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驢皮][노피]
治秇煎膠服
治一切風幷婼血吐血腸風血痢崩中帶下
학질을 치료하는데 갖풀(아교)을 만들어 먹는다.
여러 가지 풍증과 코피가 나는 것[ 血], 피를 토하는 것[吐血],
장풍(腸風), 혈리(血痢), 붕루[崩中], 대하(帶下)를 치료한다.
煎膠用皮取其發散皮膚之義[本草]
가죽을 졸여 아교를 만들어 쓰는 이유는 가죽의 발산(發散)작용을 이용하자는 것이다[본초].
[驢皮][노피]
治秇煎膠服
治一切風幷婼血吐血腸風血痢崩中帶下
학질을 치료하는데 갖풀(아교)을 만들어 먹는다.
여러 가지 풍증과 코피가 나는 것[ 血], 피를 토하는 것[吐血],
장풍(腸風), 혈리(血痢), 붕루[崩中], 대하(帶下)를 치료한다.
煎膠用皮取其發散皮膚之義[本草]
가죽을 졸여 아교를 만들어 쓰는 이유는 가죽의 발산(發散)작용을 이용하자는 것이다[본초].
[驢脂][노지]
治積年聾多年秇狂癲不識人和酒服幷付瘡疥[本草]
오랜 귀머거리와 여러 해 된 학질과 전광[狂癲]으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타서 먹는다.
헌데나 옴에도 바른다[본초].
[驢頭][노두] (0) | 2019.03.13 |
---|---|
[驢皮][노피] (0) | 2019.03.13 |
[驢肉][노육] (0) | 2019.03.13 |
[猪櫏子][저염자] (0) | 2019.03.13 |
[野猪外腎][야저외신] (0) | 2019.03.13 |
[驢肉][노육 / 나귀고기]
主風狂能安心氣釀酒服治一切風
풍으로 미친 것[風狂]을 치료하는데 정신을 안정시킨다.
술을 빚어서 먹으면 여러 가지 풍증이 낫는다.
凡驢以烏者
爲勝入藥用烏之意如烏喵子烏蛇烏鴉之類
以治風者取其水色以制熱生風之義[本草]
대체로 검정나귀가 좋다.
검정나귀를 약으로 쓰는 것은 뼈 검은 닭, 검은 뱀, 까마귀 같은 것을 쓰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검은 것으로 풍증을 치료하는 이유는 검은 빛과 관련된 물[水色]이
풍을 일으키는 열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본초].
[驢皮][노피] (0) | 2019.03.13 |
---|---|
[驢脂][노지] (0) | 2019.03.13 |
[猪櫏子][저염자] (0) | 2019.03.13 |
[野猪外腎][야저외신] (0) | 2019.03.13 |
[野猪齒][야저치] (0) | 2019.03.13 |
[猪櫏子][저염자]
生豚猪項下喉幂絲一枚形如棗大微抝色紅[醫林]
멧돼지 목아래의 울대[喉 ] 옆에 있는 것인데
생김새는 대추알만하면서 약간 납작하고 빛이 붉다[의림].
[驢脂][노지] (0) | 2019.03.13 |
---|---|
[驢肉][노육] (0) | 2019.03.13 |
[野猪外腎][야저외신] (0) | 2019.03.13 |
[野猪齒][야저치] (0) | 2019.03.13 |
[野猪膽][야저담] (0) | 2019.03.13 |
[野猪外腎][야저외신]
治崩中帶下幷腸風血痢 和皮燒灰服[本草]
붕루[崩中], 대하(帶下), 장풍(腸風), 혈리(血痢)에 쓰는데
껍질째로 태워 가루내서 먹는다[본초].
[驢肉][노육] (0) | 2019.03.13 |
---|---|
[猪櫏子][저염자] (0) | 2019.03.13 |
[野猪齒][야저치] (0) | 2019.03.13 |
[野猪膽][야저담] (0) | 2019.03.13 |
[野猪脂][야저지] (0) | 2019.03.13 |
[野猪齒][야저치]
主蛇咬瘡燒灰服[本草]
뱀한테 물려 생긴 헌데에 태워 가루내서 먹는다[본초].
[猪櫏子][저염자] (0) | 2019.03.13 |
---|---|
[野猪外腎][야저외신] (0) | 2019.03.13 |
[野猪膽][야저담] (0) | 2019.03.13 |
[野猪脂][야저지] (0) | 2019.03.13 |
[野猪肉][야저육] (0) | 2019.03.13 |
[野猪膽][야저담]
主惡熱毒邪氣[本草]
열독과 사기를 치료한다[본초].
[野猪外腎][야저외신] (0) | 2019.03.13 |
---|---|
[野猪齒][야저치] (0) | 2019.03.13 |
[野猪脂][야저지] (0) | 2019.03.13 |
[野猪肉][야저육] (0) | 2019.03.13 |
[野猪黃][야저황] (0) | 2019.03.13 |
[野猪脂][야저지]
悅色除風腫毒瘡疥癬及婦人無乳
얼굴빛이 좋아지게 하고 풍종(風腫)을 내리며 독창(毒瘡)과 옴[疥癬],
부인의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産婦無乳取煉脂和酒服乳卽下一婦可供五兒
산모가 젖이 나오지 않을 때 이 기름을 졸여서 술에 타 먹으면 젖이 곧 나오게 되는데
어린이 다섯명을 먹일 수 있게끔 나온다.
臘月陳者佳[本草]
음력 섣달에 잡아서 오랫동안 두었던 것이 좋다[본초].
[野猪齒][야저치] (0) | 2019.03.13 |
---|---|
[野猪膽][야저담] (0) | 2019.03.13 |
[野猪肉][야저육] (0) | 2019.03.13 |
[野猪黃][야저황] (0) | 2019.03.13 |
[猪屎][저시] (0) | 2019.03.12 |
[野猪肉][야저육]
味甘美無毒 補肌膚主腸風瀉血
맛이 달고 좋으며 독이 없다.
살과 피부를 보하는데 장풍으로 피를 쏟는 것[腸風瀉血]을 치료한다.
肉赤色者補人五藏不發風虛氣也
벌건 살은 사람의 5장을 보하고 풍허기(風虛氣)를 생기지 않게 한다.
雌者肉美
암퇘지고기가 맛이 있다.
野猪肉勝家猪不動風氣所以勝家猪也[本草]
멧돼지고기가 집돼지고기보다 나은 것은 풍기(風氣)를 동(動)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집돼지보다 낫다고 한다[본초].
[野猪膽][야저담] (0) | 2019.03.13 |
---|---|
[野猪脂][야저지] (0) | 2019.03.13 |
[野猪黃][야저황] (0) | 2019.03.13 |
[猪屎][저시] (0) | 2019.03.12 |
[猪膚][저부] (0) | 2019.03.12 |
[野猪黃][야저황]
性平味辛甘無毒
主鬼狟癎病惡毒風小兒疳氣客歟天弔[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甘] 맵고[辛] 독이 없다.
귀주(鬼 ), 간질, 악독풍(惡毒風), 어린이 감질[疳氣], 객오, 천조풍(天吊風)을 치료한다.
膽中有黃硏和水服[本草]
야저황이란 멧돼지 담낭 속에 있는 것인데 갈아서 물에 타 먹는다[본초].
形似家猪但腰脚長毛褐[入門]
멧돼지의 생김새는 집돼지와 비슷하나 허리와 다리가 길고 털이 갈색이다[입문].
[野猪脂][야저지] (0) | 2019.03.13 |
---|---|
[野猪肉][야저육] (0) | 2019.03.13 |
[猪屎][저시] (0) | 2019.03.12 |
[猪膚][저부] (0) | 2019.03.12 |
[猪耳中垢][저이중구]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