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槿][목근 / 무궁화]
煮作飮服之, 令人得睡[本草].
무궁화를 달여서 먹으면 잠들게 된다(본초).
'[內景篇] > [夢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蓴][순] (0) | 2019.11.01 |
---|---|
[蕨][궐] (0) | 2019.11.01 |
[林檎][임금] (0) | 2019.11.01 |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木槿][목근 / 무궁화]
煮作飮服之, 令人得睡[本草].
무궁화를 달여서 먹으면 잠들게 된다(본초).
[蓴][순] (0) | 2019.11.01 |
---|---|
[蕨][궐] (0) | 2019.11.01 |
[林檎][임금] (0) | 2019.11.01 |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林檎][임금 / 능금]
治不睡. 多食則令人好睡[本草].
능금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잘 자게 된다(본초).
[蕨][궐] (0) | 2019.11.01 |
---|---|
[木槿][목근] (0) | 2019.11.01 |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楡白皮][유백피 / 느릅나무 속껍질]
治不睡.
嵇公云, 楡令人瞑, 是也.
初生莢仁以作糜羹, 服之令人多睡[本草].
유백피는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혜강(嵇康)이 "유백피는 사람을 잠들게 한다"고 한 것이 바로 이 말이다.
처음 열린 열매로 죽을 쑤어 먹으면 잠을 잘 자게 된다(본초).
[木槿][목근] (0) | 2019.11.01 |
---|---|
[林檎][임금] (0) | 2019.11.01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0) | 2019.11.01 |
[酸棗仁][산조인 / 묏대추 씨]
睡多則生用, 不得睡則炒熟用之[本草].
잠을 많이 자면 날것으로 쓰고, 잠을 자지 못하면 볶아 익혀서 쓴다(본초).
[林檎][임금] (0) | 2019.11.01 |
---|---|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0) | 2019.11.01 |
[安息香]안식향] (0) | 2019.11.01 |
[小麥][소맥 / 밀]
治煩熱少睡. 煮服之[本草].
번열(煩熱)이 있어서 잠이 적어진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는다(본초).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0) | 2019.11.01 |
[安息香]안식향] (0) | 2019.11.01 |
[鹿頭肉][녹두육]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治虛煩不睡. 煮服之[本草].
허번증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는다(본초).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安息香]안식향] (0) | 2019.11.01 |
[鹿頭肉][녹두육] (0) | 2019.11.01 |
[安息香][안식향 / 안식향나무 수지]
治婦人夜夢鬼交.
以雄黃合爲丸, 燒熏丹穴, 永斷[本草].
부인이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것을 치료한다.
안식향을 웅황과 합하여 알약을 만들어,
그 알약을 태워서 나오는 연기를 음문[丹穴]에 쏘이면 완전히 낫는다(본초).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0) | 2019.11.01 |
[鹿頭肉][녹두육] (0) | 2019.11.01 |
[鹿頭肉][녹두육 / 사슴 머리고기]
治煩悶多夢, 及夜夢見鬼物.
煮汁飮, 食其肉[本草].
번민증(煩悶症)이 있으면서 꿈이 많은 것과 밤에 꿈을 꾸며 헛것이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사슴 머리고기 삶은 국물을 마시고, 그 고기도 먹는다(본초).
[楡白皮][유백피] (0) | 2019.11.01 |
---|---|
[酸棗仁][산조인] (0) | 2019.11.01 |
[小麥][소맥] (0) | 2019.11.01 |
[苦竹葉][고죽엽] (0) | 2019.11.01 |
[安息香]안식향] (0) | 2019.11.01 |
[用藥法][용약법]
虛而多夢紛紜, 人蔘龍骨加而用之[本草].
몸이 허하여 꿈이 많으며 어지러운 데는 인삼·용골을 더하여 쓴다(본초).
膽虛不眠, 寒也.
酸棗仁炒末, 竹葉煎湯調服.
膽實多睡, 熱也.
酸棗仁, 生爲末, 以薑汁炒臘茶煎湯, 調服[海藏].
담(膽)이 허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한(寒) 때문인데,
산조인을 볶아 가루내어 죽엽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담이 실하여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열(熱) 때문인데,
산조인 날것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볶아서 좋은 차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해장).
一人因恐得病, 如人將捕, 睡臥不安, 飮食不知味.
以人蔘白朮當歸身爲君, 陳皮爲佐, 加塩炒黃柏灸玄參各少許爲使.
煎服, 月餘而安. 此因恐傷腎, 故以塩炒黃柏, 灸玄參引參歸等藥入腎也[丹心].
어떤 사람이 두려움 때문에 병을 얻어
누가 잡으러오는 것 같아서 편안히 잠을 자지 못하고 입맛이 없었다.
인삼, 백출, 당귀신을 군약으로, 진피를 좌약으로 하고,
소금물에 불려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을 각각 약간씩 넣어
사약(使藥)으로 하여서 달여 먹기를 한 달 남짓하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두려움으로 인하여 신(腎)을 상한 것이므로 소금물에 축여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으로 인삼, 당귀 등의 약을 이끌어 신으로 들어가게 한 것이다(단심).
[辟惡夢][피악몽] (0) | 2019.11.01 |
---|---|
[寢睡法][침수법] (0) | 2019.11.01 |
[惡人欲獨處][악인욕독처] (0) | 2019.10.31 |
[身重嗜臥][신중기와] (0) | 2019.10.31 |
[臥不安][와불안] (0) | 2019.10.31 |
[辟惡夢][피악몽]
夜夢惡, 不須說, 且以水面東持刀噀之.
呪曰, 惡夢着草木, 好夢成珠玉. 卽無咎矣.
又夢之善惡, 並勿說爲吉[得效].
밤에 나쁜 꿈을 꾼 것을 남에게 말하면 안 된다.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칼을 들고 입에 물을 머금었다가 칼에 내뿜으면서
"악몽착초목, 호몽성주옥[나쁜 꿈은 초목에 붙고, 좋은 꿈은 주옥이 되어라]"이라고
주문을 외우면 재앙이 없다.
꿈이 좋거나 나쁘거나 모두 남에게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득효방).
麝香久服, 不夢寤魘寐.
又將眞麝一劑, 安枕合中枕之, 除邪辟惡夢[本草].
사향을 오랫동안 먹으면 꿈을 꾸거나 가위눌리지 않는다.
또한 좋은 사향 한 제를 베개 속에 넣고 베면 사기를 없애고 나쁜 꿈을 피할 수 있다(본초).
蘇合香, 令人無夢魘, 或服或帶之[本草].
소합향은 꿈이나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虎頭爲枕, 枕之辟惡夢除魘寐[本草].
호랑이 머리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나쁜 꿈을 피하고,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본초).
犀角, 除魘寐, 或服或帶之[本草].
서각은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羚羊角, 安心氣, 不令魘寐, 除邪氣驚夢[本草].
영양각은 심기를 편안하게 하고 가위눌리지 않게 하며, 사기와 놀라는 꿈을 없앤다(본초).
[用藥法][용약법] (0) | 2019.11.01 |
---|---|
[寢睡法][침수법] (0) | 2019.11.01 |
[惡人欲獨處][악인욕독처] (0) | 2019.10.31 |
[身重嗜臥][신중기와] (0) | 2019.10.31 |
[臥不安][와불안] (0) | 2019.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