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飴薑元][이강원]
治冷嗽
黑糖600g, 乾薑細末150g
先熔糖 次下薑末 和勻待凝 作片 常常嚼下(鄕集).
냉수(冷嗽)를 치료한다.
강엿 600g, 건강(보드랍게 가루낸 것) 160g.
위의 약에서 먼저 엿(이당)을 녹인 다음 여기에 건강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서 굳어진 다음 빚어서 늘 씹어 먹는다[향집].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仁元][이인원]   (0) 2019.01.06
[二麴元][이국원]   (0) 2019.01.06
[應痛元][응통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加味][육미지황원가미]   (0) 2019.01.06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0) 2019.01.06

[應痛元][응통원]
治折傷後 爲風寒濕所侵 手足疼痛
生蒼朮 破古紙半生半炒
骨碎補 穿山甲桑灰炒爲珠 生草烏 各80g 茴香60g
爲將草烏剉如麥大, 同連皮生薑160g 擂爛淹兩宿焙乾同前藥
爲末 糊和丸梧子大 溫酒下50丸 少麻無妨(得效)
다쳐서 부러진 후에 풍사, 한사, 습사가 침범하여 손발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보골지(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골쇄보,
천산갑(뽕나무 잿불에 구슬같이 되도록 닦은 것), 바꽃(초오) 각각 80g, 회향 60g.
위의 약에서 먼저 바꽃(초오)을 잘게 썰어서
생강 160g을 껍질째로 간 것과 함께 버무려 이틀밤 재운다.
다음 이것을 약한 불기운에 말려 나머지 약들과 함께 가루내서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알씩 데운 술로 먹으면 좀 마비되는 감은 있으나 아무일 없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麴元][이국원]   (0) 2019.01.06
[飴薑元][이강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加味][육미지황원가미]   (0) 2019.01.06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0) 2019.01.06
[威喜元][위희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加味][육미지황원가미]
治腎水不足 陰虛.
一小兒五歲 不能言咸 而爲廢人 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加五味子 鹿茸
及補中益氣湯方見內傷 將半年始發一二言 至一年 始言語如常(回春).
小兒鶴膝者 由稟受不足 血氣不充 故肌肉瘦瘠 骨節呈露 如瘧之膝
乃腎虛得之 宜六味地黃元加當歸 牛膝 鹿茸 久服仍以大南星炮
爲末 醋調 烘熱 貼之 甚良(回春).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飴薑元][이강원]   (0) 2019.01.06
[應痛元][응통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0) 2019.01.06
[威喜元][위희원]   (0) 2019.01.06
[衛生天花元][위생천화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治熟虛勞 腎氣衰弱 久新憔悴 寢汗發熱 五藏齊損
瘦弱虛煩 骨蒸痿弱 脈沈而虛方見五藏
허로로 신기가 쇠약하여 언제나 얼굴이 초췌해지고 잘 때에 땀이 나며
열이 나는 것과 5장이 다 상해서 여위고 쇠약하며 허번증(虛煩證)이 나며
골증열[骨蒸]이 있어 팔다리가 느른해지고 약하며 맥이 침(沈)하면서
허(虛)한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5장문에 있다).
此藥專補左尺腎水兼理脾胃少年水虧火旺陰虛之證最宜服之
이 약은 왼쪽 신을 주로 보하면서 겸하여 비위를 조리하는데 젊었을 때에
신수가 줄어들어 화가 왕성하는 음허증(陰虛證)에 먹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凡人年幼 被誘慾太早者 根本受傷 及禀賦薄者 又斸喪之過 隱諱不敢實告
以致元氣虛憊 或遺精盜汗 神疲力怯 飮食不生肌肉 面白惡心發熱
夏先惡熱 冬先怕寒 腰疼膝重 頭暈目眩 故曰水一虧則火必勝
火動則肺金受剋而痰嗽作矣 或勞汗當風 面生粉刺則虛損成矣
宜服此藥 可保無虞(回春) .
대체로 사람들이 젊은 나이에 너무 일찍 성생활을 하여
정기를 줄어들게 하였거나 또한 타고난 체질이 약한 사람이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몹시 약해진 것을 숨기고 똑바로 말하지 않은
데로부터 원기가 더욱 더 허약해졌거나 유정과 식은땀이 나면
정신이 피로하고 권태감이 심하며 음식을 먹어도 살로 가지 않으며
얼굴빛이 희고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이 난다.
그리고 여름이면 남보다 더위를 몹시 타하고 겨울이면 남보다 취위를 더 타하며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무거우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해진다.
그러므로 신정이 한번 소모되면 심화가 반드시 왕성하게 되며 심화가 동하면
폐금(肺金)이 억제를 받아서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난다.
혹 땀을 흘리면서 노동하다가 바람을 맞아 얼굴에 여드름이 생기면 허손이 되는데
이 약을 먹으면 근심할 것이 없다[회춘].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應痛元][응통원]   (0) 2019.01.06
[六味地黃元加味][육미지황원가미]   (0) 2019.01.06
[威喜元][위희원]   (0) 2019.01.06
[衛生天花元][위생천화원]   (0) 2019.01.06
[雄黃元][웅황원]  (0) 2019.01.06

[蠟苓元][납령원]
治腎有邪濕 精氣不固 小便白濁 淋瀝不止
及婦人白淫 白帶 小便如泔 等證
雪白茯苓150g
剉以猪苓剉9.4g
同放於磁器中 用水煮20餘沸
去猪苓 取出 焙爲末 將黃蠟150g
熔化和 丸彈子大.
空心 細嚼 以棗湯 徐徐送下 以小便淸爲度(得效 入門).
일명 위희원(威喜元)이라고도 한다.
신(腎)에 습사(濕邪)가 있어서 정기(精氣)가 든든하지 못하여[不固]
오줌이 뿌여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며 멎지 않는[淋瀝] 것과
부인의 백음(白淫)과 흰이슬[白帶], 오줌이 쌀뜨물 같은 것을 치료한다.
좋은 흰솔풍령(백복령, 썬 것) 160g, 저령(썬 것) 10g.
위의 약들을 모두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물을 붓고
20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저령은 버린다.
다음 흰솔풍령(백복령)만 가려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낸다.
이것을 황랍 160g 녹인 데에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빈속에 잘 씹어서 대추를 달인 물로 천천히 넘기는데
오줌이 맑아질 때까지 써야 한다[득효와 입문].

[衛生天花元][위생천화원]
歌曰
消渴消中消腎病 三焦五藏生虛熱
惟有膀胱冷似氷 意中飮水無休歇
小便晝夜不流通 骨冷皮焦心肺裂
本因飮酒炙煿多 酒餘色慾勞無節
飮水喫食日加增 肌肉精髓轉枯渴
漩甛如蜜滑如油 口苦咽乾舌如血
消病狀最爲危有 此仙方眞妙訣.
黃連童便浸3日120g 白扁豆炒80g 蘆薈30g
辰砂 白茯苓 牡蠣粉 知母 苦蔘 鐵粉 天花粉各20g 金銀箔各20片
爲末 生瓜婁根汁 和生蜜 爲丸梧子大 麥門冬湯下30~50丸(類聚).
노래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소갈소중 소신병은 5장3초 허열일세
방광홀로 얼음같아 기화작용 못한다네
물만찾아 쉴새없고 오줌또한 멎지않네
뼈는차고 겉은타며 심장폐장 터지는듯
살은점점 빠져가고 정액골수 마른다네
꿀과같이 단오줌이 기름같이 미끄럽고
입은쓰고 목은타며 혓바닥은 핏빛일세
그원인을 찾아보니 한두가지 아니로세
술을즐겨 지내먹고 고기굽고 볶았으며
술취한후 방사하고 노력또한 과도했네
물마시고 밥먹는것 날을따라 늘어나나
3소증상 이러하면 위험하기 짝없는데
위생천화 묘한처방 비방으로 전해오네
황련(동변에 3일 동안 담갔던 것) 120g, 까치콩(닦은 것) 80g, 노회 30g,
주사, 흰솔풍령(백복령), 굴조개껍질(모려분), 지모, 너삼(고삼),
철분,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각각 20g, 금박, 은박 각각 20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하늘타리뿌리즙(과루근즙)과
생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맥문동을 달인 물로 먹는다[유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0) 2019.01.06
[威喜元][위희원]   (0) 2019.01.06
[雄黃元][웅황원]  (0) 2019.01.06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19.01.06
[牛黃凉膈元][우황양격원]   (0) 2019.01.06

[太乙明月丹][태을명원단] [雄黃元][웅황원]
兎屎80g
天靈蓋酥灸 鱉甲酥灸 各40g,
雄黃 木香 各20g,

輕粉10g.
爲末 以好酒一升 大黃末20g 熬膏和 丸彈子大
朱砂爲衣 五更初 童便和酒化一丸服 勿令 人知 必吐蟲物
未效 次日 再服(綱目).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威喜元][위희원]   (0) 2019.01.06
[衛生天花元][위생천화원]   (0) 2019.01.06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19.01.06
[牛黃凉膈元][우황양격원]   (0) 2019.01.06
[茸香元][용향원]  (0) 2019.01.05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治 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憒
言語蹇澁 口眼喎斜 手足不遂等證
山藥28g,

甘草_炒20g,

人蔘, 蒲黃.炒, 神麴_炒 各10g,
犀角8g,

大豆黃卷.炒, 肉桂, 阿膠.炒 各7g,
白芍藥, 麥門冬, 黃芩, 當歸, 防風, 朱砂.水飛, 白朮 各5g,
牛黃, 羚羊角, 麝香, 龍腦 各4g,
雄黃, 白斂, 乾薑.炮 各3g,
金箔120箔內(40箔爲衣)大棗20枚蒸取肉硏爲膏
爲 末 棗膏入煉 蜜和勻37.5g 作10丸
金箔爲衣 每取1丸 溫水化下 (醫鑒)
갑자기 풍을 맞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담연(痰涎)이 막혀서
정신이 어렴풋하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산약) 28g,

감초(닦은 것) 20g,
인삼,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10g,

서각 8g,
개완두싹(大豆黃卷, 닦은 것), 육계, 갖풀(아교, 닦은 것) 각각 7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맥문동, 속썩은풀(황금),
당귀, 방풍, 주사(수비한 것), 흰삽주(백출) 각각 6g,
시호, 도라지(길경), 살구씨(행인), 흰솔풍령(백복령), 궁궁이(천궁) 각각 5g,
우황 4.8g,

영양각, 사향, 용뇌 각각 4g,

석웅황(웅황) 3.2g
가위톱(白斂),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3g,
금박(金箔, 40장은 겉에 입힌다) 120장,
대추(쪄서 살만 발라 짓찧어 고약을 만든다) 20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대추고와 졸인 꿀을 섞은데 넣고
반죽한 다음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따뜻한 물에 풀어 먹는다[의감].
治 心氣不足 神志不定 喜怒無時 或發癲狂 精神昏亂等證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정신과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여
아무 때나 기뻐하고 성내며 혹 전광증이 발작하여 정신이 착란된 증상들을 치료한다.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治心氣不足, 神志不定, 喜怒無時, 或發癲狂, 精神昏亂等證 方見中風.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신지(神志)가 안정되지 못하여 아무 때나 기뻐하고 화내며

전광이 생기기도 하고 정신이 혼란한 여러 증을 치료한다(처방은 중풍문에 있다).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衛生天花元][위생천화원]   (0) 2019.01.06
[雄黃元][웅황원]  (0) 2019.01.06
[牛黃凉膈元][우황양격원]   (0) 2019.01.06
[茸香元][용향원]  (0) 2019.01.05
[龍鳳元][용봉원]   (0) 2019.01.05

[牛黃凉膈元][우황양격원]
治咽喉腫痛, 口舌生瘡, 頷頰赤腫, 熱痰壅塞.
馬牙硝, 寒水石 煅, 石膏 煅 各二兩,
甘草 爁 一兩,
牛膽南星 七錢半,
紫石英 煅水飛 五錢,
牛黃, 龍腦, 麝香 各二錢半.
右爲末, 蜜和, 兩作三十丸, 每一丸薄荷湯, 嚼下[局方].
인후가 붓고 아프며 입 안과 혀가 헐고, 턱이나 뺨이 벌겋게 붓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는 열담이 몰려 막힌 것이다.
마아초, 한수석(불에 달군 것), 석고(불에 달군 것) 각 두 냥,
감초(센 불로 구운 것) 한 냥,
우담남성 일곱 돈 반,
자석영(불에 달구어 수비한 것) 닷 돈,
우황, 용뇌, 사향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한 냥으로 서른 알을 만들어

한 알씩 박하 달인 물로 씹어서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黃元][웅황원]  (0) 2019.01.06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19.01.06
[茸香元][용향원]  (0) 2019.01.05
[龍鳳元][용봉원]   (0) 2019.01.05
[龍膽元][용담원]   (0) 2019.01.05

[茸香元][용향원]
治虛損遺尿不禁, 或虛冷尿多.
雞內金 灸 七錢半,
鹿茸 酥灸, 肉蓯蓉 酒浸, 當歸 酒洗 各五錢,
龍骨 煅, 牡蠣粉, 巴戟, 赤石脂, 禹餘糧 煅醋淬硏, 白薑, 益智仁, 乳香 各二錢半.
右爲末, 糯米糊和丸梧子大, 空心鹽湯下七十丸[直指].
허약하여 오줌이 저절로 나오고, 참지 못하거나 허하고 차서 오줌을 자주 누는 것을 치료한다.
계내금(구운 것) 일곱 돈 반,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육종용(술에 담갔던 것), 당귀(술로 씻은 것) 각 다섯 돈,
용골(불에 달군 것), 모려분, 파극, 적석지, 우여량(불에 달구었다 식초에 담금질하여 가루낸 것),
건강, 익지인, 유향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끓인 소금물로 일흔 알씩 빈속에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19.01.06
[牛黃凉膈元][우황양격원]   (0) 2019.01.06
[龍鳳元][용봉원]   (0) 2019.01.05
[龍膽元][용담원]   (0) 2019.01.05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19.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