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拘杞酒][구기주]

補虛肥健人.能補益

枸杞子5升 淸酒2斗 硏搦浸7日 取出去滓飮之.

初以3合爲始 後則任性(本草).

[구기자술]

몸을 잘 보한다.

구기자 5되.

위의 약을 청주 2말에 넣고 갈아서 7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찌꺼기는 버리고 먹되

처음에는 3홉을 먹고 그 다음부터는 양껏 먹는다[본초].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門冬酒][천문동주]  (0) 2021.05.21
[地黃酒][지황주]  (0) 2021.05.20
[解烟熏][해연훈]  (0) 2021.05.18
[解鬱氣][해울기]  (0) 2021.05.17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0) 2021.05.16

[解烟熏][해연훈]

居民逃避 石室中 賊以烟火熏之

欲死迷悶中 摸索一束蘿葍嚼汁下咽而甦.

炭烟熏人 頭痛 嘔吐 往往致死 生蘿葍搗取汁飮之卽解,

無生則蘿葍子水硏 取汁服亦解(綱目).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

마을 사람들이 도적을 피하여 굴 속에 들어갔을 때

도적이 거기에 연기를 피워 취해서 죽게 하려고 하였다.

때문에 그들은 가만이 주변을 더듬어보니 무가 한묶음 있었다.

그것을 씹어서 즙을 내어 먹고 살아났다.

탄 냄새를 맡으면 머리가 아프면서 토하다가 흔히 죽을 수 있다.

이때에 무를 짓찧어 즙을 내서 먹으면 곧 풀린다.

생무가 없으면 무씨를 물에 갈아 즙을 내어 먹어도 풀린다[강목].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酒][지황주]  (0) 2021.05.20
[拘杞酒][구기주]  (0) 2021.05.19
[解鬱氣][해울기]  (0) 2021.05.17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0) 2021.05.16
[粘瓦石][점와석]  (0) 2021.05.15

[解鬱氣][해울기]

凡久閉空房不宜輒入

先以香物 及蒼朮 皂莢之類 焚之 使鬱氣消散 然後可入

不然感之成疾(種杏).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

오랫동안 문을 닫고 비워두었던 방에 곧 들어가서는 안 된다.

먼저 향기로운 물건이나 삽주(창출), 주염열매(조협) 같은 것들을

태워서 나쁜 공기가 흩어지게 한 다음 들어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감촉[感]되어 병이 생긴다[종행].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拘杞酒][구기주]  (0) 2021.05.19
[解烟熏][해연훈]  (0) 2021.05.18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0) 2021.05.16
[粘瓦石][점와석]  (0) 2021.05.15
[集鼠][집서]  (0) 2021.05.14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虎 食狗則醉.

猫 食薄荷則醉(瑣瑣)

[짐승이 먹으면 곧 취하는 것]

범이 개를 먹으면 곧 취한다.

고양이가 박하를 먹으면 곧 취한다[쇄언].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烟熏][해연훈]  (0) 2021.05.18
[解鬱氣][해울기]  (0) 2021.05.17
[粘瓦石][점와석]  (0) 2021.05.15
[集鼠][집서]  (0) 2021.05.14
[殺魚][살어]  (0) 2021.05.13

[粘瓦石][점와석]

楡白皮 濕搗如糊 用粘瓦石 極有力.

雞子白 和白礬末 粘磁器甚固(本草).

[기와나 돌을 붙이는 방법]

느릎나무속껍질[楡白皮]을 축여서 풀처럼 되게 짓찧어 기와나 돌을 붙이면 아주 세게 붙는다.

달걀 흰자위에 백반가루를 개서 사기를 붙이면 대단히 든든하다[본초].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鬱氣][해울기]  (0) 2021.05.17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0) 2021.05.16
[集鼠][집서]  (0) 2021.05.14
[殺魚][살어]  (0) 2021.05.13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0) 2021.05.12

[集鼠][집서]

蟹燒之 致鼠.

蟹黃幷熬燒烟 可以集鼠於庭.

蟹以黑犬血 灌之三日 燒之 諸鼠畢至(本草).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

게를 태우면 쥐가 모인다.

게장을 졸여서 태워 연기를 피우면 마당에 쥐가 모인다.

게한테 검정개의 피를 먹이고 3일 있다가

그것을 불에 태우면 모든 쥐가 다 모인다[본초].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獸食物卽醉][수식물즉취]  (0) 2021.05.16
[粘瓦石][점와석]  (0) 2021.05.15
[殺魚][살어]  (0) 2021.05.13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0) 2021.05.12
[辟蠹][벽두]  (0) 2021.05.11

[殺魚][살어]

巴豆 殺蟲魚,

川椒 殺一切魚 取皮挼水中可取魚.

楸木皮汁殺諸魚 置水中則魚盡死(俗方).

[물고기를 죽이는 방법]

파두는 벌레와 물고기를 죽게 한다.

조피열매[川草]는 일체 물고기를 다 죽게 한다.

그러므로 그 껍질을 문질러서 물 속에 넣으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또한 가래나무껍질즙[楸木皮汁]은 모든 물고기를 죽게 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물 속에 넣으면 물고기가 다 죽는다[속방].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粘瓦石][점와석]  (0) 2021.05.15
[集鼠][집서]  (0) 2021.05.14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0) 2021.05.12
[辟蠹][벽두]  (0) 2021.05.11
[辟蚊蠅][벽문승]  (0) 2021.05.10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狼毒 殺飛鳥走獸 亦殺鼠.

馬刀 殺禽獸 賊鼠(本草).

[새와 짐승과 쥐를 죽이는 방법]

오독도기[狼毒]로는 나는 새와 달아다니는[走] 짐승을 죽게 하는데 쥐도 죽게 한다.

말조개[馬刀]로는 새와 짐승과 쥐를 죽게 한다[본초].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集鼠][집서]  (0) 2021.05.14
[殺魚][살어]  (0) 2021.05.13
[辟蠹][벽두]  (0) 2021.05.11
[辟蚊蠅][벽문승]  (0) 2021.05.10
[辟蚤虱][벽조슬]  (0) 2021.05.08

[辟蠹][벽두]

鰻鱺魚 燒熏氈中斷蛀虫

置骨箱中斷白魚 免諸虫咬 衣服燒熏諸竹木 辟蛀虫.

蕓薹 辟蠹 置書中 無蠹患.

薺菜花 將去席下 辟虫蠹(本草).

榠楂 置衣箱中 殺蟲魚(本草).

烏賊骨 投井中 虫盡死(本草).

[좀을 없애는 방법]

뱀장어를 태워 연기를 피우면 담요 속에 있던 좀벌레가 없어진다.

또는 뱀장어뼈를 옷장 속에 넣어두면 좀이 없어지고 여러 가지 벌레가 옷을 쓸지 못한다.

여러 가지 참대나 나무를 태우면서 연기를 쏘이면 좀이 없어진다.

운대는 좀을 없앤다.

이것을 책 속에 넣어두면 좀먹을 우려가 없다.

냉이꽃[薺菜花]으로 자리 밑을 문지르면 좀벌레가 없어진다[본초].

명사를 옷장 속에 넣으면 좀벌레가 죽는다[본초].

오징어뼈[烏賊骨]를 우물에 넣으면 벌레가 다 죽는다[본초].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殺魚][살어]  (0) 2021.05.13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0) 2021.05.12
[辟蚊蠅][벽문승]  (0) 2021.05.10
[辟蚤虱][벽조슬]  (0) 2021.05.08
[香肥皂][향비조]  (0) 2021.05.07

[辟蚊蠅][벽문승]

五月 取浮萍陰乾 燒烟 去蚊子.

百部根 殺蚊蠓.

藍漆 殺蠅, 作末 和飯中蠅食之 盡死.

鰻鱺魚 乾者 燒室中 蚊化爲水.

五月五日 取蝙蝠 晒乾 和桂皮 乳香 爲末 燒之 去蚊(本草).

木鱉子 川芎 雄黃 爲末 燒之 蚊遠去(必用).

[모기와 파리를 없애는 방법]

음력 5월에 개구리밥[浮萍]을 그늘에 말려 태우면서 연기를 피우면 모기가 없어진다.

백부(百部)로는 파리와 구데기를 죽인다.

남칠(籃漆)로는 파리를 죽이는데 가루내어 밥에 섞어 놓으면 파리가 그것을 먹고 다 죽는다.

뱀장어를 말려 방안에서 태우면 모기가 물로 된다.

음력 5월 5일에 박쥐를 잡아 햇볕에 계피, 유황과 함께 가루내서 태우면 모기가 없어진다[본초].

목별자, 궁궁이(천궁), 석웅황을 가루내어 태우면 모기가 멀리 가버린다[필용].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殺禽獸賊鼠][살금수적서]  (0) 2021.05.12
[辟蠹][벽두]  (0) 2021.05.11
[辟蚤虱][벽조슬]  (0) 2021.05.08
[香肥皂][향비조]  (0) 2021.05.07
[淹藏果實法][엄장과실법]  (0) 2021.05.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