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四友元][십사우원]
補心肝虛, 神志不寧, 睡臥不安. 內經曰, 藏有所傷, 情有所倚, 人不能知其病, 則臥不安.
龍齒 另硏 二兩,

熟地黃, 白茯苓, 白茯神, 酸棗仁 炒, 人蔘, 肉桂, 阿膠珠,

遠志 酒洒蒸, 當歸, 黃芪, 柏子仁, 紫石英 煅另硏 各一兩,

辰砂 五錢.
右末, 蜜丸梧子大. 棗湯呑下三四十丸[局方].

심과 간이 허한 것을 보하고, 신지(神志)가 편안하지 않아서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서는 "오장이 상하고 감정이 치우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병이 있는지 알지 못하지만 환자는 누워도 편안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용치(따로 간 것) 두 냥,

숙지황, 백복령, 백복신, 산조인(볶은 것), 인삼, 육계, 아교주,

원지(술을 뿌려 찐 것), 당귀, 황기, 백자인, 자석영(불에 달구어 따로 간 것) 각 한 냥,

진사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대추 달인 물로 서른에서 마흔 알씩 먹는다(국방).

韓魏公舊患心疾, 怔忡健忘, 夢寐恍惚, 多不得睡, 異狀無不有, 心藥無不服, 未能收效.

盖此疾, 本憂愁思慮耗心血而得之.

今欲安心, 當用當歸地黃等滋養心血, 始見功效. 若更服發散藥, 如菖蒲之類, 心氣愈散.

緣用心過而成此疾也. 服此大有神效[經驗方].

한 나라의 위공이 오랫동안 심병(心病)을 앓았는데,

가슴이 뛰고 건망증이 생기고 꿈자리가 뒤숭숭하여 잠을 거의 이루지 못하고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없었다.

먹어 보지 않은 심약(心藥)이 없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 병은 본래 지나치게 걱정하고 쓸데없는 생각을 많이 하여 심혈(心血)이 소모되어 생긴다.

그래서 심을 안정시키려고 당귀, 지황 등을 써서 심혈을 북돋아주자 효과가 있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다시 석창포 같은 약으로 발산시키면 심기가 더욱 흩어지게 된다.

그것은 심을 지나치게 써서 이런 병이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이 약을 먹어서 매우 좋은 효과가 있었다(경험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肝元][양간원]  (0) 2019.01.05
[阿魏元][아위원]   (0) 2019.01.05
[尋痛元][심통원]   (0) 2019.01.05
[神寢元][신침원]   (0) 2019.01.05
[神授散][신수산]  (0) 2019.01.05

[尋痛元][심통원]
治傷止痛 淸心行氣 活血如神
草烏生用 乳香火熨 沒藥火熨 五靈脂 各12g

生麝香少許,
爲末 酒糊丸如指頭大 朱砂爲衣 每一丸 薄荷湯薑汁磨化服(得效).
여러 가지로 상한 것을 치료한다.
아픈 것을 멎게 하고 속을 시원하게 하며 기와 혈을 잘 돌게 하는데 아주 좋다.
바꽃(초오, 생것), 유향(불에 따뜻하게 한 것), 몰약(불에 따뜻하게 한 것), 오령지 각각 12g,

사향(생것)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손가락 끝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을 탄 생강즙에 풀어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阿魏元][아위원]   (0) 2019.01.05
[十四友元][십사우원]  (0) 2019.01.05
[神寢元][신침원]   (0) 2019.01.05
[神授散][신수산]  (0) 2019.01.05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0) 2019.01.05

[神寢元][신침원]
能瘦胎易産
枳殼80g,  乳香40g,
爲末 以煉蜜 丸梧子大 酒下30丸.
一名 [寤生丸] (得效).
태아를 여위게 하여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지각 80g,  유향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
일명 오생환(寤生丸)이라고도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四友元][십사우원]  (0) 2019.01.05
[尋痛元][심통원]   (0) 2019.01.05
[神授散][신수산]  (0) 2019.01.05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0) 2019.01.05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0) 2019.01.05

[神授散][신수산]
殺傳尸 瘵蟲
紅椒1.2kg去子及合口者炒出汗
爲末 每4g(一作8g) 空心 米湯調下 30~50丸
如暈悶不能禁 卽以酒糊和 丸梧子大 空心服 30~50丸(名神授元).
昔有人與病勞婦人交 遂得疾 遇一異人云
“勞氣已入藏 令急服1.2kg 其病當去”
如言服之幾盡 大便出一蟲 狀如蛇 遂愈後人服亦驗(得效).
전시노채충을 치료한다.
홍초(紅椒,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리고 진이 나도록 닦은 것) 1,20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어떤 데는 8g으로 되어 있다)
빈속에 미음에 타 먹는다.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여 참을 수 없을 때에는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빈 속에 먹어야 한다.
이 약을 신수원(神授元)이라고도 한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노채를 앓는 부인과 성생활을 하여 그 병이 옮았다.
이때에 어떤 이인(異人)을 만났는데 그가 말하기를 노채병 기운이
이미 5장(五藏)에 들어갔으나 빨리 신수산 1,200g을 먹으면
병이 나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의 말대로 그 약을 거의 다 먹었는데 대변으로
뱀 같은 것이 1마리 나오고 병이 곧 나았다.
그 후 다른 사람들도 이 약을 먹고 역시 효과를 보았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尋痛元][심통원]   (0) 2019.01.05
[神寢元][신침원]   (0) 2019.01.05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0) 2019.01.05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0) 2019.01.05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0) 2019.01.05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治一切氣痛不可忍.
甘草 二兩,
沒藥, 血竭, 沈香, 麝香, 朱砂 各一兩, 木香 五錢.
右爲末, 熬甘草作膏, 搜和藥末, 丸如芡實大, 每一丸, 薑鹽湯嚼下. 血氣痛醋湯下[直指].
모든 기통으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 두 냥,
몰약, 혈갈, 침향, 사향, 주사 각 한 냥,
목향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감초를 졸여 만든 고(膏)에 넣고 잘 섞어서 감실대의 알약을 만들어,
한 알씩 생강이나 소금 달인 물로 씹어서 먹는다.
혈기통(血氣痛)에는 식초 달인 물로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寢元][신침원]   (0) 2019.01.05
[神授散][신수산]  (0) 2019.01.05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0) 2019.01.05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0) 2019.01.05
[神保元][신보원]  (0) 2019.01.05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通治痰飮諸病.
黑牽牛子 取頭末 三兩,
皂角 酥灸 一兩六錢,
白礬 生 一兩.
右爲末, 水丸, 梧子大.

酒下三五十丸[瑞竹].
담음으로 생긴 모든 질병을 두루 치료한다.
흑견우자(두말한 것) 석 냥,
조각(졸인 젖에 구운 것) 각 한 냥 여섯 돈,
생백반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서른에서 쉰 알씩 술로 먹는다(서죽).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授散][신수산]  (0) 2019.01.05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0) 2019.01.05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0) 2019.01.05
[神保元][신보원]  (0) 2019.01.05
[勝紅元][승홍원]   (0) 2019.01.04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治虛勞諸證 千益百補.
熟地黃 生乾地黃 何首烏 各150g
巨勝子 枸杞子 兎絲子 五味子 酸棗仁  栢子仁 破故紙

覆盆子 芡仁 木香 蓮花蘂 巴戟 肉蓯蓉 牛膝 天門冬 官桂 人參

白茯苓 楮實子 韭子 天雄 蓮肉 續斷 山藥 各40g
爲末 春夏煉蜜爲丸 秋冬蒸棗肉 胡桃肉 同擣如泥 和藥擣千杵 丸如梧子大
溫酒 或塩湯 呑下 服70~90丸 或去天雄 代鹿茸 亦佳(奇效).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하는데 고루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하수오 각각 160g,
참깨씨(巨勝子),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오미자, 메대추씨(산조인), 측백씨(백자인), 파고지,

복분자, 가시연밥(검인), 목향, 연화예, 파극, 육종용, 쇠무릎(우슬), 천문동, 육계,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닥나무열매(저실자), 부추씨, 천웅, 연밥(연육), 속단, 마(산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봄과 여름에는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고 가을과 겨울에는 찐 대추살과 호두살을 같이 넣고
찧어 찰지게 된 것에 약가루를 넣고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혹 천웅을 빼고 대신으로 녹용을 넣어 쓰면 더 좋다[기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仙沈麝元][신선침사원]  (0) 2019.01.05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0) 2019.01.05
[神保元][신보원]  (0) 2019.01.05
[勝紅元][승홍원]   (0) 2019.01.04
[守中金元][수중금원]   (0) 2019.01.04

[神保元][신보원] 
諸氣, 惟膀胱氣脇下痛, 最難治, 獨此藥能去之.
有人, 病項筋痛, 醫治久不差, 乃流入背膂.
久之又注右脇, 攣痛甚苦, 服此藥, 一投而差 方見氣門[局方].
여러 가지 기병(氣病) 중에서 방광기(膀胱氣)로 옆구리 아래가 아픈 것이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데 오직 이 약이 그것을 없앨 수 있다.
어떤 환자가 목덜미 근육이 아팠는데 의사가 치료를 하였으나

오랫동안 낫지 않자 등골뼈까지 옮아갔다.
시일이 오래 지나자 또 오른쪽 옆구리로 옮아가서 경련이 일고 몹시 아팠는데
이 약을 먹고는 한번에 효과를 보았다(처방은 「기문」에 있다)(국방).

[神保元][신보원] 
治諸氣注痛, 又治心膈痛, 腹脇痛, 腎氣痛.
全蝎 全者 七個,

巴豆 十個 去皮爲霜,

木香, 胡椒 各二錢半,

朱砂 一錢 半內入, 半爲衣.
右爲末, 蒸餠和丸麻子大.

朱砂爲衣, 每五七丸, 薑湯溫酒任下[局方].
기 때문에 생긴 여러 가지 주심통(注心痛)이 생긴 것을 치료하며,
또한 심격통(心膈痛), 복협통(腹脇痛), 신기통(腎氣痛)을 치료한다.
전갈(온전한 것) 일곱 마리,
파두상 열 개(껍질을 벗겨 상(霜)을 만든다),
목향, 호초 각 두 돈 반,
주사 한 돈(반은 다른 약과 섞고, 반은 알약의 겉에 옷을 입힌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찐 떡으로 마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주사로 옷을 입혀,
생강 달인 물이나 따뜻한 술로 다섯에서 일곱 알씩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0) 2019.01.05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0) 2019.01.05
[勝紅元][승홍원]   (0) 2019.01.04
[守中金元][수중금원]   (0) 2019.01.04
[水煮木香元][수자목향원]  (0) 2019.01.04

[勝紅元][승홍원]
治血積 酒積 及婦人脾血 積氣
三菱 蓬朮並醋炒 靑皮 陳皮 乾薑炮 良薑炒 各40g,
香附子醋炒80g. 
爲末 醋糊和 丸梧子大 薑湯下30~50丸(丹心)
혈적, 주적과 부인에게 생긴 비적과 혈적을 치료한다.
삼릉, 봉출(다 식초에 축여 볶은 것), 청피, 진피, 건강(싸서 구운 것), 양강(닦은 것) 각각 40g,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것)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仙巨勝子元][신선거승자원]   (0) 2019.01.05
[神保元][신보원]  (0) 2019.01.05
[守中金元][수중금원]   (0) 2019.01.04
[水煮木香元][수자목향원]  (0) 2019.01.04
[茱萸內消元][수유내소원]  (0) 2019.01.04

[守中金元][수중금원]
治內傷脾胃虛冷腹中搽痛或腸鳴自利不思飮食
蒼朮 桔梗 乾薑礐 甘草灸 各一兩
右爲末蜜丸彈子大沸湯嚼下一丸[局方]
내상(內傷)으로 비위(脾胃)가 허랭(虛冷)하고 배가 트릿하면서 아프고
혹 배가 끓고 저절로 설사가 나가며 음식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도라지(길경),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로 씹어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保元][신보원]  (0) 2019.01.05
[勝紅元][승홍원]   (0) 2019.01.04
[水煮木香元][수자목향원]  (0) 2019.01.04
[茱萸內消元][수유내소원]  (0) 2019.01.04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19.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