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虛盛][음양허성]
內經曰 陽虛則外寒 陰虛則內熱 陽盛則外熱 陰盛則外寒
『내경』에 “양(陽)이 허하면 겉이 차고[寒] 음(陰)이 허하면 속에 열(熱)이 생긴다.

양이 성하면 겉에 열이 생기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진다[寒]”고 하였다.
陽虛生外寒者 陽受氣於上焦 以溫皮膚分肉之間 今寒氣在外

則上焦不通 上焦不通 則寒氣獨留於外 故寒慄(內經 經論篇 第六十二).
양(陽)이 허(虛)하면 겉이 차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양은 상초(上焦)에서 기를 받아 피부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는데

찬 기운이 겉에 있게 되면 상초가 잘 통하지 못한다.

상초가 잘 통하지 못하면 찬 기운이 겉에 머물러 있게 되므로 겉이 차진다.

이때에는 춥고 떨린다[내경].
陰虛生內熱者 有所勞倦 形氣衰少 穀氣不盛

上焦不行 下脘不通 胃氣熱 熱氣熏胸中 故內熱(內經 調經論篇 第六十二).
음(陰)이 허(虛)하면 속에 열이 생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면 형체와 기가 쇠약해지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상초의 기가 잘 돌지 못하고 하초(下焦)가 잘 통하지 못하여 위기(胃氣)가 열(熱)해진다.

그러면 그 열기가 가슴을 훈증하기 때문에 속에 열이 생긴다[내경].
陽盛生外熱者 上焦不通利 則皮膚緻密 腠理閉塞 玄府不通 衛氣不得泄越 故外熱(內經)
양(陽)이 성(盛)하면 겉에 열이 생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초(上焦)가 잘 통하지 못하면 피부가 치밀(緻密)해지면서

주리( 理)가 막히게 되어 땀구멍이 통하지 못한다.

그러면 위기(衛氣)가 잘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겉에 열이 생긴다[내경].
陰盛生內寒者 厥氣上逆 寒氣績於胸中而不瀉

不瀉則溫氣去 寒獨留 則血凝 血凝則脈不通

其脈盛大以濇 故內寒(內經 調經論篇 第六十二).
음양이 허하고 실한 것[陰陽虛盛]
음(陰)이 성(盛)하면 속이 차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늘한 기운이 위[上]로 거슬러 올라가면 찬 기운이 가슴에 몰려서 나가지 못한다.

그러면 따뜻한 기운은 없어지고 찬 기운만 머물러 있게 되므로 속이 차진다.

이와 같이 되면서 혈이 응체[凝]되는데 혈맥이 잘 통하지 못한다.

때문에 맥이 성대(盛大)하면서 색( )한데 이것은 속이 차기 때문이다[내경].

'[雜病篇] > [辨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求屬法][구속법]   (0) 2020.04.14
[寒熱傷形氣][한열상형기]   (0) 2020.04.14
[內傷精神][내상정신]   (0) 2020.04.14
[陰陽生病][음양생병]  (0) 2018.02.18
[五實五虛][오실오허]  (0) 2017.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