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靈樞曰, 心氣虛則悲, 實則笑不休.
영추에서는 "심기가 허하면 슬퍼하고 실하면 웃음을 그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內經曰, 心藏神, 神有餘則笑不休, 神不足則悲.
내경에서는 "심은 신(神)을 간직하는데

신이 넘치면 웃음을 그치지 않고, 신이 부족하면 슬퍼한다"고 하였다.
難經曰, 心外證, 面赤口乾善笑.
난경에서는 "심의 병이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이 붉고 입이 마르고 잘 웃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內經曰, 心在聲爲笑.
又曰, 喜與笑皆屬心火.
내경에서는 "심의 소리는 웃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기뻐하는 것과 웃는 것은 모두 심화(心火)에 속한다"고 하였다.
黃甫士安曰, 心實則笑, 笑則喜.
황보밀은 "심이 실하면 웃는데, 웃는다는 것은 지나치게 기뻐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河間曰, 喜爲心火之志也.

喜極而笑者, 猶燔灼太甚而鳴, 笑之象也.

故病笑者, 心火之盛也.
유완소는 "기뻐하는 것은 심화의 지(志)이다.
기쁨이 지나쳐서 웃는 것은 마치 불이 타올라 불타는 소리가 나는 것과 같으니

바로 이것이 웃음의 상(象)이다.
그러므로 병적으로 웃는 것은 심화가 성한 것이다.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哭][곡]  (0) 2019.11.05
[治法][치법]  (0) 2019.11.05
[呼][호]   (0) 2019.11.05
[言微][언미]   (0) 2019.11.04
[鄭聲][정성]   (0) 2019.11.04

[][호]
內經曰, 肝在聲爲呼.
내경에서는 "간의 소리는 외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爪甲靑, 惡罵不休, 爲膽絶.

夫呼罵者, 怒之聲.

狂病不在此例[千金方].
손톱이 푸르고 거칠게 욕설을 계속하는 것은 담기(膽氣)가 끊어진 것이다.
외치며 욕하는 것은 화가 난 소리이다.
미친 병은 이런 경우가 아니다(천금방).
手足甲靑呼罵多筋絶, 九日定難過[脈訣].
손발톱이 푸르고 외치며 욕하는 것이 많으면 근절증으로 9일로 정해져 넘기기 어렵다(맥결).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法][치법]  (0) 2019.11.05
[笑][소]   (0) 2019.11.05
[言微][언미]   (0) 2019.11.04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言微][언미]
內經曰, 言而微, 終日乃復言者, 奪氣也.
내경에서는 "목소리가 약하고 종일토록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은

기운이 빠졌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靈樞曰, 膻中爲氣之海, 不足則少氣力, 不多言.
영추에서는 "전중(膻中)은 기(氣)가 모이는 곳인데 전중의 기가 부족하면

기가 적어져서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易老曰, 眞氣虛弱, 脈微懶語, 宜人蔘黃芪湯及益氣丸 方並見氣門.

역로에서는 "진기(眞氣)가 허약하고 맥이 미(微)하며 말하기 싫어하면

인삼황기탕이나 익기환을 쓴다"고 하였다(처방은 모두 기문에 있다).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笑][소]   (0) 2019.11.05
[呼][호]   (0) 2019.11.05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鄭聲][정성]
鄭者, 重也. 言語重復不已, 聲音糢糊, 有如鄭衛不正之音也 詳見寒門[入門].

'정(鄭)'이라는 것은 거듭한다[重]는 뜻이다.

말하는 것이 거듭 반복되어 그치지 않으며 목소리가 분명하지 않으니,

정(鄭) 나라와 위(衛) 나라의 바르지 못한 음악과 같은 것이다(자세한 것은 한문에 있다)(입문).

鄭聲者, 語不接續, 精氣脫也[回春].

정성(鄭聲)이라는 것은 말이 잘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정기가 탈진하였기 때문이다(회춘).

鄭聲者, 聲戰無力, 不相接續, 造字出于喉中, 卽鄭聲也. 皆大病後有之[東垣].

정성이라는 것은 목소리가 떨리고 힘이 없으며 말이 잘 이어지지 않고

목구멍 속에서 웅얼거리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정성이다.

모두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생긴다(동원).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呼][호]   (0) 2019.11.05
[言微][언미]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脈法][맥법] 
寸口脈微而澁, 微則衛氣不足, 澁則榮氣無餘.

衛不足, 其息短其形燥. 血不足, 其形逆. 榮衛俱虛, 言語謬誤[脈經].

촌구맥(寸口脈)이 미(微)하고 삽(澁)한 경우, 미한 것은 위기(衛氣)가 부족한 것이고,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넉넉하지 못한 것이다.

위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짧고 형체가 메마르며, 혈이 부족하면 그 형체가 순조롭지 못하다.

영위(榮衛)가 모두 허하면 말이 어긋나고 그릇되게 된다(맥경).

心脈搏堅而長, 當病舌卷不能言[內經].

심맥(心脈)이 뛰는 것이 견(堅)하고 장(長)하면 혀가 말려서 말을 하지 못하는 병이다(내경).

心脈濇甚爲瘖.

又曰, 手少陰之別脈, 名曰通里, 別而上行, 入於心中, 繫舌本. 虛則不能言[靈樞].

심맥이 몹시 색(濇)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수소음의 별맥을 '통리(通里)'라고 하는데,

이 맥은 갈라져 위로 올라가 심에 들어가고 혀뿌리와 이어지므로

수소음맥이 허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영추).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言微][언미]   (0) 2019.11.04
[鄭聲][정성]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言語譫妄] [언어섬망]   (0) 2018.02.23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足少陰之脈挾舌本, 足太陰之脈連舌本, 手少陰之別脈繫舌本,

故此三脈虛, 則痰涎乘虛閉塞其脈道, 而舌不能轉運言語也.

若此三脈亡血, 則舌無血榮養而瘖.

內經曰, 刺足少陰脈重虛出血, 爲舌難以言.

又云, 刺舌下中脈太過, 血出不止爲瘖, 治當補血.

又此三脈, 風熱中之, 則舌脈弛縱而瘖.

風寒客之, 則舌脈縮急而瘖. 隨證治之[丹溪].

족소음경맥은 혀뿌리를 끼고 흐르고 족태음경맥은 혀뿌리에 연결되고

수소음경의 별맥[手少陰別絡]은 혀뿌리와 이어지므로,

이 세 경맥이 허하면 담연(痰涎)이 그 허한 틈을 타서

그 경맥의 길을 막게 되어 혀를 잘 움직이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 세 경맥에 망혈(亡血)이 되면 혀가 혈의 영양을 받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내경에서 "족소음맥에 침을 놓아 출혈이 되어 신기가 더욱 허해지면

혀가 잘 움직여지지 않아 말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또 "혀 아래의 경맥에 침을 지나치게 놓으면

피가 그치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는데,

치료는 혈(血)을 보하여야 한다.

이 세 경맥에 풍열(風熱)의 사기가 침입하면 혀의 맥(脈)이 늘어져서 말을 하지 못하게 되고,

풍한(風寒)의 사기가 침입하면 혀의 맥이 오그라들어 말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증후에 따라서 치료한다(단계).

痰塞不語, 宜導痰湯 方見痰門 加菖蒲竹茹人蔘或芩連.

亡血不語, 宜四物湯 方見血門 加人蔘白朮陳皮甘草菖蒲遠志[入門].

담이 막혀서 말을 하지 못하면

도담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에 석창포, 죽여, 인삼 혹은 황금, 황련을 더하여 쓴다.

망혈증(亡血證)으로 말을 하지 못하면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인삼, 백출, 진피, 감초, 석창포, 원지를 더하여서 쓴다(입문). 


[一方]

一男子因傷寒發熱, 忽神昏而, 作體虛有痰治之.

以人蔘三錢黃芪白朮當歸陳皮各一錢, 煎湯入竹瀝薑汁飮之,

十三日始能言一字, 半月舌轉運能言語, 熱除而痊 此痰塞也.

어떤 남자가 상한(傷寒)으로 열이 나서 갑자기 정신이 흐려지고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몸이 허하여 담이 생긴 것으로 보고 치료하였다.

인삼 서 돈, 황기, 백출, 당귀, 진피 각 한 돈을 달여서 죽력과 강즙을 넣어 마시게 하였는데,

열사흘 만에야 비로소 말을 한 마디 하였고,

보름이 지나서 혀를 제대로 움직여 말을 하게 되었으며,

열이 없어지자 다 나았다(이것은 담()이 막혀서 생긴 병이다).  

一男子嗜酒多, 吐血後 舌不能語, 但渴飮水, 脈畧.

與 當歸, 芍藥, 川芎, 地黃 各一錢,

白朮, 人蔘, 各二錢

陳皮一錢, 半甘, 草五分.

水煎, 入竹瀝童便薑汁服之, 至二十餘貼能言 此亡血[丹溪].

어떤 남자가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많이 마시다가 피를 토한 후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단지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고 맥이 약간 삭()하였다.

당귀, 작약, 천궁 숙지황 각 한 돈, 백출, 인삼 각 두 돈, 진피 한 돈 반, 감초 다섯 푼을

물로 달여 죽력, 동변, 강즙을 넣어 먹였다.

이십여 첩을 먹으니 말을 하게 되었다.

(이것은 망혈증으로 인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단계).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言語譫妄] [언어섬망]   (0) 2018.02.23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0) 2017.05.14

[瘖不得語][음불득어] 

內經曰, 邪入於陰, 搏則爲瘖.

有舌瘖喉瘖之異 詳見聲音.

내경에서는 "사기가 음분(陰分)에 침입하여 부딪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는데,

설음(舌瘖)과 후음(喉瘖)의 차이가 있다(자세한 것은 성음문에 있다).

不得語非止一端, 有舌强不語, 神昏不語, 口噤不語, 舌縱語澁, 舌麻語澁.

其間治痰治風安神養氣血, 各從活法治之[醫鑑].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만이 아니다.

혀가 뻣뻣하여 말을 하지 못하는 것, 정신이 흐려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이를 악물어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혀가 늘어져서 말을 더듬는 것,

혀가 마비되어 말을 더듬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는 담(痰)을 치료하여야 하는 것, 풍(風)을 치료하여야 하는 것,

정신을 안정시켜야 하는 것, 기혈을 보양하여야 하는 것이 있으므로

각각 그 활용하는 법에 따라 치료한다(의감).

有氣血虛損者, 有腎虛, 及老人忽言不出者,

宜於十全大補湯 方見虛勞 去桂, 加菖蒲遠志[入門].

기혈이 허손되었거나 신이 허하거나 노인이기 때문에 갑자기 말이 나오지 않으면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서 육계를 빼고 석창포·원지를 더하여 쓴다(입문).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言語譫妄] [언어섬망]   (0) 2018.02.23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0) 2017.05.14

[言語譫妄][언어섬망] 
自言曰 言, 答人曰 語(得效).
자기가 하는 말을 언(言)이라고 하고
다른 사람의 물음에 대답하는 말을 어(語)라고 한다[득효].
[內經註]曰 譫 亂語也 譫者 妄也.
내경주해에 “헛소리는 말을 허투로 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或自言平生常事, 或開目言 人所未見事 或獨語, 或睡中呢喃
或呻吟不已 甚則 狂言罵詈 俱謂之譫語 皆因胃熱乘心故也.
헛소리란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을 말한다.
혹은 자기 혼자 평상시 하던 일을 말하거나 눈을 뜨고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한
사실을 말하거나 혼자 말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거나 신음소리를 계속 내거나
심하게는 미친소리를 하고 욕설을 퍼붓는 것은 다 헛소리라고 한다.
이런 증산은 다 위(胃)의 열(熱)이 심(心)을 억눌러서 생긴 것이다.
[問]曰 邪入陽明 爲譫言妄語 此果陽明乎 罵詈
[答]曰 傷寒始自皮毛入 是從肺中來 肺主聲 入于心則爲言也.
[又]曰 合日自言 言所日用 常見常行之事 則譫語也.
大開目與人語 語所未嘗見之事 卽爲狂言也(東垣).
사기(邪氣)가 양명(陽明)에 들어가면 헛소리나 허튼 말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은 과연 양명 때문인가고 하는 물음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상한병(傷寒病) 초기에는 피모(皮毛)에 사기가 들어왔다가 폐로 들어간다.
폐는 소리를 주관하는데 그 소리를 심이 받아서 말이 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눈을 감고 자기 혼자소리로 늘 보고 듣고 하던 일을 말하는 것이 바로
헛소리이고 눈을 크게 뜨고 사람과 말하듯 아직 보지 못한 일을 말하는 것은
미친소리라고 하였다[동원].
譫語者 口出無倫 邪氣勝也(回春).
헛소리라는 것은 순서없는 말을 하는 것인데
이것은 사기(邪氣)가 성[勝]하기 때문이다[회춘].
衣被不歛 言語善惡 不避親疎者 此神明之亂也 乃狂疾也.
(內經 脈要精微論篇 第十七).
옷을 거두지 못하며 친하거나 낯선 사람을 갈라보지 못하고 쓸소리, 못쓸소리를
막 하는 것은 정신이 착란되었기 때문인데 이것이 바로 미친 병이다[내경].
悲泣呻吟 言語譫妄 此乃邪祟也(綱目).
슬프게 울기도 하고 신음소리도 내며 말을 허투루 하는 것이
바로 헛것에 들린 것이다[강목].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0) 2017.05.14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經] 肺主聲 入肝爲呼 入心爲言 入脾爲歌 入腎爲呻 自入爲哭.
난경에 “폐(肺)는 소리를 주관하며 간(肝)은 소리를 받아서 외치게 하고
심(心)은 소리를 받아서 말이 되게 하고 비(脾)는 소리를 받아서 노래가 되게 하고
신(腎)은 소리를 받아서 신음소리를 내게 하고 폐 자체는 소리를 받아서 울음소리를
내게 한다”고 씌어 있다.
[又]肺邪入心 爲譫言妄語.
또한 폐의 사기(邪氣)가 심에 침입하면 헛소리와 허튼 말을 하게 된다.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言語譫妄] [언어섬망]   (0) 2018.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