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陽脈也. 勁直以長如弦.

又曰, 擧之無有, 按之如弓弦狀.
현맥(弦脈)은 양맥이다. 팽팽하면서 길게 늘어지는 것이 마치 활시위를 만지는 것 같다.
어떤 곳에서는 "현맥은 손가락으로 살짝 대면 없는 듯 있는 듯하지만,

눌러보면 마치 활시위를 만지는 듯하다"고 하였다.
弦者, 氣血收斂不舒之候.

又曰, 弦脈爲勞, 爲寒熱瘧, 爲拘急痛, 偏弦爲飮[入門].
현맥은 기혈이 안으로만 수렴되고 퍼지지 못할 때 생기는 맥이다.
또한 현맥은 과로하거나 추웠다 더웠다 하는

학병(瘧病)이 있거나 힘줄이 당겨서 아플 때 나타나고,

한쪽 손에서만 현맥이 나타나면 담음(痰飮)이 있는 것이다(입문).
最難調治者, 弦脈也.

弦爲肝脈, 肝木尅脾土, 五藏俱傷故也[丹心].
몸을 조리하거나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병이 바로 현맥이 나타나는 병이다.
왜냐하면 현맥은 간(肝)의 맥으로 목(木)에 속하는 간이 토(土)에 속하는 비(脾)를

극(尅)하여서 오장이 모두 상하였을 때 나타나기 때문이다(단심).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홍]   (0) 2020.03.12
[緊][긴]   (0) 2020.03.12
[實][실]   (0) 2020.03.12
[滑][활]   (0) 2020.03.12
[芤][규]  (0) 2020.03.12

[][실]
陽脈也.

擧按皆有力, 隱指愊愊然, 浮中沈皆有力曰實.

又曰, 健而有力.
실맥(實脈)은 양맥이다.

손가락으로 살짝 대거나 꾹 눌러도 힘차게 뛰며, 손가락에 맥이 팍팍 뛰는 느낌이 와 닿는다.
살갗이나 살 속, 뼈 근처에서 모두 힘차게 뛰는 맥이 실맥이다.
어떤 곳에서는 "실맥은 '굳세고 힘차게 뛰는 맥'이다"라고 하였다.
實者, 三焦氣滿之候.

又曰, 實爲熱爲吐[入門].
실맥은 삼초(三焦)에서 기가 가득 차 있을 때 나타나는 맥이다.

또한 실맥은 열이 있거나 토할 때 나타난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緊][긴]   (0) 2020.03.12
[弦][현]   (0) 2020.03.12
[滑][활]   (0) 2020.03.12
[芤][규]  (0) 2020.03.12
[浮][부]   (0) 2020.03.12

[][활]
陽脈也.

按之累累如珠. 往來疾速.

又曰, 往來流利, 應指圓滑如珠.
활맥(滑脈)은 양맥이다.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구슬 목걸이를 만지는 듯하며 뛰는 것이 매끄럽고 빠르다.
어떤 곳에서는 "활맥은 물 흐르듯 막힘 없이 뛰는데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둥글고 매끈한 구슬을 만지는 듯하다"고 하였다.  
滑爲多痰.

滑者, 血實氣壅之候.

滑而不斷絶者, 經不閉也, 其有斷絶者, 經閉也.

盖滑主月經閉也[入門]
활맥이 나타나면 담이 많은 것이다.

또한 활맥은 혈(血)이 실하고 기(氣)가 막혔을 때 나타난다.

맥이 활하면서 끊어지지 않고 계속 뛰면 월경이 끊어지지 않은 것이고,

활하면서 중간에 맥이 끊어지면 월경이 끊어진 것이다.

그러나 활맥은 주로 월경이 끊어졌을 때 나타난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弦][현]   (0) 2020.03.12
[實][실]   (0) 2020.03.12
[芤][규]  (0) 2020.03.12
[浮][부]   (0) 2020.03.12
[二十七脈][이십칠맥]   (0) 2020.03.12

[][규]
陽脈也.

浮大而軟, 按之中空傍實, 如按葱葉.

芤者, 葱葉也.
규맥(芤脈)은 양맥이다.
맥이 떠 있는 듯하고[浮] 크게 느껴지지만[大] 부드럽고,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가운데에서는 뛰지 않고 아래위에서만 힘차게 뛰는데,

마치 [속이 비어 있는] 파의 잎을 누르는 것 같다.

규(芤)는 파의 잎이다.
芤者, 失血之候, 爲吐衄便尿等血[入門].
규맥은 피를 흘렸을 때, 즉 입으로 피를 토하거나 코에서 피가 나거나

대변을 볼 때 피가 나거나 소변을 볼 때 피가 나올 때 나타나는 맥이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實][실]   (0) 2020.03.12
[滑][활]   (0) 2020.03.12
[浮][부]   (0) 2020.03.12
[二十七脈][이십칠맥]   (0) 2020.03.12
[寸關尺合一寸九分][촌관척합한치구분]   (0) 2020.03.12

[][부]   
陽脈也. 按之不足, 擧之有餘.

脈在肉上行也, 瞥瞥如羹上肌.

又曰, 泛泛浮浮如水漂木.
부맥(浮脈)은 양맥에 속한다.

손가락으로 꾹 누르면 미약하게 뛰지만, 살짝 들어올리면 힘차게 뛴다.
맥이 살 위에서 뛰고 있으므로 마치 국을 끓일 때 살코기가 언뜻언뜻 보이는 것과 같다.
또한 부맥은 '물 위에 둥둥 떠다니는 나무와 같다'라고도 한다.
浮爲風爲虛, 浮而有力爲風, 無力爲虛.

又曰, 浮者風虛, 運動之候[入門].
부맥은 풍증이나 허증일 때 나타나는데 힘차게 뛰면 풍증이고, 힘없이 뛰면 허증이다.
어떤 곳에서는 "부맥은 풍증이나 허증에서 나타나며 병이 움직일 때 나타난다"고 하였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滑][활]   (0) 2020.03.12
[芤][규]  (0) 2020.03.12
[二十七脈][이십칠맥]   (0) 2020.03.12
[寸關尺合一寸九分][촌관척합한치구분]   (0) 2020.03.12
[人迎氣口脈][인영기구맥]   (0) 2020.03.12

[二十七脈][이십칠맥]  
浮芤滑實弦緊, 洪爲七表脈, 微沈緩瀒遲伏濡弱, 爲八裏脈.

長短虛促結代牢動細, 爲九道脈, 又有數脈大脈散脈, 合爲二十七脈也[入門].
부맥, 규맥, 활맥, 실맥, 현맥, 긴맥, 홍맥은 일곱 가지 표맥(表脈)이고,

미맥, 침맥, 완맥, 삽맥, 지맥, 복맥, 유맥, 약맥은 여덟 가지 이맥(裏脈)이다.

장맥, 단맥, 허맥, 촉맥, 결맥, 대맥, 뇌맥, 동맥, 세맥은 아홉 가지 도맥(道脈)이고,

여기에 삭맥, 대맥, 산맥을 합하면 이십칠맥이 된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芤][규]  (0) 2020.03.12
[浮][부]   (0) 2020.03.12
[寸關尺合一寸九分][촌관척합한치구분]   (0) 2020.03.12
[人迎氣口脈][인영기구맥]   (0) 2020.03.12
[六部脈圖][육부맥도]   (0) 2020.03.12

[寸關尺合一寸九分][촌관척합한치구분]
寸脈六分, 關脈六分, 其上三分, 入于寸內. 是陽得寸內九分, 陽數九也.

尺內七分, 關下三分, 入于尺內.

是陰得尺內一寸, 陰數十也. 終始一寸九分者, 此也[醫鑑].
촌맥의 길이는 여섯 푼이고,

관맥의 길이도 여섯 푼이지만 관맥의 위쪽 서 푼이 촌맥의 구역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양(陽)인 촌맥은 모두 아홉 푼인데 양의 수는 구(九)이다.

척맥의 길이는 일곱 푼이지만, 관맥의 아래쪽 서 푼이 척맥의 구역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음(陰)인 척맥은 모두 한 치[열 푼]가 되는데, 음의 수는 십(十)이다.

처음[촌]부터 끝[척]까지의 길이가 한 치 아홉 푼이란 말은 바로 이런 의미이다(의감).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浮][부]   (0) 2020.03.12
[二十七脈][이십칠맥]   (0) 2020.03.12
[人迎氣口脈][인영기구맥]   (0) 2020.03.12
[六部脈圖][육부맥도]   (0) 2020.03.12
[六脈陰陽錯綜]육맥음양착종]   (0) 2020.03.12

[人迎氣口脈][인영기구맥]
左手關前, 曰人迎, 右手關前, 曰氣口, 兩關之後一分, 卽曰神門.

故脈法讚曰, 肝心出左, 脾肺出右, 腎與命門, 俱出尺部.

魂魄穀神, 皆見寸口[東垣].
왼손 관맥의 앞쪽을 인영(人迎)이라 하고 오른손 관맥의 앞쪽을 기구(氣口)라고 하며,

양손 관맥에서 한 푼 뒤쪽을 신문(神門)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맥법찬에서는 "간(肝)과 심(心)의 기는 왼쪽에서 나타나고,

비(脾)와 폐(肺)의 기는 오른쪽에서 나타나며 신과 명문의 기는 모두 척부에서 나타난다.

그리고 혼백과 곡기[穀神]의 상태는 모두 촌구에서 나타난다"고 하였다(동원).
關前一分, 人命之主, 左爲人迎, 右爲氣口.

神門決斷, 兩在關後, 故曰人迎緊盛, 傷於寒, 氣口緊盛, 傷於食.

此兩脈有內傷外感之辨也[脈贊].
관맥에서 한 푼 앞쪽에는 사람의 목숨을 주관하는 곳이 있는데,

왼쪽을 인영이라 하고, 오른쪽을 기구라고 한다.

신문을 진맥하면 생사를 결정할 수 있는데 양쪽 관맥 뒤쪽에 있다.

그러므로 인영의 맥이 긴성(緊盛)하면 한사(寒邪)에 상한 것이고,

기구의 맥이 긴성하면 음식을 잘못 먹어서 상한 것이다.

그러므로 두 곳의 맥에는 내상(內傷)과 외감(外感)의 구별이 있다(맥찬).  


[六部脈圖][육부맥도]




[六脈陰陽錯綜]육맥음양착종]
左尺水生左關木, 左關木生左寸火,

左寸火接右尺火, 右尺火生右關土, 右關土生右寸金,

右寸金生左尺水, 生生之意不絶, 有子母之親也[入門].
왼손 척맥의 수기(水氣)는 왼손 관맥의 목기(木氣)를 생(生)하고,

왼손 관맥의 목기는 왼손 촌맥의 화기(火氣)를 생한다.

왼손 촌맥의 화기는 오른손 척맥의 화기와 이어지고,

오른손 척맥의 화기는 오른손 관맥의 토기(土氣)를 생한다.

오른손 관맥의 토기는 오른손 촌맥의 금기(金氣)를 생하고,

오른손 촌맥의 금기는 왼손 척맥의 수기를 생한다.

살아 있는 것을 살게 해주려는 뜻이 끊임없이 이어지니

여기에도 자식과 어머니의 피붙이 관계가 있다(입문).
左寸火剋右寸金, 左關木剋右關土,

左尺水剋右尺火, 左剛右柔, 有夫婦之別也[入門].
왼손 촌맥의 화기는 오른손 촌맥의 금기를 극(剋)하고,

왼손 관맥의 목기는 오른손 관맥의 토기를 극한다.

왼손 척맥의 수기는 오른손 척맥의 화기를 극하는데,

왼쪽은 굳세고 오른쪽은 부드러우니 여기에도 남편과 아내의 분별이 있다(입문).
左手屬陽, 右手屬陰, 左寸君火, 以尊而在上,

右尺相火, 以卑而在下, 有君臣之道也[入門].
왼손은 양(陽)에 속하고 오른손은 음(陰)에 속하는데,

왼손의 촌맥은 군화로 지위가 높으므로 위치 또한 높은 곳에 있으며,

오른손의 척맥은 상화로 지위가 낮으므로

위치 또한 낮은 곳에 있으니 여기에도 임금과 신하의 도리가 있다(입문). 


'[外形篇] > [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迎氣口脈][인영기구맥]   (0) 2020.03.12
[六部脈圖][육부맥도]   (0) 2020.03.12
[寸口者脈之大要會][총구자맥지대요회]   (0) 2020.03.12
[脈動有準][맥동유준]   (0) 2020.03.12
[奇經八脈][기경팔맥]   (0) 2020.03.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