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治 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憒
言語蹇澁 口眼喎斜 手足不遂等證
山藥28g,
甘草_炒20g,
人蔘, 蒲黃.炒, 神麴_炒 各10g,
犀角8g,
大豆黃卷.炒, 肉桂, 阿膠.炒 各7g,
白芍藥, 麥門冬, 黃芩, 當歸, 防風, 朱砂.水飛, 白朮 各5g,
牛黃, 羚羊角, 麝香, 龍腦 各4g,
雄黃, 白斂, 乾薑.炮 各3g,
金箔120箔內(40箔爲衣)大棗20枚蒸取肉硏爲膏
爲 末 棗膏入煉 蜜和勻37.5g 作10丸
金箔爲衣 每取1丸 溫水化下 (醫鑒)
갑자기 풍을 맞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담연(痰涎)이 막혀서
정신이 어렴풋하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산약) 28g,
감초(닦은 것) 20g,
인삼,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10g,
서각 8g,
개완두싹(大豆黃卷, 닦은 것), 육계, 갖풀(아교, 닦은 것) 각각 7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맥문동, 속썩은풀(황금),
당귀, 방풍, 주사(수비한 것), 흰삽주(백출) 각각 6g,
시호, 도라지(길경), 살구씨(행인), 흰솔풍령(백복령), 궁궁이(천궁) 각각 5g,
우황 4.8g,
영양각, 사향, 용뇌 각각 4g,
석웅황(웅황) 3.2g
가위톱(白斂),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3g,
금박(金箔, 40장은 겉에 입힌다) 120장,
대추(쪄서 살만 발라 짓찧어 고약을 만든다) 20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대추고와 졸인 꿀을 섞은데 넣고
반죽한 다음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따뜻한 물에 풀어 먹는다[의감].
治 心氣不足 神志不定 喜怒無時 或發癲狂 精神昏亂等證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정신과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여
아무 때나 기뻐하고 성내며 혹 전광증이 발작하여 정신이 착란된 증상들을 치료한다.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治心氣不足, 神志不定, 喜怒無時, 或發癲狂, 精神昏亂等證 方見中風.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신지(神志)가 안정되지 못하여 아무 때나 기뻐하고 화내며
전광이 생기기도 하고 정신이 혼란한 여러 증을 치료한다(처방은 중풍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