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數][삭]
陽脈也.
一息六至, 去來促急.
又曰, 過平脈兩至曰數.
삭맥(數脈)은 양맥이다.
한 번 숨쉴 때 여섯 번 뛰며 맥이 오가는 것이 빠르고 급하다.
어떤 곳에서는 "정상맥[平脈]보다 두 배로 뛰는 것을 삭맥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數爲心煩, 數而有力爲熱, 無力爲瘡[丹心].
삭맥은 심번(心煩)이 있을 때 나타난다.
힘있는 삭맥이 나타나면 열증이고, 힘없는 삭맥이 나타나면 종기가 난 것이다(단심).
[數][삭]
陽脈也.
一息六至, 去來促急.
又曰, 過平脈兩至曰數.
삭맥(數脈)은 양맥이다.
한 번 숨쉴 때 여섯 번 뛰며 맥이 오가는 것이 빠르고 급하다.
어떤 곳에서는 "정상맥[平脈]보다 두 배로 뛰는 것을 삭맥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數爲心煩, 數而有力爲熱, 無力爲瘡[丹心].
삭맥은 심번(心煩)이 있을 때 나타난다.
힘있는 삭맥이 나타나면 열증이고, 힘없는 삭맥이 나타나면 종기가 난 것이다(단심).
[細][세]
陰脈也.
較微脈差大耳, 細如一線, 小而有力.
又曰, 細細如絲, 來往極微.
세맥(細脈)은 음맥이다.
세맥은 미맥보다 약간 클 뿐으로, 한줄기 실처럼 가늘며 작지만 힘이 있다.
어떤 곳에서는 "세맥은 가느다란 실과 같은 맥으로,
맥이 오가는 것이 매우 미미하다"라고 하였다.
細爲精血不足, 脛痠髓冷.
又曰, 細爲氣少[丹心].
세맥은 정혈(精血)이 부족하여 정강이가 시리고 뼛속이 차가울 때 나타난다.
또 어떤 곳에서는 "세맥은 기가 부족할 때 나타난다"고 하였다(단심).
[動][동]
陰脈也.
數脈, 見於關上, 上下無頭尾, 大如豆, 厥厥然動搖, 名曰動.
又曰, 不往不來, 不離其處, 多於關部見之.
動者, 陰陽氣相搏耳, 陰陽和則脈不動也.
동맥(動脈)은 음맥이다. 빠르게 뛰는 맥이 관(關) 부위에서만 나타나고
맥의 앞뒤가 없으며 콩알만한 것이 톡톡 뛰는 것을 동맥이라고 한다.
어떤 곳에서는 "동맥은 맥이 오가는 것이 없고 뛰는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대부분 관 부위에서 나타난다.
동맥은 음양의 기가 서로 부딪힌 것뿐이므로 음양의 기가 조화로우면
동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陰陽相搏, 名曰動.
陽動則陽虛, 故汗出, 陰動則陰虛, 故發熱.
又曰, 動爲驚爲痛爲血痢爲崩漏[丹心].
음양이 서로 부딪혔을 때 나타나는 맥이 동맥이다.
양(陽)의 부위[寸]에서 동맥이 나타나면 양이 허해서 땀이 나고,
음(陰)의 부위[尺]에서 동맥이 나타나면 음이 허해서 열이 난다.
어떤 곳에서는 "동맥은 크게 놀라거나, 아프거나, 혈리가 있거나,
붕루가 있을 때 나타난다"고 하였다(단심).
[牢][뇌]
牢, 卽革脈也, 陽脈也.
沈而有力, 動而不移曰牢.
牢比弦緊, 轉堅而勁.
뇌맥(牢脈)은 혁맥(革脈)으로, 양맥이다.
가라앉아 있으면서도 힘이 있고 움직여보아도 이동하지 않는 맥이 뇌맥이다.
뇌맥은 현맥과 긴맥에 비하여 더욱 단단하고 굳게 뛴다.
寒虛相搏, 則革.
婦人則半產崩漏, 男子則亡血失精[丹心].
한사(寒邪)가 몸이 허(虛)한 상태에 들어와 서로 부딪힐 때 혁맥이 나타난다.
부인이 유산을 하였거나 심한 하혈을 할 때,
또는 남자가 피를 많이 흘렸거나 실정(失精)이 되었을 때 뇌맥이 나타난다(단심).
[代][대]
陰脈也.
動而中止, 不能自還, 因而復動, 由是復止.
尋之良久, 乃復强起, 曰代.
又曰, 動中一止, 停久乃還. 代者, 更代也.
止歇有定數, 未比促結止而不定.
대맥(代脈)은 음맥이다.
맥이 뛰다가 멈춰서 저절로 되돌아오지 못하다가 다시 뛰는데 또다시 멎는다.
한참 동안 누르고 있으면 다시 세게 뛰는 맥을 대맥이라고 한다.
어떤 곳에서는 "맥이 뛰다가 한 번 쉬는데, 오랫동안 멈췄다가 또다시 뛰는 맥이다.
여기서 '대(代)'란 뛰는 것과 멈추는 것이 번갈아 든다는 뜻이다.
대맥은 멎는 횟수가 일정하여 멎는 것이 일정하지 않은 촉맥이나 결맥과는 다르다.
代者, 藏氣絶, 危亡之脈也.
代爲脾元氣衰[丹心].
대맥은 오장의 기가 끊어졌을 때 나타나는 매우 위험한 맥이다.
대맥은 비(脾)의 원기가 쇠약해졌을 때 나타난다(단심).
[結][결]
陰脈也.
往來遲緩, 時一止復來.
又曰, 指下聚而却還曰結.
결맥(結脈)은 음맥이다.
맥이 오가는 것이 느리고 부드럽지만, 때때로 한 번 쉬었다가 다시 뛴다.
어떤 곳에서는 "손끝에 모였다가 도리어 물러가는 맥이 결맥이다"라고 하였다.
結爲陰盛爲積聚[丹心].
결맥은 음(陰)이 너무 왕성하거나 적취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맥이다(단심).
[促][촉]
陽脈也.
來去數, 時一止復來.
又曰, 尋之極數.
촉맥(促脈)은 양맥이다.
맥이 오가는 것이 빠르지만 때때로 한 번 쉬었다가 다시 뛴다.
어떤 곳에서는 "세게 누르면 아주 빠르게 뛰는 맥이다"라고 하였다.
促爲怒, 厥熱極.
老人及久病得之, 非福[丹心].
촉맥은 화를 냈거나, 궐열병이 심해졌을 때 나타난다.
어떤 곳에서는 "노인이나 오랫동안 병을 앓은 사람에게
촉맥이 나타나면 좋지 않다"고 하였다(단심).
[虛][허]
陰脈也.
遲大而軟, 輕擧指下豁然而空.
又曰, 尋之不足, 擧之有餘.
허맥(虛脈)은 음맥이다. 느리고 크면서도 부드럽게 뛰며
손가락을 눌렀다가 조금 들어올려도 뻥 뚫린 듯 속이 비어 있다.
어떤 곳에서는 "세게 누르면 맥이 없지만, 손가락을 들면 맥이 뛴다"고 하였다.
虛者, 血氣俱虛之候.
又曰, 虛爲傷暑之脈[丹心].
허맥은 기혈이 모두 허할 때 나타나는 맥이다.
어떤 곳에서는 "허맥은 더위에 상했을 때 나타나는 맥이다"라고 하였다(단심).
[短][단]
陰脈也.
兩頭無, 中間有, 不及本位曰短.
단맥(短脈)은 음맥이다.
양쪽 끝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가운데에서만 나타나며
제자리까지 미치지 못하므로 단맥이라고 한다.
爲心腹痛, 爲宿食, 爲氣鬱.
又曰, 諸病脈短, 皆難治, 盖短則氣病, 無胃氣故也[丹心].
단맥은 심복통(心腹痛)이 있거나 숙식(宿食)이 있거나 기가 뭉쳤을 때 나타난다.
어떤 곳에서는 "모든 병에 단맥이 나타나면 모두 치료하기 어려운데,
단맥은 기병(氣病)으로 위기(胃氣)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단심).
[長][장]
陽脈也.
按之洪大而長, 出於本位, 三關通度.
장맥(長脈)은 양맥이다.
누르면 크게 출렁이면서 길게 이어지는 맥으로,
제자리에서 벗어나 삼부[寸關尺] 밖으로 뻗쳐서 나타난다.
氣血俱有餘也.
長爲陽毒, 主三焦熱, 及渾身壯熱.
又曰, 長而緩者, 胃脈也, 百病皆愈.
盖長則氣治也[丹心].
장맥은 기혈이 모두 많을 때 나타난다.
또한 장맥은 양독(陽毒)이 있을 때 나타나며,
삼초열(三焦熱)과 온몸에 심한 열이 날 때 나타난다.
어떤 곳에서는 "맥이 장(長)하면서 완(緩)한 것은 위(胃)의 맥으로 모든 병이 낫는다.
장맥이 나타나면 기(氣)가 다스려진 것이다"라고 하였다(단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