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氣之出入爲寤寐][양기지출입위오매]
靈樞曰, 衛氣之行, 晝行於陽, 則目張而寤.

夜行於陰, 則目瞑而寐

영추에서는 "위기(衛氣)가 낮에는 양(陽)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뜨고 깨어나며,

밤에는 음(陰)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감고 잔다"라고 하였다.

鄭康成曰, 口鼻之呼吸爲魂, 耳目之聰明爲魄.

以耳目與口鼻對言, 則口鼻爲陽, 耳目爲陰.

以耳目口鼻與藏府對言, 則耳目口鼻爲陽, 藏府爲陰.

故陽氣行陽分二十五度於身體之外, 則耳目口鼻皆受陽氣, 所以能知覺視聰動作而寤矣.

陽氣行陰分二十五度於藏府之內, 則耳目口鼻無陽氣運動, 所以不能知覺而寐矣.

聰明者, 豈非陽氣爲之乎[入門].  

정강성은 "입과 코로 숨쉬는 것은 혼(魂)의 작용이고,

귀가 잘 들리고 눈이 잘 보이는 것은 백(魄)의 작용이다.

귀와 눈을 입과 코에 비유하여 말하면 입과 코는 양(陽)이고, 귀와 눈은 음(陰)이다.

귀, 눈, 입, 코를 장부(臟腑)와 비유하여 말하면 귀, 눈, 입, 코는 양이고, 장부는 음이다.

그러므로 양기가 몸의 겉에서 양분(陽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가 모두

양기를 받게 되어 지각하고 보고 듣고 움직여서 깨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양기가 장부의 속에서 음분(陰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에

양기의 운동이 없게 되어 감각 작용을 하지 못하며 잠들게 된다.

그러하니 듣고 보는 것이 어찌 양기의 작용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입문).    

'[內景篇] > [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不睡][허번불수]   (0) 2019.10.30
[昏沈多睡][혼침다수]   (0) 2019.10.30
[五藏虛實爲夢][오장허실위몽]   (0) 2019.10.30
[淫邪發夢][음사발몽]   (0) 2018.02.18
[魂魄爲夢][혼백위몽]  (0) 2017.05.14

[五藏虛實爲夢][오장허실위몽]  
肝氣虛, 則夢見菌香生草.

, 則夢伏樹下不敢起.

心氣虛, 則夢救火陽物.

實, 則夢燔灼. 脾氣虛,

則夢飮食不足.

實, 則夢築垣盖屋.

肺氣虛, 則夢見白物, 見人斬血藉藉.

實, 則夢見兵戰.

腎氣虛, 則夢見舟船溺人.

實, 則夢伏水中, 若有畏恐[內經]  
간기(肝氣)가 허하면 꿈에 버섯이나 싱싱한 풀이 보이며,

실하면 나무 아래에 엎드려서 일어나지 못하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꿈에서 불을 끄거나 양(陽)에 속하는 사물이 보이고,

실하면 불타는 꿈을 꾸게 된다.

비기(脾氣)가 허하면 음식이 부족한 꿈을 꾸고,

실하면 담장을 쌓고 지붕을 덮는 꿈을 꾼다.

폐기(肺氣)가 허하면 꿈에 흰 것이 보이거나 사람이 베어져서 피가 흥건한 것이 보이고,

실하면 병사들이 싸우는 것이 보인다.

신기(腎氣)가 허하면 꿈에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실하면 물에 빠져 두렵고 무서워하는 꿈을 꾼다(내경).   

'[內景篇] > [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不睡][허번불수]   (0) 2019.10.30
[昏沈多睡][혼침다수]   (0) 2019.10.30
[陽氣之出入爲寤寐][양기지출입위오매]   (0) 2019.10.30
[淫邪發夢][음사발몽]   (0) 2018.02.18
[魂魄爲夢][혼백위몽]  (0) 2017.05.14

下血不止, 量臍心與脊骨平, 於脊骨上, 灸七壯卽止[資生].  
하혈이 그치지 않으면 배꼽과 같은 높이에 있는 등뼈에 뜸을 일곱 장 뜨면 곧 그친다(자생).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吐血][허로출혈]   (0) 2019.10.30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虛勞吐血, 中脘 三百壯.

又吐血唾血, 灸 肺兪 隨年壯.

又口鼻出血不止, 名腦衄, 灸 上星 五十壯[得效]
허로로 몸이 허해져 피를 토하면 중완에 뜸을 삼백 장 뜨고,

피를 토하거나 침에 피가 섞여나오는 데는 폐수에 뜸을 나이에 따라 뜨고,

코와 입으로 피가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뇌뉵(腦衄)이라 하는데, 상성에 뜸을 쉰 장 뜬다(득효).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血不止][하혈부지]   (0) 2019.10.30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關脈芤, 大便出血數斗者,

以膈兪傷故也. 宜灸膈兪[脈經].
관맥에 규(芤) 맥이 나타나고 대변으로 피를 여러 말 흘리는 것은

격수가 상하였기 때문이니 격수에 뜸을 뜬다(맥경).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血不止][하혈부지]   (0) 2019.10.30
[虛勞吐血][허로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嘔血, 取 上脘, 大陵, 郄門, 神門[東垣]. 
구혈에는 상완, 대릉, 극문, 신문에 놓는다(동원).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吐血][허로출혈]   (0) 2019.10.30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衄血][육혈]   (0) 2019.10.30

吐血, 取 風府, 大顀, 亶中, 上脘, 中脘, 氣海, 關元, 三里[綱目].
토혈에는 풍부, 대추, 전중, 상완, 중완, 기해, 관원, 삼리에 놓는다(강목).
吐血, 灸大陵[得效].
토혈에는 대릉에 뜸을 뜬다(득효).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衄血][육혈]   (0) 2019.10.30
[衄吐血下血][육토혈하혈]   (0) 2019.10.30

衄血不止, 以三稜鍼於氣衝出血, 立愈[東垣].
코피가 그치지 않는데, 삼릉침으로 기충에 출혈시키면 바로 낫는다(동원).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육혈]   (0) 2019.10.30
[衄吐血下血][육토혈하혈]   (0) 2019.10.30

衄血, 灸顖會上星[資生].
코피에는 신회와 상성에 뜸을 뜬다(자생).


衄血, 宜 灸大椎, 門卽止[丹心]. 

코피에는 대추, 아문에 뜸을 뜨면 곧 그친다(단심).


衄血, 取 上星, 風府, 門, 合谷, 內庭, 三里, 照海[綱目].

코피에는 상성, 풍부, 아문, 합곡, 내정, 삼리, 조해에 놓는다(강목).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衄吐血下血][육토혈하혈]   (0) 2019.10.30

衄吐血下血, 取 隱白, 大陵, 神門, 大谿[易老].  
코피가 나거나 피를 토하거나 아래로 피를 쏟으면

은백, 대릉, 신문, 태계에 침을 놓는다(역로).

'[內景篇] > [血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便出血][대변출혈]   (0) 2019.10.30
[嘔血][구혈]   (0) 2019.10.30
[吐血][토혈]   (0) 2019.10.30
[衄血不止][육혈부지]   (0) 2019.10.30
[衄血][육혈]   (0) 2019.10.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