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四友元][십사우원]
補心肝虛, 神志不寧, 睡臥不安. 內經曰, 藏有所傷, 情有所倚, 人不能知其病, 則臥不安.
龍齒 另硏 二兩,
熟地黃, 白茯苓, 白茯神, 酸棗仁 炒, 人蔘, 肉桂, 阿膠珠,
遠志 酒洒蒸, 當歸, 黃芪, 柏子仁, 紫石英 煅另硏 各一兩,
辰砂 五錢.
右末, 蜜丸梧子大. 棗湯呑下三四十丸[局方].
심과 간이 허한 것을 보하고, 신지(神志)가 편안하지 않아서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서는 "오장이 상하고 감정이 치우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병이 있는지 알지 못하지만 환자는 누워도 편안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용치(따로 간 것) 두 냥,
숙지황, 백복령, 백복신, 산조인(볶은 것), 인삼, 육계, 아교주,
원지(술을 뿌려 찐 것), 당귀, 황기, 백자인, 자석영(불에 달구어 따로 간 것) 각 한 냥,
진사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대추 달인 물로 서른에서 마흔 알씩 먹는다(국방).
韓魏公舊患心疾, 怔忡健忘, 夢寐恍惚, 多不得睡, 異狀無不有, 心藥無不服, 未能收效.
盖此疾, 本憂愁思慮耗心血而得之.
今欲安心, 當用當歸地黃等滋養心血, 始見功效. 若更服發散藥, 如菖蒲之類, 心氣愈散.
緣用心過而成此疾也. 服此大有神效[經驗方].
한 나라의 위공이 오랫동안 심병(心病)을 앓았는데,
가슴이 뛰고 건망증이 생기고 꿈자리가 뒤숭숭하여 잠을 거의 이루지 못하고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없었다.
먹어 보지 않은 심약(心藥)이 없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 병은 본래 지나치게 걱정하고 쓸데없는 생각을 많이 하여 심혈(心血)이 소모되어 생긴다.
그래서 심을 안정시키려고 당귀, 지황 등을 써서 심혈을 북돋아주자 효과가 있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다시 석창포 같은 약으로 발산시키면 심기가 더욱 흩어지게 된다.
그것은 심을 지나치게 써서 이런 병이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이 약을 먹어서 매우 좋은 효과가 있었다(경험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肝元][양간원] (0) | 2019.01.05 |
---|---|
[阿魏元][아위원] (0) | 2019.01.05 |
[尋痛元][심통원] (0) | 2019.01.05 |
[神寢元][신침원] (0) | 2019.01.05 |
[神授散][신수산] (0) | 2019.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