사람들은 다 마음을 안정시키는 약으로만 알고 있지
용치는 폐기(肺氣)를 안정시키고 범의 눈알은 간기(肝氣)를 안정시킨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용은 잘 변하기 때문에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는데 작용하고
범은 움직이지 않고 편안하게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는 간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간기가 고르지 않은 데는 반드시 범의 눈알을 써야 하고
정신이 들뜬 데는 반드시 용치를 써야 한다[본사].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柱元][천주원]  (0) 2019.01.06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0) 2019.01.06
[辰砂元][진사원]   (0) 2019.01.06
[地黃元][지황원]   (0) 2019.01.06
[止喘元][지천원]   (0) 2019.01.06

[辰砂元][진사원]
治久瘧 不損元氣
辰砂 阿魏眞者 各40g
爲硏勻 稀米糊和丸 皂角大
空心 以人參湯化下一丸(得效).
오랜 학질을 치료하는데 원기도 상하지 않게 한다.
주사, 아위(좋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멀건 쌀풀에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씨(조각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인삼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金養脾元][천금양비원]   (0) 2019.01.06
[眞珠母元][진주모원]  (0) 2019.01.06
[地黃元][지황원]   (0) 2019.01.06
[止喘元][지천원]   (0) 2019.01.06
[枳實理中元][지실이중원]  (0) 2019.01.06

[地黃元][지황원]
經云, 久視傷血.

血主肝, 故傷肝而目昏, 肝傷則自生風熱, 當益血鎭肝, 而目自明.
熟地黃 一兩半,

黃連, 決明子 各一兩,

防風, 甘菊, 羌活, 桂心, 朱砂 水飛, 沒藥 各五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熟水下五七十丸[得效].
내경에서는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한다"고 하였다.
혈은 간이 주관하기 때문에 간을 상하면 눈이 어두워진다.
간이 상하면 저절로 풍열이 생기므로 혈을 북돋우고

간을 진정시키면 눈이 저절로 밝아지게 된다.
숙지황 한 냥 반,
황련, 결명자 각 한 냥,
방풍, 감국, 강활, 계심, 주사(수비한 것), 몰약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쉰에서 일흔 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地黃元][지황원]
卽錢氏方, 六味地黃元也.

專補腎水, 能生精補精滋陰 方見虛勞.
이것은 전을의 처방으로, 바로 육미지황원이다.
주로 신수(腎水)를 보하여 정을 생기게 하고, 정을 보하고 음(陰)을 자양한다.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地黃元][지황원]
卽 錢氏方 六味地黃元也.

專補腎水 能生精補精 滋陰(方見虛勞)
즉 전씨(錢氏)의 처방인 육미지황원을 말한다.
주로 신수(腎水)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또 보하며 음기(陰氣)를 불쿠어 준다.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珠母元][진주모원]  (0) 2019.01.06
[辰砂元][진사원]   (0) 2019.01.06
[止喘元][지천원]   (0) 2019.01.06
[枳實理中元][지실이중원]  (0) 2019.01.06
[增益歸茸元][증익귀용원]   (0) 2019.01.06

[止喘元][지천원]
治冷喘
蓽撥 胡椒 人參 胡桃肉 各等分
爲末 蜜和37.5g當作30丸 每1丸 細嚼 溫水下(醫鑒).
냉천(冷喘)을 치료한다.
필발, 후추(호초), 인삼, 호두살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서 따뜻한 물로 넘긴다[유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辰砂元][진사원]   (0) 2019.01.06
[地黃元][지황원]   (0) 2019.01.06
[枳實理中元][지실이중원]  (0) 2019.01.06
[增益歸茸元][증익귀용원]   (0) 2019.01.06
[酒蒸黃連元][주증황련원]   (0) 2019.01.06

[枳實理中元][지실이중원]
治寒實痞滿.
枳實 麩炒, 人蔘, 白朮, 白茯苓, 乾薑 炮, 甘草 灸 各等分.
右爲末, 蜜和一兩作四丸, 熱湯化下[得效].
한실비만(寒實痞滿)을 치료한다.
지실(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인삼, 백출, 백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구운 것)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한 냥으로 네 알을 만들어 뜨거운 물에 녹여 먹는다(득효).
傷寒結胸, 心胸痞痛, 手不得近, 氣欲絶, 陷胸湯丸皆不效, 用此, 如神[綱目].
상한으로 결흉이 되어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가슴이 막히고 아파 숨이 끊어질 것 같은데

함흉탕과 함흉환이 모두 효과가 없을 때 이 약을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강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元][지황원]   (0) 2019.01.06
[止喘元][지천원]   (0) 2019.01.06
[增益歸茸元][증익귀용원]   (0) 2019.01.06
[酒蒸黃連元][주증황련원]   (0) 2019.01.06
[朱砂黃連元][주사황련원]   (0) 2019.0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