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感應元][감응원]
治積痢久痢, 赤白膿血相雜.
肉豆蔲 煨, 白薑 炮, 百草霜 各二兩,
木香 一兩半, 蓽澄茄, 三稜 炮, 丁香 各一兩,
巴豆 百粒 去皮心膜去油爲霜,
杏仁 百粒 去皮尖雙仁, 麩炒另硏, 酒煮,
蠟 四兩,
淸油 一兩.
右七味爲細末, 入巴豆杏仁末, 先將油煎蠟令熔化, 拌和藥末成劑.

每一兩, 分作十錠, 每一錠, 米飮調服.
或作丸菉豆大, 白湯呑下十丸[得效].
적리와 구리와 피고름이 섞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건강[白薑](싸서 구운 것), 백초상 각 두 냥,
목향 한 냥 반, 필징가, 삼릉(싸서 구운 것), 정향 각 한 냥,
파두 백 알(껍질과 알맹이의 막을 벗기고 기름을 빼서 상(霜)을 만든다),
행인 백 알(껍질, 끝[尖]과 쌍알로 되어 있는 것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따로 간다),
납(蠟, 술에 달인 것) 넉 냥,
참기름[淸油] 한 냥.
위의 약 중 파두, 행인, 청유를 제외한 일곱 가지 약을 곱게 가루낸 다음

여기에 파두와 행인가루를 넣는다.
먼저 참기름[油]에 납을 넣고 끓여 녹인 다음 약 가루를 넣어 반죽하여 약을 만든다.
이 약 한 냥으로 열 정(錠)을 만드는데, 한 번에 한 정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혹은 녹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열 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健胃保和元][건위보화원]   (0) 2019.01.02
[去三尸蟲元][거삼시충원]  (0) 2019.01.02
[加味靑娥元][가미청아원]  (0) 2019.01.01
[加味烏荊元][가미오형원]  (0) 2019.01.01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0) 2019.01.01

[加味靑娥元][가미청아원]
治腎腰或風寒血氣相搏爲痛.
破故紙 六兩 脂麻同炒, 變色, 去脂麻,
杜冲 六兩 薑汁浸炒,
胡桃肉, 沈香, 乳香, 沒藥 各三兩.
右爲末, 以肉蓯蓉 六兩, 酒浸成膏, 和藥擣千杵, 丸如梧子大, 溫酒或鹽湯下, 五七十丸[醫鑑].
신이 허하여 허리가 아픈 것이나,

풍한(風寒)이 들어와 혈기와 서로 부딪쳐서 아프게 된 것을 치료한다.
파고지 엿 냥(참깨와 함께 색이 변할 때까지 볶아서 참깨를 버린다),
두충 엿 냥(생강즙에 담갔다가 볶는다),
호도육, 침향, 유향, 몰약 각 석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육종용 엿 냥(술에 담갔다가 고(膏)를 만든다)과 섞어서 잘 짓찧어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쉰에서 일흔 알씩 따뜻한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去三尸蟲元][거삼시충원]  (0) 2019.01.02
[感應元][감응원]  (0) 2019.01.02
[加味烏荊元][가미오형원]  (0) 2019.01.01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0) 2019.01.01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0) 2019.01.01

[加味烏荊元][가미오형원]
治癮疹上攻頭面, 赤腫瘙痒, 皮脫落作瘡, 浸淫走注, 有似虫行.
川烏 湯洗三五次焙, 荊芥穗 各四兩, 薄荷 二兩半, 當歸 洗浸, 三日焙乾 八兩.
右末, 醋煮米粉糊和丸, 梧子大, 溫酒下五七十丸[得效].
은진이 머리와 얼굴로 치받아 올라 벌겋게 붓고 가려우면서

피부가 떨어져나가 헐고 퍼져나가 마치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것을 치료한다.
천오(끓는 물에 세 번에서 다섯 번 씻은 후 약한 불에 말린 것), 형개수 각 넉 냥,
박하 두 냥 반,
당귀(물에 씻어서 사흘 동안 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에 말린 것) 여덟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쌀가루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쉰에서 일흔 알씩 따뜻하게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感應元][감응원]  (0) 2019.01.02
[加味靑娥元][가미청아원]  (0) 2019.01.01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0) 2019.01.01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0) 2019.01.01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0) 2019.01.01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治痰涎留于心包, 精神不守, 健忘恍惚, 或風涎潮作, 手足抽掣.
大半夏 薑製 六兩, 天南星 炮 三兩,

朱砂 水飛 一兩

爲衣, 琥珀, 白礬枯 各五錢,

母眞珠 一錢.
右爲末, 薑汁麪糊和丸, 梧子大, 朱砂爲衣. 薑湯下三五十丸[得效].
담연(痰涎)이 심포에 머물러 정(精)과 신(神)이 지켜지지 않아 잘 잊어버리고

정신이 흐릿하거나, 풍연(風涎)이 밀려와 손발이 오그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대반하(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여섯 냥,
천남성(싸서 구운 것) 석 냥,
주사(수비한 것) 한 냥(옷을 입힌다),
호박, 고백반 각 다섯 돈,
모진주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밀가루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든 다음 주사로 옷을 입힌다.
생강 달인 물로 서른에서 쉰 알씩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靑娥元][가미청아원]  (0) 2019.01.01
[加味烏荊元][가미오형원]  (0) 2019.01.01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0) 2019.01.01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0) 2019.01.01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治肝腎俱虛, 脚膝痿疼痿弱, 或受風寒濕氣, 以致脚痛.
牛膝 酒浸 一兩半,

川烏, 虎脛骨, 肉蓯蓉 各一兩,

乳香, 沒藥 各五錢,

木瓜 一箇 蒸熟.
右爲末, 入木瓜膏, 和酒糊丸如梧子, 溫酒或鹽湯下七十丸[濟生].
간과 신의 기가 모두 허하여 다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프며

마르고 약한 것과 풍한습의 사기를 받아 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우슬(술에 담갔던 것) 한 냥 반,

천오, 호경골, 육종용 각 한 냥,

유향, 몰약 각 닷 돈,

모과(쪄서 익힌 것) 한 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모과고에 넣고 술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일흔 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烏荊元][가미오형원]  (0) 2019.01.01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0) 2019.01.01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0) 2019.01.01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0) 2019.01.01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治諸痔 及腸風 藏毒 通用
槐角 生乾地黃 各80g
當歸 黃芪 黃連 條芩 枳殼 秦艽 防風 連翹 地楡 升麻 各40g
阿膠 川芎 白芷 各20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溫酒 或米飮 下50~70丸 空心(丹心).
여러 가지 치질과 장풍장독(腸風藏毒)을 두루 치료한다.
홰나무열매(괴실), 생건지황 각각 80g,
당귀, 황기, 황련, 속썩은풀(황금), 지각, 진교, 방풍, 연교, 오이풀뿌리(지유), 승마 각각 40g,

갖풀(아교),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壽星元][가미수성원]  (0) 2019.01.01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0) 2019.01.01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0) 2019.01.01
[加減駐景元][가감주경원]  (0) 2019.01.01

[家韭子元][가구자원]
治腎陽衰敗, 脬冷遺尿不禁.
家韭子 略炒 六兩,
鹿茸 燎去毛 四兩,
肉蓯蓉 酒浸, 牛膝 酒浸, 熟地黃, 當歸 酒洗 各二兩,
兔絲子 酒製, 巴戟 各一兩半,
杜冲 炒, 石斛 酒洗, 乾薑 炮, 桂心 各一兩.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 或鹽湯下百丸[得效].
신의 양기가 쇠약하고 포가 냉해져 오줌이 저절로 나오고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구자(대충 볶은 것) 여섯 냥,
녹용(불로 털을 태운 것) 넉 냥,
육종용(술에 담근 것), 우슬(술에 담근 것), 숙지황, 당귀(술로 씻은 것) 각 두 냥,
토사자(술로 법제한 것), 파극 각 한 냥 반,
두충(볶은 것), 석곡(술로 씻은 것), 건강(싸서 구운 것), 계심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백 알씩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四斤元][가미사근원]  (0) 2019.01.01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0) 2019.01.01
[加減駐景元][가감주경원]  (0) 2019.01.01
[加減四斤元][가감사근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方見五藏 此方 有五味子最爲得力 不惟止渴
亦免生癰疽 久服永除渴疾 氣血加壯(得效).
以下 五藏
專補腎水 兼補命門火.
熟地黃75g
山藥微炒 山茱萸 各37.5g
澤瀉酒蒸 牧丹皮 白茯苓 各30g
五味子略炒56.5g, 肉桂18.75g.
爲末 蜜丸梧子大 五更初 未言語時 塩湯 或溫酒 下五七十丸.
又晩間 空腹再服 或以此材 細剉 煎服 名曰[加減八味湯].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槐角元][가미괴각원]  (0) 2019.01.01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減駐景元][가감주경원]  (0) 2019.01.01
[加減四斤元][가감사근원]  (0) 2019.01.01
[加減薄荷煎元][가감박하전원]  (0) 2019.01.01

[加減駐景元][가감주경원]
治肝腎俱虛, 兩眼昏暗.
兔絲子 八兩,
枸杞子, 五味子, 車前子, 楮實子, 川椒 炒 各一兩,
熟地黃, 當歸身 各五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溫酒或鹽湯下五七十丸[簡易].
간과 신이 모두 허하여 양쪽 눈이 어둡고 침침한 것을 치료한다.
토사자 여덟 냥,
구기자, 오미자, 차전자, 저실자, 천초(볶은 것) 각 한 냥,
숙지황, 당귀신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쉰에서 일흔 알씩 따뜻하게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간이).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0) 2019.01.01
[加減四斤元][가감사근원]  (0) 2019.01.01
[加減薄荷煎元][가감박하전원]  (0) 2019.01.01
[加減薄荷元][가감박하원]  (0) 2019.01.01

[鹿茸四斤丸][녹용사근환]
治身軟 筋骨痿弱
肉蓯蓉 牛膝 木瓜 免絲子 熟地黃 鹿茸 天麻 杜冲 五味子 各等分
爲末 蜜丸梧子大 溫酒或米飮下 30~50丸(局方).
一名, [加減四斤丸] (綱目) 加 當歸 淸塩尤妙(入門).
신연(身軟)과 힘줄과 뼈가 늘어지고 약한 것을 치료한다.
육종용, 쇠무릎(우슬), 모과, 새삼씨(토사자), 찐지황(숙지황),
녹용, 천마, 두충, 오미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일명 가감사근원(加減四斤元)이라고도 한다[강목].

'[處方箋] > [處方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家韭子元][가구자원]  (0) 2019.01.01
[加減八味元][가감팔미원]  (0) 2019.01.01
[加減駐景元][가감주경원]  (0) 2019.01.01
[加減薄荷煎元][가감박하전원]  (0) 2019.01.01
[加減薄荷元][가감박하원]  (0) 2019.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