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別論][음양별론]

 

黃帝問曰

人有四經十二從何謂

황제께서 물으셨다.

인체에는 4경과 12종이 있다고 들었는데 무슨 뜻이요?

 

岐伯對曰四經應四時

十二從應十二月十二月應十二脉.

脉有陰陽知陽者知陰知陰者知陽

기백이 대답하였다.

4경이라 하는 것은 간 심 폐 신의 4경맥이 춘 하 추 동의 4시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12종에 대하여 말씀드린다면, 4시의 춘하추동의 각각에 있어서 봄에는 인(3) (사월) (5), 여름에는 사(6) (7) (팔월), 가을에는 신(구월) (10) (십일월), 겨울에는 해(12) (정월) (2)의 배당이 있으며, 이 인에서 축까지가 정월에서 12월까지의 12개월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12개월이 사람의 손과 발의 33양의 12경맥에 해당함을 12종이라 합니다.

맥에는 여러 가지 뜻으로서 음양이 있습니다.

따라서 병에 관해서는 이 온갖 의미의 음양을 모두 숙지하여 진단을 해야 합니다.

 

凡陽有五五五二十五陽

所謂陰者眞藏也

見則爲敗敗必死也

所謂陽者胃之陽也

別於陽者知病處也

別於陰者知死生之期.

양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5장의 양기를 뜻할 때는 5장의 각각에 특유한 맥이 있는데다가 그 자기의 맥에 또한 춘하추동과 여름의 중앙인 다섯 계절의 맥이 나타나므로 엄밀하게는 1년 중에서 총계 25 종류의 맥이 구별됩니다.

5장의 음기를 나타내는 진장의 맥은 5장 그 자체의 진맥이며,

그것은 간의 순현, 심장의 순구, 폐의 순목, 신의 순석의 맥을 말합니다.

이들 맥이 나타나면 인체의 생명력이 손상되며, 마침내 죽게 됩니다.

5장의 양기를 나타내는 맥은 음식물의 정미에 의한 것이며, 소위 위기입니다.

이 위기와 5장의 진맥이 조화되면 5장 각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맥으로 됩니다.

이 맥의 양기 즉 위기를 알 수 있는 사람에게는 손상된 부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음의 맥기 즉 진장의 맥이 판별되는 사람에게는 손상된 장기와 5행적 시기와의 관계에서 환자의 사생의 시기를 예지할 수 있습니다.

 

三陽在頭三陰在手所謂一也

別於陽者知病忌時

別於陰者知死生之期

謹熟陰陽無與衆謀

두부에는 인영맥이 있고, 손에는 촌구맥이 있으며,

인영맥은 3양을 나타내고, 촌구맥은 3음을 나타냅니다.

이 양자는 조화되어야 하므로 그 관점에서 말하면 부위는 다를지라도 결국 하나의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양의 상태를 잘 진단할 수 있는 사람은 환자가 악영향을 받는 시기를 알며, 음의 상태를 잘 진단할 수 있는 사람은 환자의 사생 존망의 위기를 알게 됩니다.

마음을 가다듬어 이들 각종 음양의 진단법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코 다른 어리석은 이론에 생각을 흐트려서는 안 됩니다.

 

所謂陰陽者去者爲陰至者爲陽

靜者爲陰動者爲陽遲者爲陰數者爲陽

凡持眞脉之藏脉者肝至懸絶急十八日死.

心至懸絶九日死肺至懸絶十二日死

腎至懸絶七日死脾至懸絶四日死

보통 맥의 음양을 말할 때는 척중을 음으로 하고 촌구를 양으로 하는 경우 조용한 맥은 허하므로 음으로 하고, 동하는 맥은 실하므로 양으로 하는 경우 한으로 인해 맥박이 늦은 것을 음으로 하고, 열로 인해 빠른 것을 양으로 하는 경우와 같이 맥을 보는 위치의 관계나 허실, 혹은 한열이라는 면 등으로 봐서 여러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무릇 진장맥을 나타내고 있는 환자를 맥진하는데, 간의 순현의 맥만이 심하고, 부드러운 위기가 전혀 없고, 맥이 경련을 일으키면 그 환자는 18일 가량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심장이 순구인 경우는 9, 폐가 순목인 경우는 12, 신장이 순석인 경우는 7, 비의 맥에서 새가 쪼는 것 같은 작탁, 혹은 비가 새는 것 같은 옥루의 맥을 나타낼 때는 4일로서 사망합니다.

 

曰二陽之病發心脾有不得隱曲

女子不月其傳爲風消其傳爲息賁者死不治

曰三陽爲病發寒熱下爲癰腫及爲痿厥腨

其傳爲索澤其傳爲頹疝

曰一陽發病少氣善咳善泄其傳爲心掣其傳爲隔

二陽一陰發病主驚駭背痛善噫善欠名曰風厥

二陰一陽發病善脹心滿善氣

三陽三陰發病爲偏枯痿易四支不擧

다시 기백이 말하였다.

양명경의 이상이 심장과 비장의 두개의 장기에 영향을 미친 결과 병으로 되면

웅크리는 것이 곤란해지며, 특히 여성은 월경이 정체됩니다.

다시 병이 진행되면 열로 인해 체액이 감소되어 몸이 야위는 병으로 되거나,

천식과 같은 병으로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더치게 된 것은 벌써 고칠 수가 없습니다.

그것은 사병(死病)입니다.

태양경의 이상이 원인이 되어 병으로 되면 발열 오한을 나타내거나,

하반신에 종기가 생기거나, 발이 시들어서 냉하거나,

장딴지 근육의 갑작스러운 경련이 생기기도 합니다.

더욱 더치게 되면 피부가 까칠까칠 해지고, 혹은 탈장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소양경의 이상이 원인이 되어 병으로 되면 호흡이 천박해지고,

자주 기침을 하거나,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더욱 더치게 되면 협심증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목이 막히거나,

대소변이 잘 안 나오기도 합니다.

양명경과 궐음경과의 이상에 기인하여 병으로 되면 정신적으로는 놀라기 쉽고,

육체적으로는 등이 아프고, 트림이 잘 나며, 하품을 하기도 합니다.

이를 풍궐 이라 합니다.

소양경과 소음경과의 이상에 기인하여 병으로 되면 흉부가 팽만 되어

심장부가 막힌 듯이 괴로워지고, 자주 한숨을 쉬게 됩니다.

태양경과 태음경과의 이상에 기인하여 병으로 되면 반신불수가 되거나,

운동마비를 일으키거나 해서 수족이 부자유하게 됩니다.

 

鼓一陽曰鉤鼓一陰曰毛

鼓陽勝急曰絃鼓陽至而絶曰石

陰陽相過曰溜陰爭於內

陽擾於外魄汗未藏

四逆而起起則熏肺使人喘鳴

무릇 봄이 되어 1양의 기가 동하기 시작하면 맥은 간의 현맥을 나타내게 됩니다.

여름이 되어 양기가 왕성해져서 격동하게 되면 심장의 구맥을 나타냅니다.

가을이 되어 1음의 기가 동하기 시작하면 폐의 모맥을 나타내게 됩니다.

겨울이 되어 양기의 움직임이 완전히 단절되면 신의 석맥을 나타냅니다.

이 춘하추동에 있는 각 계절의 끝이 18일간은 음양이 전환되는 시기이며, 이 때는 각기의 계절의 맥에 더욱 느슨한 비의 유맥이 첨가되는 것입니다.

인체 가운데 본래 조화를 유지해야 하는 5장의 음기가 서로 항쟁하고, 또한 체외를 방위해야 할 양기가 그 통로를 어겨서 제멋대로 뛰놀게 되면 피부에서는 땀이 계속 나며, 폐의 정기가 탈락되어 수족의 끝에서 점점 냉해 올라가서 양기가 위쪽으로 쫓기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정기가 탈락된 폐에 열기가 충만 되므로 환자는 숨이 거칠어져서 천명을 하게 됩니다.

 

陰之所生和本曰和

是故剛與剛陽氣破散陰氣乃消亡

則剛柔不和經氣乃絶

死陰之屬不過三日而死

生陽之屬不過四日而死

대체로 음의 작용이라는 것은 조화를 하는데 있습니다.

그것이 조화를 깨뜨려 내부에서 항쟁하여 양이 주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양은 음의 신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양은 마음대로 뛰놀게 되어 마침내 자멸해 버립니다.

양이 자멸하면 양이 없는 음이란 있을 수 없으므로 음도 역시 없어집니다.

비록 양이 자멸하여 그 후에 음이 단독으로 왕성해진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는 벌써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경맥의 흐름이 두절됩니다.

"사음에 속하는 것은 3일 이내에 사망한다.

그러나 생양에 속하는 것은 4일 이내에 사망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所謂生陽死陰者

肝之心謂之生陽

心之肺謂之死陰

肺之腎謂之重陰

腎之脾謂之辟陰死不治

이들 생양이라든지 사음이라 하는 것은 병이 5장 사이에 파급되는 상태에 따라 이름붙인 것이며,

간에서 심장으로 상생적 으로 양의 장기에 전해지는 것을 생양이라 합니다.

심장에서 폐로 상극적으로 음의 장기에 전해지는 것을 사음이라 합니다.

폐에서 신장으로 상생적 으로 음에서 음의 장기에 전해지는 것을 중음이라 합니다.

신장에서 비로 상극적으로 반대인 음의 장기에 전해지는 것을 벽음 이라 합니다.

이 경우도 사증(死症)이며, 고칠 수 없습니다.

 

結陽者腫四支

結陰者便血一升再結二升

三結三升陰陽結斜多陰少陽曰石水

양기가 맺혀서 기가 발산되지 않게 되면 수족은 양의 부위이므로 거기에 기가 막혀서 부종이 생깁니다.

음기가 맺혀서 혈이 유동하지 않게 되면 몸의 내부는 음의 부위이므로 거기에 혈이 결집되어 터져서 장출혈을 일으킵니다.

경할 때는 40ml 가량, 심하면 80ml 가량, 혹은 120ml 가량이나 출혈되는 것입니다.

음기와 양기가 모두 한쪽으로 치우쳐서 맺히고, 음기가 많고, 양기가 적은 경우는 석수라고 불리는 증상을 일으킵니다.

 

少腹腫二陽結謂之消

三陽結謂之隔三陰結

謂之水一陰一陽結謂之喉痺

양명경이 맺히면 내열이 생겨서 목이 마르고 야위게 됩니다.

태양경이 맺히면 통변이 나빠집니다.

태음경이 맺히면 수분에 의한 부종이 생깁니다.

궐음경과 소양경이 맺히면 목이 붓고 아프며, 호흡곤란을 일으킵니다.

 

陰搏陽別謂之有子

陰陽虛腸辟死

陽加於陰謂之汗陰虛陽搏

謂之崩三陰俱搏二十日夜半死

二陰俱搏十三日夕時死

맥을 만져 보면 척중의 맥이 평소보다 강하며, 촌구의 맥이 두 가닥으로 분리된 듯한 느낌이 있는 것은 임신부의 맥입니다.

척촌이 모두 공허하게 된 맥이며, 설사를 하고 있는 환자는 사망합니다.

가라앉은 척중의 맥이 떠오르면 이는 땀이 나는 증거입니다.

척중이 공허한 맥인데, 촌구의 맥은 그와 조화되지 않고, 강하게 박동하고 있을 때는 출혈이 멎지 않습니다.

비와 폐의 맥기가 모두 서로가 충돌하여 작용을 잃게 되면 20일 지난 밤중에 사망합니다.

심장과 신장과의 맥기가 모두 서로가 충돌하여 그 작용을 잃게 되면 13일째의 저녁에 사망하게 됩니다.

 

一陰俱搏十日死

三陽俱搏且鼓三日死

三陰三陽俱搏心腹滿發盡不得隱曲五日死

二陽俱搏其病溫死不治不過十日死.

간과 심포락과의 맥기가 모두 서로가 충돌하여 그 작용을 잃게 되면 10일 후에 사망하게 됩니다.

방광과 소장의 맥기가 모두 서로가 힘차게 충돌하여 그 작용을 잃게 되면 3일 후에 사망하게 됩니다.

비와 폐, 방광과 소장과의 맥기가 모두 충돌하여 그 작용을 잃게 되면 가슴이나 배가 팽만하게 되어 대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5일째에 사망하게 됩니다.

위와 대장과의 맥기가 서로 충돌하여 그 작용을 잃게 되면 열병으로 되는데, 이것도 사증으로서 불치입니다.

10일 이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陰陽離合論][음양이합론]

 

黃帝問曰余聞天爲陽

地爲陰日爲陽月爲陰

大小月三百六十日成一歲人亦應之

今三陰三陽不應陰陽其故何也

어느 때 황제께서 기백에게 물으셨다.

나는 일찍이 다음과 같이 들은 일이 있다.

"()은 양이며, ()는 음이다.

()은 양이며, ()은 음이다.

달력에서의 월에는 대소가 있는데,

그들을 합쳐서 360일로써 1년이 된다.

사람의 경우도 역시 이들에 상응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의 음양의 경우 허리에서 위가 양, 허리에서 아래가 음일 것이다.

반드시 그렇지도 않은 수가 있는 것 같다.

즉 천의 6기에 해당하는 33양은 있지만,

그것이 인체의 상부에도 음경이 있고,

하부에도 양경이 있어서 음양의 개념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데 어떨 것인지?

 

岐伯對曰陰陽者

數之可十推之可百

數之可千推之可萬

萬之大不可勝數然其要一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무릇 음양이라 하는 것은 만물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 분류이므로 상이나 하라든지,

표와 이라든지 하는 것처럼 엄밀하게 둘로 나누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10으로 나누든 100으로 나누든,

혹은 1000으로, 10000으로 나누든 간에 마음대로입니다.

, 사정에 적합하게 분류하면 되므로 다만 편의상 음양으로 나눈 것뿐입니다.

예컨대 10000으로 분류했다 하더라도 세밀하게 따진다면 그것도 아직 불충분합니다.

그러나 이를 압축 요약하면 결국 음과 양으로 대별할 수 있습니다.

 

天覆地載萬物方生未出地者. 命曰陰處

名曰陰中之陰則出地者

命曰陰中之陽陽予之正陰爲之主

故生因春長因夏收因秋藏因冬

失常則天地四塞陰陽之變

其在人者亦數之可數.

대저 천()은 만물을 덮고, ()는 만물을 싣고 있으며,

그 만물은 모두 지()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만물의 생명이 싹터서 아직 지상에 머리를 내놓지 않은 것을 음에 머물러 있다는 데서 음처 라고 하며, 또한 음중의 음이라고도 합니다.

땅에서 약간 싹이 나온 것을 음중의 양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음 가운데서도 또한 음과 양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 양은 만물에 생명을 주고, 음은 만물의 지배자로 됩니다.

만물의 변화를 생은 봄이 가져오는 것이고, 장은 여름이 담당하며,

수는 가을이 이루게 하고, 장은 겨울이 맡는 것과 같이 각기의 계절에 따라서 생기는 것인데,

여기에 음양을 작용시켜 보면 봄과 여름은 양이고, 가을과 겨울은 음이며,

또한 그 가운데서도 역시 음양이 있습니다.

만약 4계절의 전환이 순조롭지 못하고, 기후에 이변을 초래하면 만물이 생장수장의 변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고, 천지간에 있어서의 음양의 작용이 폐색됩니다.

이와 같이 음양이라고 하지마는,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인데, 인체에 있어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한없이 음양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됩니다.

 

帝曰願聞三陰三陽之離合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그런데 그 인체의 3음과 3양의 상호간의 관계를 듣고 싶소.

 

岐伯曰聖人南面而立

前曰廣明後曰太衝太衝之地

名曰少陰少陰之上

名曰太陽太陽根起於至陰結於命門

名曰陰中之陽中身而上

名曰廣明廣明之下

名曰太陰太陰之前

名曰陽明陽明根起於兌

名曰陰中之陽厥陰之表

名曰少陽. 少陽根起於竅陰

名曰陰中之少陽是故三陽之離合也

太陽爲開陽明爲闔少陽爲樞三經者不得相失也

搏而勿浮命曰一陽

기백이 대답하였다.

성인은 남쪽을 향해서 선다고 말하는데,

사람을 남향으로 세웠을 때 앞의 부위는 양을 받으므로 광명이라 합니다.

뒤의 부위를 태충 이라 합니다.

태충은 충맥이 생기는 본거이며, 그것은 족의 소음의 경입니다.

이 족의 소음의 경은 신경이며, 그 표는 족의 태양의 경입니다.

족의 태양경은 방광경이며, 족소지 외측 조갑근부를 1푼 떨어진 지음에서 생겨서 명문에 연결됩니다.

이 명문은 이 경우 청명을 가리킵니다.

이 족태양 방광경을 음중의 양이라 합니다.

광명은 신체의 중간보다 위쪽을 말하며, 그 아래쪽 부를 태음이라 말합니다.

이 태음의 표가 양명입니다.

족의 양명의 경은 위경이며, 2지 외측 조갑근부를 1푼 떨어진 여태에서 생깁니다.

이 족양명 위경도 또한 음중의 양이라 합니다.

궐음의 표는 소양입니다.

족소양경은 담경이며, 4지 외측 조갑근부를 1푼 떨어진 규음 에서 생깁니다.

이 족소양담경을 음중의 소양이라 합니다.

태양 양명 소양의 상호 관계를 문짝에 비긴다면 태양은 여는 작용이 있으므로 개, 양명은 닿는 작용이 있으므로 합, 소양은 문짝의 축의 작용을 하므로 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짝은 여닫을 수 없으면 소용이 없으며, 거기에는 축이 없으면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 3자는 세 가지 라도 서로가 도와서 하나의 완전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가운데 하나의 작용이라도 멎으면 전부의 작용이 안 됩니다.

그러므로 3자는 조화되어야 합니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서로의 힘이 충돌되어 그 작용에 이상이 발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므로 3양이지만, 그것을 1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帝曰願聞三陰

황제께서 물으셨다.

3양에 관해서는 이해가 되는데, 그러면 3음의 상호 관계는 어떤 것이요?

 

岐伯曰外者爲陽內者爲陰

然則中爲陰其衝在下

名曰太陰太陰根起於隱白

名曰陰中之陰太陰之後

名曰少陰少陰根起於涌泉

名曰陰中之少陰少陰之前

名曰厥陰厥陰根起於大敦陰之絶陽

名曰陰之絶陰. 是故三陰之離合也

太陰爲開厥陰爲闔少陰爲樞

三經者不得相失也. 搏而勿沈

名曰一陰, 陰陽??

積傳爲一周氣裏形表而爲相成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일반적으로 밖을 양이라 하며, 안을 음이라 합니다.

안은 음이므로 속도 음이라 하게 됩니다.

그래서 충맥의 아래쪽에 있는 것을 태음이라 합니다.

이 족의 태음경은 비경이며, 모지 내측 조갑근부를 1푼 떨어진 은백 에서 시작합니다.

이 족태음 비경을 음중의 음이라 합니다.

태음의 뒤쪽에 소음이 있습니다.

이 족소음경은 신경이며, 족척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 5지를 굽혀서 오목해지는 곳인 용천에서 생깁니다.

이 족소음신경을 음중의 소음이라 합니다.

소음의 비껴 앞쪽이 궐음 입니다.

이 궐음의 경은 간경이며,

모지 외측 조갑근부를 1푼 떨어진 태돈에서 생깁니다.

족궐음 간경은 음 가운데 양을 전혀 함유하지 않으므로 음의 절양 이라 하는데,

이는 또 음의 종극이기도 하므로 음의 절음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음양은 표현의 방법으로 어떻게든지 말할 수 있으므로

음양의 표현에 구애되면 도리어 진을 놓치게 될 것입니다.

태음 소음 궐음의 상호 관계도 역시 문짝에 비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태음이 개, 궐음이 합, 소음이 축에 해당합니다.

3자는 3가지이지만, 역시 합쳐서 하나의 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화합되어야 합니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서로의 힘이 충돌되어 그 작용이 가라앉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므로 3음이라도 그것을 1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체에 있어서 음양의 기는 음양의 경맥의 안팎을 규칙 바르게 순환합니다.

1주야에 50주를 합니다.

이와 같이 정기는 눈에는 보이지 않고 이에 있으며,

형체는 겉에 나타나서 눈에 보입니다마는,

이 양자가 서로 상응되어 생명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陰陽應象大論][음양응상대론]

 

皇帝曰

陰陽者天地之道也

萬物之綱紀變化之父母

生殺之本始神明之府也

治病必求於本

황제가 말했다.

음양의 도리는 자연계의 보편적 법칙이자

모든 사물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일종의 강령이라 말할 수 있오.

이는 만물이 변화하는 근원이자 자고 자라고 소멸하는 근본으로

모든 오묘하고 심오한 현상까지도 그 가운데 총망라되어 있으므로

병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음양을 기초로 삼아야만 하오.

 

故積陽爲天積陰爲地

陰靜陽躁陽生陰長

陽殺陰藏陽化氣陰成形

寒極生熱熱極生寒寒氣生濁熱氣生淸

淸氣在下則生殖泄濁氣在上

則生瞋脹此陰陽反作病之逆從也

음양의 변화에 대해서 논해 보겠소.

맑고 밝은 양기(陽氣)가 차츰차츰 쌓여

위로 올라가 이루어 진 것이 하늘이오.

탁하고 어두운 탁음(濁陰)한 기가 차츰차츰 모여서

아래로 내려가 이루어진 것이 땅이오.

()은 싹을 틔우는 것을 주관하고 음()은 성장을 주관하오.

양은 주로 죽이거나 쳐내는 일을 주관하고

음은 주로 거두고 저장하는 일을 주관하오.

양은 어떤 작용을 만들어 내고 음은 어떤 형체를 구성할 수 있소.

차가운 것이 극점에 이르면 열이 나고,

뜨거운 것이 극점에 이르면 냉기가 발생하게 되오.

한기가 응집되면 탁음을 만들고,

열기가 상승하면 청양(淸陽)을 만들 수 있소.

청양한 기가 아래로 가라앉아 올라가지 못하면 설사를 하게 되오.

탁음의 기가 위에서 막혀서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면 가슴이 그득하여 답답해지오.

이것이 바로 음양이 운행하는 법칙을 어겼을 때 질병이 발생하게 되는 법칙이라 하겠소.

 

故淸陽爲天濁陰爲地地氣上爲雲天氣下爲雨雨出地氣雲出天氣

故淸陽出上竅濁陰出下竅淸陽發瞋理濁陰走五藏淸陽實四支濁陰歸六府

청양한 기가 위로 올라가 하늘이 되고, 탁음한 기가 아래로 내려와 땅이 되는데,

지기(地氣)가 위로 올라가 변화하면 구름이 되고 천기(天氣)가 아래로 내려와 변화하여 비가 됩니다.

그러나 비가 천기가 아래로 내려온 것이라고 말하긴 해도 지기에 의해 그렇게 된 것이고,

구름은 지기로부터 형성된 것이지만 천기가 증발해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

이것은 음양이 서로가 서로에게 소용이 되면서 이루어진 결과인데,

인체의 음양이 변화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이런 법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청양은 이목구비의 일곱구멍으로 나오고 탁음은 음부와 항문으로 나옵니다.

청양은 피부나 근육에 있는 살결 속으로 흩어져 분산되고 탁음은 체내의 오자에 주입됩니다.

청양은 팔다리를 튼튼하게 하고 탁음은 육부를 안정시킵니다.

 

水爲陰火爲陽陽爲氣陰爲味味歸形形歸氣氣歸精精歸化

精食氣形食味化生精氣生形味傷形氣傷精精化爲氣氣傷於味

() 는 음에 속하고 화()는 양에 속하는데

양이 무형의 기(일종의 작용)라면 음은 유형의 맛(음식물 같은 것)입니다.

음식의 다섯 가지 맛은 신체에 영양을 공급하는데,

그러고 나면 진기(眞氣)가 충실해지도록 합니다.

진기가 정()을 만들면 정이 다시 화하여 만물을 만들어냅니다.

정은 진기에 의지해서 만들오지고,

신체는 음식의 다섯 가지 맛에 의해 형성됩니다.

음식은 생화(生化)작용을 거쳐 정()으로 바뀌고

기화(氣化)작용을 통해 신체를 튼튼하게 합니다.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면 몸이 상하고,

기가 한쪽으로만 왕성해지면 정()이 상하게 됩니다.

()과 혈()이 넉넉하면 충분히 변화하여 기가 되므로(생명활동작용을 생산함),

(생명활동작용)도 또한 음식의 다섯 가지 맛이 지나칠 경우 손상될 수 있습니다.

 

陰味出下竅陽氣出上竅味厚者爲陰薄爲陰之陽

氣厚者爲陽薄爲陽之陰味厚則泄薄則通

()에 속하는 다섯 가지 맛은 음부와 항문으로 빠져나가고 양에 속하는 진기는 이목구비를 통해 흩어집니다.

다섯 가지 맛 중에서 맛이 진한 것은 순음(純陰)에 속하고, 맛이 담백한 것은 음() 가운데의 양()에 속합니다.

양기 중에서 기가 풍부한 것은 순양(純陽)에 속하고 기가 적은 것은 양() 가운데의 음()에 속합니다.

다섯 가지 맛이 일으키는 작용을 말하면, 맛이 진한 것은 설사를 일으키기가 쉽습니다. 맛이 담백한 것은 장과 위를 막힘이 없이 잘 통하게 합니다.

 

天有四時五行以生長收藏以生寒暑燥濕風

人有五藏化五氣以生喜怒悲憂恐

故喜怒傷氣寒暑傷形暴怒傷陰暴喜傷陽厥氣上行滿脈去形

喜怒不節寒暑過度生乃不固.

자연계에는 봄, 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의 변화가 있고 금,,,,토 오행의 변화가 있는데 여기에서 나고 자라고 거두고 간직하는 법칙이 형성되고 추위와 더위, 건조함과 습함, 바람의 다섯 가지 기후가 만들어집니다.

 

사람에게는 오장이 잇고 오(五氣)를 만들어 내는데 여기에서 기쁨(), 성냄(), 스품(), 근심(), 두려움()의 정서가 나왔습니다.

기쁨과 성냄을 절제하지 못하고 추위와 더위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하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지나치게 화를 내는 것이 다 기를 상하게 하고, 추위와 더위가 불시에 외부에서 들어오면 몸이 상합니다.

지나치게 화를 내면 음기(陰氣)가 상하고 지나치게 기뻐하면 양기(陽氣)가 상합니다.

갑자기 기가 역류해서 위로 솟구쳐 머리로 올라가면 피도 기를 따라 내달려 혈맥이 차고 넘쳐서 갑자기 안색이 변하면서 신체가 조화를 상실하게 됩니다.

기뻐하거나 성내는 것을 잘 조절하지 못하고 추위와 더위에 잘 적응하지 못하면 생명이 위태로워집니다.

 

帝曰余聞上古聖人論理人形列別藏府端絡經?會通六合

各從其經氣穴所發各有處名谿谷屬骨皆有所起分部逆從

各有條理四時陰陽盡有經紀?之應皆有表裏其信然乎.

황제가 물었다.

내가 들으니 옛날 성인께서는 인체의 형태를 설명할 때, 오장육루를 음양이 따라 구분하고 경맥의 연관관계를 자세히 관찰해서 인체를 회통(會通)하게 하였는데, 각각 관련된 경락의 순행노선, 시작점과 끝점을 근거로 삼았다 하오.

사계절에 따른 음양의 변화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고, 외부 환경과 인체 내부가 서로 대응하는 관계 속에도 표리(表裏)가 있다고 하는데 정말 그렇소?

 

岐伯對曰東方生風風生木木生酸酸生肝肝生筋筋生心肝主目

其在天爲玄在人爲道在地爲化化生五味道生智玄生神神在天爲風.

在地爲木在體爲筋在藏爲肝在色爲蒼在音爲角在聲爲呼

在變動爲握在竅爲目在味爲酸在志爲怒

怒傷肝悲勝怒風傷筋燥勝風酸傷筋辛勝酸.

기백이 대답하여 말했다.

동쪽은 봄에 속하는데 양기가 위로 올라가 바람을 만들고, 바람은 목기(木氣)를 자양할 수 있고, 목기는 신맛을 내고, 신맛은 간()을 기르고,

간의 혈은 또한 힘줄을 기르니, 근기(筋氣)가 왕성해지면 심장의 혈액을 가득 채우고 기릅니다.

간기(肝氣)는 위로 올라가 눈으로 통합니다.

이것이 변화하면 하늘에서는 여섯 가지 기운 중의 풍()이 되고, 땅에서는 오행(五行) 가운데 목()이 되며 신체에서는 힘줄이 되고 오색(五色) 중에서는 파란색이 됩니다.

오음(五音) 음계 중에서는 각()입니다.

오성(五聲) 중에서는 호()에 해당합니다.

인체의 변동에서는 손아귀를 꽉 움켜쥔 채 펴지 못하는 것익, 이목구비 중에서는 눈에 해당하고, 정서 중에서는 성냄에 해당합니다.

화가 나면 간이 상하지만 슬픔은 화를 억제시킬 수 있습니다.

풍기(風氣)가 힘줄을 손상시킬 수 있지만 건조함이 풍()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신맛을 너무 많이 먹으면 힘줄이 상하지만 매운 맛이 신맛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南方生熱熱生火火生苦苦生心心生血血生脾心主舌

其在天爲熱在地爲火在體爲脈在藏爲心在色爲赤在音爲笑

在聲爲笑在變動爲憂在竅爲舌在味爲苦在志爲喜喜傷心

恐勝喜熱傷氣寒勝熱苦傷氣鹹勝苦

남쪽은 여름에 해당합니다.

양기가 매우 왕성하여 더위를 생성하는데 이 더위가 화기(火氣)를 낳습니다.

화기는 쓴맛을 낳고 쓴맛은 심장을 기르고 심장은 피를 만들고 피는 비장을 기릅니다.

심기(心氣)는 혀과 관련이 잇습니다.

이때 음양의 변화는 하늘에서는 여섯 가지 기운 중의 더위가 되고, 땅에서는 오행 중에서 화()가 됩니다.

신체에서는 혈맥에 해당하고 다섯가지 장기 중에서는 심장에 해당하고 오색으로 따지면 빨간색입니다.

오음 중에서는 치()에 해당합니다.

오성 중에서는 웃음소리인 소()애 해당합니다.

인체의 변동 중에서는 기가 거꾸로 치밀어 오르는 기역(氣逆)에 해당합니다.

이목구비 중에서는 혀에 해당하고, 다섯 가지 맛 중에서는 쓴맛이고, 정서 변화 중에서는 기쁨에 해당하지만 두려움으로 기쁨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더위가 기를 상하게 하더라고 한기(寒氣)가 열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쓴맛이 기를 상하게 하면 짠맛으로 쓴맛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中央生濕濕生土土生甘甘生脾脾生肉肉生肺脾主口

其在天爲濕在地爲土在體爲肉在藏爲脾在色爲黃在音爲宮

在聲爲歌在變動爲噦在竅爲口在味爲甘在志爲思思傷脾

怒勝思濕傷肉風勝濕甘傷肉酸勝甘

중앙은 늦여름인 장하(長夏)에 해당합니다.

열기로 인해 수증기가 발생하고 습한 기운이 생겨납니다.

습기는 토기(土氣)를 자라게 하는데, 토기는 단맛을 만듭니다.

단맛은 비기(脾氣)를 기르고, 비기는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근육이 튼튼해지면 폐기(肺氣)를 충실하게 합니다.

비기는 입과 통합니다.

이때 음양의 변화는 하늘에서 여섯 가지 기운 중에서 습기에 해당하고 땅에서는 오행 중에 토()에 해당합니다.

신체에서는 근육에 해당하고 오장의 비장(脾臟)에 해당합니다.

오색 가운데 노란색이 되고 오음 중에서는 궁()에 해당합니다.

오성 중에서는 노랫소리인 가()에 해당합니다.

인체의 변화 중에서는 헛구역질을 하고, 이목구비 중에서는 입에 해당하고 다섯 가지 맛 중에서는 단맛에 해당합니다.

정서변화 중에서는 생각()에 해당합니다.

생각에 지나치게 몰두하면 비장(脾臟)이 상하지만, 성냄으로 생각에 골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습기가 너무 많으면 근육이 상하지만 풍기가 습기를 억제합니다 단 것을 지나치게 먹으며 근육이 상할 수 있지만 신맛으로 단맛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西方生燥燥生金金生辛辛生肺肺生皮毛皮毛生腎肺主鼻

其在天爲燥在地爲金在體爲皮毛在藏爲肺在色爲白在音爲商

在聲爲哭在變動爲咳在竅爲鼻在味爲辛在志爲憂憂傷肺喜勝憂

熱傷皮毛寒勝熱辛傷皮毛苦勝辛

 

서쪽은 가을에 속하고, 가을은 건조함을 낳습니다.

건조함은 금기(金氣)를 왕성하게 하는데, ()은 매운맛을 낳습니다.

매운맛은 폐기(肺氣)를 통하게 하고 폐기는 피부와 모발을 기릅니다. 피부와 모발이 윤기가 나면 신수(腎水)를 기릅니다.

폐기는 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의 변화는 하늘에서는 여섯 가지 기운 중에서 건조함이 되고 땅에서는 오행 중의 금()에 해당합니다.

인체에서는 피부와 모발에 해당하고 오장 가운데에서는 폐장(閉臟)에 해당하고, 오색 중에서는 하얀색에 해당합니다.

오음 중에서는 상()에 해당하고 오성 중에서는 우는 소리인 곡()에 해당합니다.

인체의 변화 중에서는 기침을 하는 것에 해당하고 이목구비 중에서는 코에 해당하며 다섯 가지 맛 중에서는 매운맛에 해당합니다.

정서 변화 가운데서는 근심에 해당합니다.

지나치게 근심이 많으면 폐가 상하게 되지만 기쁨이 근심을 억제시켜 줄 수 있습니다.

더위는 피부와 모발을 상하게 하지만 한기가 더위를 억제해 줍니다.

매운 것으 너무 먹으면 피부와 모발을 상하게 할 수 있지만 쓴맛으로 매운맛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北方生寒寒生水水生鹹鹹生腎腎生骨髓髓生肝腎主耳

其在天爲寒在地爲水在體爲骨在藏爲腎在色爲黑在音爲羽

在聲爲呻在變動爲慄在竅爲耳在味爲鹹在志爲恐恐傷腎

思勝恐寒傷血燥勝寒鹹傷血甘勝鹹

북쪽은 겨울에 해당하고 음()이 모여 추위를 형성하는데, 한기(寒氣)는 수기(水氣)를 왕성하게 만들고, ()는 짠맛을 만듭니다.

짠맛은 신기(腎氣)를 기르고, 신기는 골수를 기르고 골수가 충실하면 간()을 튼튼하게 만들어 줍니다.

신기는 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 변화는 하늘에서는 여섯 가지 기운 중에서 추위가 되고 땋에서는 오행 중에서 수()에 해당합니다.

인체로 하면 골수에 해당하고 오장 중에서 신장(腎臟)이 해당합니다. 오색 중에서는 검은색이고, 오음 중에서는 우()에 해당합니다.

오성 중에서는 끙끙대는 신음소리인 신()에 해당합니다.

인체의 변화중에에서 부들부들 떨며 전율하는 것이고, 이목구비 중에서는 귀에 해당하며, 다섯 가지 맛 중에서는 짠 맛에 해당합니.

정서에서는 두려움에 해당하는데 두려움은 신장(腎臟)을 상하게 하지만 생각()이 두려움을 억제시켜 줄 수 있습니다.

추위는 뼈를 상하게 할 수 있는데 건조함이 추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짠맛도 뼈를 상하게 하는 것이지만 단맛으로 짠맛을 억누를 수 있습니다.

 

故曰天地者. 萬物之上下也

陰陽者. 血氣之男女也

左右者. 陰陽之道路也

水火者. 陰陽之征兆也

陰陽者. 萬物之能始也

故曰陰在內陽之守也

陽在外陰之使也.

그러므로 천지는 만물을 모두 그 안에 담고 있고 음양은 변화하여 남녀를 만듭니다.

촤우는 음과 양이 운행하는 길이며 물과 불은 음양의 상징입니다.

음양의 변화는 만물이 나고 자라는 원동력이 됩니다.

나가아 음양은 상호작용을 하는대 음이 안에 있으면 양은 그것을 보호하고 양이 밖에 있으면 음은 그것을 보좌하는 작용을 합니다.

 

帝曰法陰陽奈何

岐伯曰陽勝則身熱. 腠理閉喘粗爲之俯仰

汗不出而熱齒乾以煩寃腹滿死

能冬不能夏陰勝則身寒汗出身常清

數慄而寒寒則厥厥則腹滿死

能夏不能冬此陰陽更勝之變病之形能也.

황제가 말하였다.

사람이 어떻게 해야 음양의 도를 구할 수 있소?

기백이 말했다.

양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살마의 몸에서는 열이 나고 살결은 오그라들어 닫혀버리고 숨을 가쁘게 헐떡이고 급기야은 호흡하기가 어려워서 몸부림을 합니다.

땀은 나지 않는데 열이 나고 치아가 마르며, 가슴이 번거롭고 답답합니다.

복부가 불룩해지면 매우 위험한 중세입니다.

양기가 왕성해서 발생한 병이므로 겨울에는 견딜 수 있지만 여름에는 견디기 어렵습니다.

음기가 지나치면 몸이 차가워지고 땀이 많이 납니다.

간혹 몸이 으슬으슬 추운 기운을 느끼고 떨기도 하고 심하면 손과 발이 차고 저립니다.

손발이 저리고 차가워지며 불룩해지는 증세가 나타나면 매우 위헙합니다.

이는 음기가 왕성하여 발병한 것이므로 여름에는 참을 수 있지만 겨울에는 견디기 힙듭니다.

이것이 바로 음과 양이 서로 번갈아 가며 왕성했다가 약해즌 변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병들의 증상입니다.

 

帝曰調此二者奈何

岐伯曰能知七損八益則二者可調不知用此則早衰之節也

年四十而陰氣自半也起居衰矣

年五十體重耳目不聰明矣

年六十陰痿氣大衰九竅不利下虛上實涕泣俱出矣

故曰知之則強不知則老故同出而名異耳.

황제가 물었다.

어떤 방법으로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소?

기백이 말했다.

칠손팔익(七損八益)의 이치를 알아야 음양이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이치를 모르면 조로(早老)하게 됩니다.

여자는 7을 기준으로 하여 매달 월경하는 것이 정상이므로 '()'이라고 합니다.

남자는 8을 기준으로 하며, 정기(精氣)를 충만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40세가 되면 음기가 이미 반으로 줄어들어 늙어가는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오십이 되면 몸은 둔하고 무거워지며 귀도 잘 들리지 않고 눈도 어두워집니다.

육십세가 되면 음위가 생기고, 신기(腎氣)가 허약해지고 구규(九竅)의 기능이 떨어지고 아래에서는 음기가 모자라고 위에서는 양기가 떠 있어서 눈물과 콧물이 쉴새없이 흐르는 등의 노인성 증상들을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섭생을 잘 조절해서 양생을 잘 하는 사람은 정력이 세고, 섭생을 잘하지 못한 사람은 쉽게 늙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몸이 똑깥이 천지의 기운으로 형성된 것이긴 하지만 장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단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智者察同愚者察異愚者不足智者有餘有餘則耳目聰明身體輕強

老者復壯壯者益治是以聖人爲無爲之事樂恬憺之能

從欲快志於虛無之守故壽命無窮與天地終此聖人之治身也

지혜로운 사람은 병에 걸리지 않은 때에도 양생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병이 난 후에야 몸조리를 합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항상 체력이 부족하며 지혜로운 사람은 정력이 남아돕니다.

정력이 넉넉하면 귀가 잘 들리고 눈이 잘 보이며 몸은 가볍고 건강하며 나이가 들어가도 체력은 오히려 강해집니다.

원래 건강한 사람이 더더욱 건강해지기 쉬운 법이니,

세상 사는 이치에 통달한 사람은 무슨 리을 하더라도 항상 자연에 그 흐름을 맡겨 순조로이 진행시키고 항상 가뿐하고 유쾌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걱정이나 근심이 없는 그런 환경 속에서 가장 큰 행복을 찾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사람은 수면이 다함이 없이 천지와 어울려 함께 살아가니 이

이 바로 세상사에 통달한 사람이 양생하는 법인 것입니다.

 

天不足西北故西北方陰也

而人右耳目不如左明也

地不滿東南故東南方陽也

而人左手足不如右強也

帝曰何以然

천기는 서북쪽이 부족하다고들 해서 서북쪽은 음에 속합니다.

사람은 천기와 서로 호응하므로 오른쪽 귀와 눈이 왼쪽 귀와 눈보다 잘 들리지 않거나 보이지 않습니다.

지기는 동남쪽이 부족하기 때문에 동남쪽은 양에 속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왼쪽 손발을 오른 쪽 손발처럼 민첩하게 움직이지 못합니다.

황제가 물었다. 왜 그런 것이오?

 

岐伯曰東方陽也陽者其精竝於上竝於上則上明而下虛

故使耳目聰明而手足不便也西方陰也

陰者其精竝於下竝於下則下盛而上虛

故其耳目不聰明而手足便也

故俱感於邪其在上則右甚在下則左甚

此天地陰陽所不能全也故邪居之

기백이 대답했다.

동쪽은 양에 속하는데, 양기로 말하자면 그것의 정수는 인체 상부에 모여 있습니다.

상부의 기운이 왕성해지면 그 하부는 허약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눈이 잘 보이고 귀가 밝은 데도 손과 발이 불편한 상황이 나타나게 됩니다.

서쪽은 음에 속하는데, 음기의 정수는 인체 하부에 모여 있습니다.

하부의 기운이 왕성해지면 상부는 반드시 약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귀와 눈은 잘 안 보이지만 손과 발을 잘 놀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외부의 사기(邪氣)가 침입하면 인체 상부에서는 오른 쪽 귀와 눈의 병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고, 하부에서는 왼손과 왼발의 병이 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이것은 천지의 음양이 고르지 못하고 한쪽으로만 치우쳐서 왕성해지면서 병을 일으키는 사기(邪氣)가 혀약한 곳을 틈타 인체로 들어와 머무르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故天有精地有形天有八紀地有五里故能爲萬物之父母

清陽上天濁陰歸地是故天地之動靜神明爲之綱紀

故能以生長收藏終而復始

惟賢人上配天以養頭下象地以養足中傍人事以養五藏

하늘에 정기가 있다면 땅에는 형체와 실질이 있습니다.

하늘에는 여덟 가지의 절기의 순서가 있다면 땅에는 다섯 방위의 구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은 만물을 낳고 자라게 하는 근본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양기(陽氣)는 가볍고 맑아서 하늘로 올라가고, 음기(陰氣)는 무겁고 탁해서 당으로 내려오는데, 천지가 운행하고 멈추는 것은 모두 이 음양의 오묘한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물이 봄에 생겨나, 여름에 자라고, 가을에 거두어, 겨울에 저장하게 되는 순환과 반복은 영원히 멈추지 않습니다.

지헤와 수양을 갖춘 사람만이 위로는 천기가 하강하는 것에 순응하여 좇아 머리를 기르고 보호하며, 아래로는 지기(地氣)가 상승하는 것에 순응하여 잘 좇아서 두 다리를 기르고 보호합니다.

그 중간에서는 인체의 기운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오장을 기르고 보호합니다.

 

天氣通於肺地氣通於嗌風氣通於肝

雷氣通於心穀氣通於脾雨氣通於腎

六經爲川腸胃爲海九竅爲水注之氣

以天地爲之陰陽陽之汗以天地之雨名之

陽之氣以天地之疾風名之

暴氣象雷逆氣象陽故治不法天之紀不用地之理則災害至矣

천의 기는 폐와 통하고, 지의 기는 목에 통하며, 풍의 기는 간에 통하고, 전의 기는 심장에 통하며, 음식물의 기인 곡기는 비에 통하며, 우의 기는 신장에 통하는 것입니다.

33양의 12경맥은 천으로, 위장은 바다로, 이목구비와 하의 전후의 음과의 9개 구멍은 물이 흘러나오는 작용과도 비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천지의 현상을 가지고 인체의 음양의 작용과 비교해 보면 양인 땀은 비(), 양기의 작용은 질풍에, 양기의 심한 움직임은 번개()에 역행하는 상승 기류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관계이므로 인체의 질병의 치법에 있어서도 이 천지의 자연 현상을 충분히 알아서 그들의 이치를 따르지 않으면 실책을 초래하게 됩니다.

대저 인체를 손상하는 천의 사기가 몸에 침입해 올 때는 풍우와 같이 갑작스러우며 빠른 것입니다.

 

故邪風之至疾如風雨

故善治者治皮毛其次治肌膚

其次治筋脈其次治六腑其次治五髒

治五髒者半死半生也

대저 인체를 손상하는 천의 사기가 몸에 침입해 올 때는 풍우와 같이 갑작스러우며 빠른 것입니다.

그러므로 병의 치료에 우수한 의사는 침습해 온 사()가 아주 표면인 피모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재빨리 고치는 것입니다.

이보다 일단 아래인 의사는 사가 기부까지 침입했을 때 발견하여 치료를 합니다.

그보다 더 일단 아래인 의사는 사가 근맥에 이르렀을 때, 그 아래인 의사는 6부에 이르렀을 때, 다시 그 아래인 의사는 사가 5장에까지 침입한 다음에 비로소 치료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故天之邪氣感則害人五髒

水穀之寒熱感則害於六腑

地之濕氣感則害皮肉筋脈

사가 이미 5장에까지 침입한 다음에 겨우 치료를 해서는 벌써 때늦은 경우가 많고, 환자의 반수 정도밖에 낫지 않습니다.

본래의 천의 사기가 인체를 침범할 때는 가장 안쪽인 5장으로까지 뚫고 나갈 우려가 있습니다.

섭취한 음식물의 기미 가운데 한과 온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인체가 장애를 받을 때는 음식물의 처리를 맡는 6부가 손상됩니다.

또한 지의 습기인 사가 인체를 침범할 때는 피육 근맥의 기능을 손상하여 인체 내의 양기의 순환을 나쁘게 할 경우가 많습니다.

 

故善用針者從陰引陽從陽引陰以右治左以左治右

以我知彼以表知裏以觀過與不及之理見微得過用之不殆

이러한 관계이므로 침술에 능한 사람은 음경맥에 침을 놓아서 양경맥의 이상을 화합케 하며, 양경맥에 침을 놓아서 음경맥의 이상을 화합케 합니다.

혹은 우측의 자침으로 좌측의 병을 고치고, 좌측을 자침하여 우측의 병을 고쳐 줍니다.

즉 이상이 있는 부위를 보고, 그에 구애되어 그것만 치료를 가하는 것이 아니고, 이와 같이 언제나 음 양의 조화를 꾀하는데 주의하는 것입니다.

즉 이쪽에 나타난 이상을 가지고 저쪽의 이변을 찰지하며, 표에 나타난 증상으로써 이에 있는 병변을 추찰하게 됩니다.

또한 지나친 것과 미급한 것은 모두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라는 태과와 불급의 이치를 잘 알아서 사소한 징후가 보여도 그것이 큰일로 이행할 것이라는 점을 추리하여 조기에 치료를 할 수 있다면 환자를 위태로운 지경에 빠뜨리는 수가 없습니다.

 

善診者察色按脈先別陰陽

審清濁而知部分

視喘息聽音聲而知所苦

觀權衡規矩而知病所主按尺寸觀浮沉滑澀

而知病所生以治無過以診則不失矣

진찰을 훌륭히 할 수 있는 의사는 안색의 청탁이나, 인영 촌구맥의 음양의 강약을 보아서 병이 있는 곳을 알게 됩니다.

또 호흡하는 상태를 보거나, 말소리를 듣거나 해서 환자가 괴로워하는 곳을 알게 됩니다.

또한 맥에 관해서는 봄에는 연, 여름은 홍, 가을은 부, 겨울은 침의 4시의 맥의 원칙에 비추어서 5장 가운데 어느 것이 손상되었는지를 알아서 다시 척중과 촌구의 맥상의 부 침 골 삽을 보아서 질병의 근원이 음인지 양인지, 허한지 실한지를 안 다음에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진찰이 정확하다면 오치를 하는 수가 없습니다.

 

故曰病之始起也可刺而已其盛可待衰而已

故因其輕而揚之因其重而減之因其衰而彰之

形不足者溫之以氣精不足者補之以味

其高者因而越之其下者引而竭之

中滿者瀉之於內其有邪者漬形以爲汗

其在皮者汗而發之其慓悍者按而收之

其實者散而瀉之

審其陰陽以別柔剛陽病治陰陰病治陽

定其血氣各守其鄉血實宜決之氣虛宜引之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발병 시초의 경미할 때는 곧 자법을 해서 고쳐라.”

병세가 매우 심해졌을 때는 약간 가라앉을 때를 기다려서 치료법을 강구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발병 시초의 경미할 때는 사가 아직 몸의 표면에 머물러 있으므로 이를 발산시켜서 비산케 하는 자법을 쓰는 것입니다.

또한 병사가 심해졌을 때는 물론 이 병사도 제거해 주어야 하지만, 그 병세가 너무 심하면 약간 가라앉는 것을 기다려서 사법을 실시합니다.

육체적으로 양기가 부족한 것은 약물을 쓰는데, 이 때는 한 온 평의 기 가운데 온의 기를 가진 약물을 주어서 가온해 줍니다. 5장의 정기가 부족해 있는 것은 산 고 감 신 함의 5미 가운데 치료를 요하는 장기에 해당하는 맛()의 약물을 주어서 보해 줍니다.

사기(瀉氣)가 상부에 있으면 발한시키고, 하부에 있으면 이뇨시키며, 중에 있어서 막혀 있으면 사하제를 줍니다.

사기를 신체에 받은 것은 먼저 발한시키는 것이 원칙입니다.

 

아직 표피에 머물러 있는 동안이면 땀을 내는 것만으로써 사기를 물리칠 수 있습니다.

 

사기가 여기 저기 방산되어 날뛰는 상태일 때는 가볍게 어루만져서 이를 멎게 해 줍니다.

 

사기가 한 곳에 모여서 막혀 있을 때는 이를 이산시켜서 제거하는 치료법을 강구합니다.

이와 같이 모두 자연의 이치에 적합한 치료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즉 병의 음양 허실 한열을 자세히 진찰하여 보사를 하는 것입니다.

또 양인 병의 경우에는 음의 부위도 다스려서 음양의 조화를 꾀하고, 음의 병인 경우에는 양의 부위도 다스려서 음양의 조화를 꾀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혈과 기와의 병 상태를 잘 연구하여 각각 올바르게 작용하도록 상태를 조정해 주어야 합니다.

혈이 한 곳에 집중되어 원활하게 유통하지 않을 때는 사혈해서 장애를 제거하여 혈을 유통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기가 힘을 잃고 순환하지 않게 되었으면 침을 놓아서 기를 이르게 하고, 이렇게 기의 힘을 뻗쳐 주어야 합니다.

[生氣通天論][생기통천론]

 

黃帝曰.

夫自古通天者.生之本.本於陰陽.

天地之間.六合之內.其氣九州.

九竅.五藏.十二節.皆通乎天氣.

其生五.其氣三.

數犯此者.則邪氣傷人.

此壽命之本也.

황제가 설명했다.

예로부터 사람의 생명활동과 자연의 변화가 서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을 생명활동의 근본으로 삼아왔는데,

그것이 바로 음과 양을 말하는 것이었소.

천지의 사이, 사방과 상하의 사이에서, 땅의 구주(九洲)가 있다면

사람에게는 구규와 요장, 십이관절이 있는데

이 모두가 자연의 기와 서로 통하는 것이라 하오.

땅의 오행은 위로 하늘의 삼양(태양, 양명, 소양),

삼음(태음, 소음, 궐음)과 호응하는데

하늘과 땅과 사람이 상호작용하는 법칙을 어기면 사기가 인체를 상하게 되오.

따라서 음과 양이야말로 생명의 근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오!

 

蒼天之氣 清淨 則志意治.順之則陽氣固.

雖有賊邪.弗能害也.此因時之序.

故聖人傳精神.服天氣.而通神明.

失之則內閉九竅.外壅肌肉.

衛氣散解.此謂自傷氣之削也.

사람과 자연은 기가 서로 통하고 있기 때문에,

하늘의 기가 청정하면 사람의 마음도 매우 평화로워집니다.

이 법칙만 잘 따라하여 적응하면 인체의 양기가 조밀하고 단단해져서

적풍(賊風)이 불고 허사가 있어도 몸에 해를 끼칠 수가 없습니다.

이는 사계절과 음양이 변화하는 법칙을 잘 따르고 적응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양생을 잘하는 사람은 정신을 하나로 집중해서

자연의 변화에 따라 음양의 관건을 잘 조절합니다.

이 법칙을 어기면 안에서는 구규가 통하지 않게 되고,

밖에서는 근육이 막혀 인체를 보호하는 양기가 흩어져 버립니다.

이것은 병자 자신이 사계절의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는 바람에 병을 얻은 것이고

그에 따라 정기가 소모되어 버린 결과를 초래한 것입니다.

 

陽氣者.若天與日.

失其所.則折壽而不彰.

故天運當以日光明.

是故陽因而上衛外者也.

因於寒.欲如運樞.

起居如驚.神氣乃浮.

인체의 양기란 하늘의 해와 같지요.

해가 정상적으로 운행하지 못하면 만물이 살수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인체의 양기가 정상적으로 운행하지 못하면

수명은 단축되고 건강하게 자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하늘의 운행은 햇빛에 의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람의 양기도 위로 운행해서, 몸을 보호하고

외부의 사기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막는 작용을 합니다.

인체가 찬 기운인 한사(寒邪)의 침입을 받게 되면,

집으로 친다면 출입문이 활짝 열려 버린 것 과 같은 상태가 되어,

행동 거지에 갑작스러운 변동이 일어나므로 신기가 밖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因於暑汗.煩則喘喝.靜則多言.

體若燔炭.汗出而散.

因於濕首.如裹濕.熱不攘.大筋?短.

小筋弛長.?短爲拘.弛長爲痿.

因於氣.爲腫.四維相代.陽氣乃竭.

무더운 기운인 서사(暑邪)의 침입을 받으면 땀을 많이 흘리고 초조해하며

심지어 숨을 헐떡이면서 천식에 걸린 것처럼 헉헉 소리를 내지요.

초조해하면서 숨을 몰아쉬지 않을 경우에는, 말을 많이 할 도 있습니다.

몸은 마치 숯이 불에 타는 것처럼 열이 오르는데,

이럴 때는 꼭 땀을 내야 열이 내립니다.

습한 기운인 습사로 인해 병을 앓게 되면,

머리가 무언가로 싸매놓은 것처럼 묵직합니다.

습기와 열기를 제 때에 제거하지 않으면

대근(大筋)은 오그라들어 펼 수 없게 되고

소근(小筋)은 오히려 이완되어 무력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축해서 오그라들면 당기고 뒤틀리며,

이완되어 풀어지면 늘어지고, 약해집니다.

기가 허해져 부종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

팔다리가 번갈아 가면서 붓고

통증이 멈추질 않으면 양기가 이미 쇠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陽氣者.煩勞則張.精絶.

辟積於夏.使人煎厥.目盲不可以視.

耳閉不可以聽.潰潰乎若壞都.汨汨乎不可止.

인체의 양기는 마음이 번거롭고 몸이 고달프면

항양이 되어 밖으로 빠져나가며 음정(陰精)을 고갈시킵니다.

병이 쌓인지 오래되고 여름이 되어 기후까지 더워지면,

병자들은 적응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전궐'(체내의 열이 음액을 손상하여 갑자기 정신을 잃고

사지가 차가워지는 증상)에 걸리기 쉽습니다.

발작이 일어나면 두 눈이 침침해지면서 보이지 않게 되고

양쪽 귀는 막혀서 아무 소리도 들을 수 없게 됩니다.

병세가 위급해지면 마치 하천의 둑이 무너져

물이 넘쳐 쉼 없이 흐르는 것과 같습니다.

 

陽氣者.大怒則形氣絶.

而血菀於上.使人薄厥.

有傷於筋.縱其若不容.

汗出偏沮.使人偏枯.

汗出見濕.乃生痤疿.高梁之變.

足生大丁.受如持虛.

勞汗當風.寒薄爲皶.鬱乃坐.

인체의 양기는 사람이 매우 화가 났을 때 몸과 분리되어

피가 기를 따라서 올라가 머리에 쌓이는데,

그렇게 되면 경락이 막혀 통하지 않기 때문에 기절하게 되는 것입니다.

몸의 근육이 모두 상하면 근육이 이완되어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항상 반신에서 땀이 나면 머지 않아 반신불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땀을 흘린 후 습사의 침입을 받으면 부스럼과 땀띠가 나기 쉽습니다.

기름지고 맛이 진한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커다란 종기가 나기 쉬운데,

빈 그롯에 물건을 담는 것만큼이나 쉽습니다.

열심히 일을 하고 나서 땀이 나올 때 찬 바람이나 냉기를 만나면,

한기가 피부 속으로 침투해서 두드러기가 나는데

만일 이것이 단단히 엉겨서 풀어지지 않으면 부스럼이 됩니다.

 

陽氣者.精則養神.柔則養筋.

開闔不得.寒氣從之.乃生大僂.

陷脈爲瘻.留連肉腠.

兪氣化薄.傳爲善畏.及爲驚駭.

營氣不從.逆於肉理.乃生癰腫.

魄汗未盡.形弱而氣爍.

穴兪以閉.發爲風瘧.

인체의 양기는 정미로운 것은 신(神)을 기를 수 있고

부드러운 것은 근육을 기를 수 있습니다.

피부의 모공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잘 조절하지 못해서 균형을 잃었을 때,

한사가 그 틈을 타고 침입하게 되고 등이 굽어지는 구루병에 걸리게 됩니다.

한기가 경맥으로 들어가면 영기(營氣)가 경맥을 따라 정상 운행되지 못하고

피부와 체표의 근육에 정체되어 작은 종기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한기가 혈맥 속으로 깊이 침투하면 루창(종기가 아물지 않고 계속해서

고름이 나오는 병증)이 되어 근육층에 남게 되는 데 금방 낫지 않습니다.

한기가 등 쪽에서 더욱 파고들어 장부에 까지 미치게 되면

자주 두려움에 떨고 깜짝깜짝 놀라는 증상을 보입니다.

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않는데, 몸이 약해져서 양기가 소진되어

경혈이 막히면 풍학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故風者. 百病之始也.清靜則肉腠閉拒.

雖有大風苛毒.弗之能害.此因時之序也.

故病久則傳化.上下不並.良醫弗爲.

故陽畜積病死.而陽氣當隔.

隔者當寫.不亟正治.旦乃敗亡.

그러므로 풍사는 갖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그러나 정시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의지를 편안하게 하여

피부와 체표의 근육이 꼭 닫히도록 하고 양기가 밖을 보호하면,

아무리 큰 바람이나 매서운 독이라도, 몸을 상하게 할 수 없으니,

이것은 사계절이 변화하는 법칙에 순응하여 양생을 조절한 결과입니다.

병이 오래되면 다른 증상까지 나타나는데,

병이 상하의 기가 서로 통하지 않는 단계까지 이르면

아무리 용한 의사가 와도 더 이상 힘써 볼 도리가 없게 됩니다.

인체의 양기는 너무 축적되어도 죽을 수 있습니다.

양기가 쌓이면 흐트러뜨려야 하는데,

흩어지게 하는 방법은 배출시키는 방법,

즉 사법(瀉法)을 써야 합니다.

적절한 때에 치료를 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이 즉각 위험하게 됩니다.

 

故陽氣者.一日而主外.平旦人氣生.

日中而陽氣隆.日西而陽氣已虛.氣門乃閉.

是故暮而收拒.無擾筋骨.無見霧露.

反此三時.形乃困薄.

인체의 양기는 낮에는 주로 인체의 외부를 보호합니다.

새벽이 되면 양기가 신체의 표면에서 활약을 시작합니다.

정오가 되면 양기는 가장 왕성한 단계에 이릅니다.

태양이 서쪽으로 기운 다음에, 몸의 표면에 있던 양기가 점점 줄어들며,

땀구멍은 마치 성문처럼 닫히기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저녁이 되면 양기는 수렴이 되어, 체내로 잘 간수되는데

이때는 근육과 뼈를 요동하지 말고 안개나 이슬 가까이에 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루 동안 양기가 이 세 단계의 활동법칙을 지키지 못하면,

몸에 사기가 침입해서 쉽게 피로함을 느끼고 몸이 쇠약해집니다.

 

岐伯曰.

陰者藏精而起亟也.

陽者 衛外而爲固也.

陰不勝其陽.則脈流薄疾.並乃狂.

陽不勝其陰.則五藏氣爭.九竅不通.

기백이 또한 말했다.

음은 정기를 간직한 것으로 양기가 운행하는 기초가 됩니다.

양은 외불를 보호해서 인체의 살결을 단단하게 합니다.

음이 양을 제어하지 못하면 혈맥이 빠르게 흘러,

양기와 사기가 서로 만나게 되어 광병(狂病)이 나타납니다.

양이 음을 제어하지 목하면 오장의 기운이 정적해져서

구규가 통하지 않게 됩니다.

 

是以聖人陳陰陽.筋脈和同.

骨髓堅固.氣血皆從.

如是則內外調和.邪不能害.

耳目聰明.氣立如故.

風客淫氣.精乃亡.邪傷肝也.

因而飽食.筋脈橫解.腸澼爲痔.

因而大飮.則氣逆.

因而強力.腎氣乃傷.

高骨乃壞.凡陰陽之要.

陽密乃固.兩者不和.

若春無秋.若冬無夏.

因而和之.是謂聖度.

그러므로 성인께서 음양의 도리를 누차 설명하실 때에,

음양이 평형을 이루어야 인체의 근맥이 조화롭게 되고

골수가 튼튼해진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안과 밖이 조화로우면 사기가 들어도지 못하고

귀와 눈이 밝아지며 진기가 자율적으로 변함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음양이 평형을 이루는 관건은 양기가 밖을 조밀하게 에워쌀 때,

음기는 안에서 잘 갈무리되어 있는 것입니다.

음과 양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평형과 조화가 깨지게 되는데,

이는 일년 중에 봄철만 있고 가을이 없거나

겨울은 있는데 여름이 없은 경우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음양이 조화를 이루어 균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

최고의 양생원리입니다.

 

故陽強不能密.陰氣乃絶.

陰平陽秘.精神乃治.

陰陽離決.精氣乃絶.

양기가 지나치게 극성해서 고밀(固密)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으면

음기가 점점 줄어들어서 고갈되어 버립니다.

음기가 화평하고 양기가 고밀하면 정(精)과 신(神)이 왕성해집니다.

음과 양이 분리되어 서로 어울리지 않게 되면

정기(精氣)도 그에 따라 다하게 됩니다.

 

因於露風.乃生寒熱.

是以春傷於風.邪氣留連.乃爲洞泄.

夏傷於暑.秋爲痎瘧.

秋傷於濕.上逆而咳.發爲痿厥.

冬傷於寒.春必溫病.

四時之氣.更傷五藏

그러므로 풍사에 손상되면, 사기가 체내에 남아서 없어지지 않다가

여름이 되어 묽은 설사를 하는 동설(洞泄)의 증세가 발생합니다.

여름에 서사(暑邪)에 손상되면, 봄에 온열병이 생깁니다.

사계절의 사기는 이처럼 교대로 사람의 오장을 상하게 합니다.

 

陰之所生.本在五味.

陰之五宮.傷在五味.

是故味過於酸.肝氣以津.脾氣乃絶.

味過於鹹.大骨氣勞.短肌.心氣抑.

味過於甘.心氣喘滿.色黑.腎氣不衡.

味過於苦.脾氣不濡.胃氣乃厚.

味過於辛.筋脈沮弛.精神乃央.

是故謹和五味.骨正筋柔.氣血以流.湊理以密.

如是則骨氣以精.謹道如法.長有天命.

정(精)과 혈(血)의 생성은 음식의 다섯가지 맛을 섭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정과 혈을 저장하는 오장은 이 다섯 가지 맛을 편식하게 되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짠맛이 나는 것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큰 뼈가 손상되고

근육이 수축하고 심기(心氣)가 울적해집니다.

쓴맛이 나는 것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심기(心氣)가 답답하고 신기(腎氣)가 쇠약해집니다.

단맛이 나는 것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비기(脾氣)에 이상이 생겨 설사가 나고, 위기(胃氣)가 약해집니다.

매운맛이 나는 것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힘줄과 혈맥이 점점 쇠미해지고 정신이 약해집니다.

그러므로 다섯 가지 맛이 조화를 이루도록 주의를 기울이면

뼈는 곧고 바르고, 힘줄과 혈맥은 부드럽고 조화로우며,

기혈은 이리저리 잘 흘러서 통하고, 살결은 고밀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뼈는 굳세고 튼튼해집니다.

사람들이 이러한 양생의 법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면

하늘이 부여해준 수명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四氣調神大論][사기조신대론]

 

春三月.此謂發陳.天地生.萬物以榮.夜臥早起.

於庭.被髮緩形.以使志生.生而勿殺.予而勿奪.

賞而勿罰.此春氣之應.養生之道也.

逆之則傷肝.夏爲寒變.奉長者少.

봄의 3개월간은 발진(發陳 : 생기가 일어서 묵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생명을 일으킨다. 

즉, 양기가 증가하는 시기)이다.

봄이란, 양기가 상승하여 만물이 새롭게 태어나는 계절이므로 발진이라고 한다.

그것은 모든 것이 발생하고 이어지는 계절이다.

이 기간에 천지간의 온갖 생물이 싱싱하게 싹트고 자라서 번영하려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밤을 새우는 일이 없이 일찍 자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유유히 뜰을 거닐기를 권한다.

육체적으로는 운동을 자주 하고, 느슨하면서도 몸에 잘 맞는 옷을 입는 게 좋다.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운동이 바람직하고,

정서적으로는 마음을 편히 갖는 일이 중요하다.

육체적으로는 관을 쓰거나, 급격한 노동을 하는 일이 없고,

또 정신적으로는 겨울 동안에 깊이 감추었던 뜻을 세우게 하고,

만사를 여유 있게 다루며, 줄지언정 빼앗는 일이 없고,

칭찬할지언정 벌하는 일이 없이 모든 일을 침착하고, 느긋하게 처리한다.

즉 긴장하여 제어하는 일이 없도록 심신을 다루어야 한다.

그렇게 한다면 그것이 봄철에 있어서의 양기의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천지의 기에 상응하게 되는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봄철의 양생법으로 되는 것이다.

이 양생법에 거역해서 긴장시키거나,

급격한 노동을 하거나 하면 봄과 왕성하게 활동하는 간장을 상하게 된다.

비록 즉시 발병되지 않더라도 여름이 되면

이것이 원인이 되어 여름에도 추워지는 병(예: 감기)이 된다.

봄에 받은 상해가 근원이 되어 여름의 만물 성장의 기력이 감소되는 결과 병이 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夏三月.此謂蕃秀.天地氣交.萬物華實.夜臥早起.無厭於日.

使志無怒.使華英成秀.使氣得泄.若所愛在外.此夏氣之應.養長之道也.

逆之則傷心.秋爲痎瘧.奉收者少.冬至重病.

여름의 3개월은 번수(蕃秀 : 번이란 '무성하다'는 뜻이고, 수는 '열매를 맺다'는 뜻이다. 

즉 번수란 만물이 번창하여 많은 열매를 맺는다는 의미이다)라 한다.

그것은 꽃이 한창 피는 계절이다.

이 기간은 천지의 음양의 기가 활발하게 교류하여 모든 생물이 꽃피고, 결실하는 왕성한 계절이다.

이때 하늘의 기운은 땅으로 내려오고, 땅의 기운은 하늘로 올라가는 시기이다.

이렇듯 하늘과 땅의 기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 나무, 동물, 꽃, 과일 등이 번창하고 열매를 맺게 된다.

사람들은 약간 늦게 잠자리에 들고, 아침 일찍 일어나야 한다.

또한 화내지 말고 육체적인 활동을 하여 땀구멍이 막혀서 기운이 몸속에서 정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름철은 겨울과 비교 해 볼 때, 상대적으로 발산의 계절이다.

신체적으로 많은 활동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여름에 양기를 발산시키지 않으면, 몸속에 열이 가득 차서 질병에 걸린다.

몸속에서 양기가 가장 많은 부위가 심장이다.

양기가 많은 심장에 열이 더해지면 나빠질 수밖에 없다.

여름에는 다른 때보다 성생활을 더 즐길 수 있지만, 그렇다고 지나치게 탐닉해서는 안 된다.

정서적으로는 항상 행복하고 편안하게 지내야 하고, 매사에 불평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몸속의 기운이 자유롭게 순환하고,

외부의 환경과 몸속의 오장육부가 편안하게 교류할 수 있다.

만일 불평을 늘어놓는다면, 열기가 머리로 올라 더위에 손상을 당하기 쉽다.

여름을 잘 지내면 가을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

 

 

秋三月.此謂容平.天氣以急.地氣以明.早臥早起.與雞俱興.使志安寧.

以緩秋刑.收斂神氣.使秋氣平.無外其志.使肺氣.此秋氣之應.養收之道也.

逆之則傷肺.冬爲食泄.奉藏者少.

가을의 3개월은 용평(容平 : 몸가짐이 바르게 되는 시기)이다.

만물이 열매를 맺어 거두어들이는 시기이다.

흩어졌던 양기가 몸 속 깊숙한 부위로 모인다.

이 시기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고 닭울음소리와 함께 일어나야 한다.

의욕을 앞세워 지나치게 활동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만약 활동을 지나치게 하여 양기를 발산하면 폐가 약해져 겨울에 설사를 한다.

 

冬三月.此謂閉藏.水.無擾乎陽.早臥晩起.必待日光.使志若伏若匿.

若有私意.若已有得.去寒就.無泄皮膚.使氣奪.此冬氣之應.養藏之道也.

逆之則傷腎.春爲厥.奉生者少.

겨울의 3개월은 폐장(閉藏 : 만물이 조용히 휴식하며 준비하는 시기)이다.

거두어들인 모든 것을 저장하는 시기이므로 결코 발산해서는 안 된다.

이 시기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고 느지막하게 일어나야 한다.

양기도 몸 속 깊은 부위에 머무르므로 마음과 몸을 조용히 쉬어야 한다.

만약 땀을 흘리거나 술을 마셔서 일시적으로 양기를 증가시키면, 그 반동으로 신장이 나빠진다.

 

 

天氣, 清靜光明者也.藏不止.故不下也.

天明.則日月不明.邪害空竅.陽氣者閉塞.

地氣者冒明.雲霧不精.則上應白露不下.

交通不表.萬物命故不施.不施則名木多死.

惡氣不發.風雨不節.白露不下.則菀槁不榮.

賊風數至.暴雨數起.天地四時不相保.與道相失.則未央絶滅.

唯聖人從之.故身無奇病.萬物不失.生氣不竭.

천기는 깨끗하고 밝지만 그 덕을 깊숙이 감추고 드러내지 않는데,

이처럼 하늘이 자신의 밝은 덕을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긴긴 세월을 무너져 내리지 않았던 것입니다.

해와 달이 빛을 잃어버린다면 사기(邪氣)가 빈틈을 비집고 들어와 차츰차츰 재앙을 불러옵니다.

본래는 거침없이 흐르던 양기가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되고 가라앉아 있던 지기가 도리어 빛을 가려 버립니다.

안개가 자욱해서 사방은 모두 흐릿합니다.

그러면 지기가 천기에 응하지 못하고, 이슬이 내려올 수 없게 됩니다.

천지의 기운이 서로 통하지 않으니, 만물의 생명도 더 이상 이어질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큰 나무도 시들게 됩니다.

사기가 불시에 발동해서, 바람과 비가 때에 맞지 않게 이르므로

만물은 억눌리고 막혀서 시들어 버리고 번성하지 못합니다.

제철에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바람, 즉 적풍이 자주 불어오고 폭우가 거듭해서 내리고,

땅에서는 사계절의 질서가 문란해지고 정상적인 규율에서 벗어나는 일들이 발생하여

만물이 그 타고난 수명의 반을 누리기도 전에 일찍 스러져 버립니다.

그러므로 성인만이 홀로 자연의 변화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고,

양생의 도를 항상 유념해서 어떤 큰 병에도 걸리지 않습니다.

만물도 모두 스스로가 지켜야 할 도를 잃어 버리지 않으면

생기가 줄어들어 고갈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逆春氣.則少陽不生.肝氣?變.

逆夏氣.則太陽不長.心氣?洞.

逆秋氣.則太陰不收.肺氣焦滿.

逆冬氣.則少陰不藏.腎氣獨沈.

夫四時陰陽者.萬物之根本也.

所以聖人春夏養陽.秋冬養陰.以從其根.

逆其根.則伐其本.壞其眞矣.

봄에 소생하는 기운을 거스르면,

소양(少陽)이 발생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간기(肝氣)가 안에서 막혀 병에 걸립니다.

여름에 성장하는 기운을 거스르면,

태양이 성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체내의 심기(心氣)가 약해집니다.

가을의 거두어들이는 기운을 거스르면,

소음(少陰)이 수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폐에 열이 많아져서 불룩하게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겨울의 저장하는 기운은 거스르면,

태음(太陰)이 갈무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신기(腎氣)가 더욱 약해집니다.

사계절과 음양의 변화는 만물이 나고 자라고 수확하고 저장하는

근본이 되므로 성인은 이 법칙에 그대로 순응했습니다.

또한 봄과 여름에는 양기를 보양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를 보양해서 양생의 근본 법칙에 적용했습니다.

만약 이런 근본을 어기면 생명의 근본이 상하고, 원기마저 훼손됩니다.

 

故陰陽四時者.萬物之終始也.死生之本也.

逆之則災害生.從之則苛疾不起.是謂得道.

道者.聖人行之.愚者佩之.

從陰陽則生.逆之則死.從之則治.逆之則亂.

反順爲逆.是謂格.

따라서 사계절과 음양의 변화는

만물을 낳고 자라게 하는 시작이자 끝이며

성쇠와 존망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법칙을 거스르면 재앙을 만나고,

그것을 따르면 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으니,

이것을 일러 양생의 도를 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성인은 이 양생의 도를 적절하게 실천으로 옮길 수 있지만,

어리석은 사람은 그 도를 지키지 목합니다.

음양의 변화 법칙을 그대로 따르면 순조롭게 성장하지만,

그것을 따르지 않으면 죽음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그대로 잘 따르면 정상이지만 잘 따르지 않으면 재앙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만일 그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을 오히려 그대로 따르는 것인 양 여기면

생명체와 자연환경이 서로를 방해하며 대립하게 됩니다.

 

是故聖人不治已病.治未病.

不治已亂.治未亂.此之謂也.

夫病已成而後藥之.

亂已成而後治之.

譬猶而穿井.

鬪而鑄錐.

不亦晩乎

그러므로 성인은 이미 병에 걸리고 나서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병에 걸리기 전부터 예방을 합니다.

잘다스려지고 있는 나라일수록 난이 일어난 후에야 그것을 평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미리 조처를 취해서 아예 난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막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하겠습니다.

이미 병에 걸린 후에 치료를 한다는 것은

결국 전란이 일어나고 나서야 그것을 평정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야말로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파는 격이요,

전쟁이 시작되고나서 무리를 만드는 셈이니,

이미 너무 늦어버린 것입니다. 

[上古天眞論篇][상고천진논편]  

 

昔在黃帝,生而神靈,弱而能言,幼而徇齊,長而敦敏,成而登天。

아득한 옛적에 황제라는 어진 제왕이 있었다.

이 분은 선천적으로 영통하게 명석한 두뇌의 소지자였으며, 

갓 났을 때 벌써 말을 이해하였으며, 유소시에 총명아 이었고, 

성장해서는 더욱더 행동이 성실하여 어진 제왕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용을 타고 승천하였다고 한다.

 

乃問于天師曰:余聞上古之人,春秋皆度百歲,  

而動作不衰;今時之人,年半百而動作皆衰者。

時世異耶? 人將失之耶?

어느 때 그 황제가 왕사인 기백에게 묻기를

나는 오래전부터 태고 적 사람들은 나이를 먹어 백세가 지나도 

여전히 그 동작이 쇠퇴하지 않았다고 들었소.

그런데 지금의 백성들을 보면 50세가 되자, 벌써 동작이 쇠퇴하게 되는데, 

이는 대체 어찌된 까닭인가?

시대에 따라 천지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의 수명에 

차이가 생긴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백성들의 불섭생에 기인하여 이렇게도 단명한 것인지?

 

岐伯對曰:上古之人, 其知道者,法于陰陽,和于術數,食飮有節,

起居有常,不妄作勞, 故能形與神俱,而盡終其天年,度百歲乃去。

기백이 답하기를 태고적 사람들 가운데 양생의 이치를 터득한 사람은 천문력 수를 

알아서 춘하추동의 자연의 기운에 조화를 맞추고, 음식물 섭취에 절도가 있었으며, 

일상생활에도 규칙을 세워서 함부로 심신을 과로케 하는 일이 없었으므로 

육체도 정신도 다 함께 조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때문에 백년의 수명을 다할 수 있었습니다.

 

今時之人不然也,以酒爲漿,以妄爲常,醉以入房,以欲竭其精,以耗散其眞,

不知持滿,不時御神,務快其心,逆于生樂,起居無節,故半百而衰也。

그런데 지금의 사람들은 그러한 이치에 적합한 생활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과즙이라도 마시듯이 술을 마구 마시고, 심신을 함부로 과로케 하는 일 등이 

일상다반사 입니다.

술에 취해서는 여자를 찾아서 정욕이 동하는 대로 

그 정력을 소모하여 생의 원천인 진기를 상실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심신의 진기를 보존하려 하지 않고, 기분이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 

욕망을 충족시키며, 장수의 약을 모르고, 생활 태도가 아주 무절제하기 때문에 

50세만 되면 벌써 노화 현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夫上古聖人之敎下也,

皆謂之虛邪賊風避之有時,恬淡虛無,眞氣從之,精神內守,病安從來。

무릇 태고 적의 성인이라 불리던 분들이 아래 백성들을 잘 교육시킨 것은 

모두 다음의 사항들입니다.

인간의 생명력을 소실케 하며, 신체의 원활한 작용을 해치는 가지가지 

질병의 근원이 되는 사풍이라는 것은 이를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그 사풍이 불어올 때를 역법에 의해 정확히 알아서 스스로 피하도록 하면 되는 것입니다.

무릇 마음을 안정하여 과분한 욕망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생명의 원천인 진기는 

그 사람의 체내를 골고루 순환하여 신체를 올바르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5장의 정기이며, 생명 활동의 근본인 마음의 신기와 신의 정기가 충실하여 

해이됨이 없이 체내를 빈틈없이 방위한다면 질병을 일으킬 외사 등이 어디서 어떻게 

침입할 수 있겠습니까?

是以志閑而少欲,心安而不懼,形勞而不倦,氣從以順,各從其欲,皆得所願。

그러므로 무슨 일이든 급히 해치우고 말겠다는 지나친 욕심을 일으키지 않고, 

마음의 여유를 가져서 욕망을 적게 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사물에 동요되지 말고, 

아무 것에도 놀라지 않고, 또 육체노동을 하더라도 무리를 하지 않게 되면 영기, 

위기가 다 함께 순조로이 체내를 운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욕망이 적은 사람은 마음이 언제나 만족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故美其食,任其服,樂其俗,高下不相慕,其民故曰樸。

是以嗜欲不能勞其目,淫邪不能惑其心,

그렇게 되면 섭취한 음식물이 그것으로써 아! 맛있다고 마음에 흡족하게 되며,

가지고 있는 의복으로써 부족을 느끼지 않고, 각자의 환경에 만족하여 즐겁게 지내며,

신분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그 지위와 생활을 탐내지 않는다면

당연히 신분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을 괴롭히려는 마음이 없고,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을 원망하는 마음이 없어서 

그 결과로서 사회는 원활하게 다스려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백성들의 심리는 참으로 소박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가 되면 백성들이 어떠한 유혹과 욕망(사욕)에도 끌리지 않고, 

부럽게 보이는 외견상의 어떤 즐거움도 그 마음을 유혹할 수 없습니다.

愚智賢不肖,不懼于物,故合于道。

所以能年皆度百歲而動作不衰者,以其德全不危也。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 있는 사람이나, 어진 사람이나, 하찮은 사람들이 모두 평등하게 

무슨 일이든 두려움이 없으므로 섭생의 도리에 잘 따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개의 사람들이 100세를 넘어도 노쇠하지 않았다는 것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바를 다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육체도 그에 따라 편안하였던 것입니다.

 

帝曰 : 人年老而無子者, 材力盡邪? 將天數然也?

岐百曰 : 女子

七歲, 腎氣盛, 齒更髮長.

二七而天癸至, 任脈通, 太衝脈盛, 月事以時下, 故有子.

三七, 腎氣平均, 故眞牙生而長極.

四七, 筋骨堅, 髮長極, 身體盛壯.

五七, 陽明脈衰, 面始焦, 髮時墮.

六七, 三陽脈衰於上, 面皆焦, 髮示白.

七七, 任脈虛, 太衝脈衰少, 天癸竭, 地道不通. 故形壞而無子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사람이 늙어지면 자식을 낳지 못하게 되는 까닭은 자식을 낳을 정자와 난자를 

다 소비하였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으면 하늘의 이치인가?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여성에 대하여 아뢰옵겠 습니다.

여성은 7세가 되면 신기가 겨우 형성되어 그 표현으로서 영구치가 생기고, 

모발도 숱이 많아지고 길어집니다.

14세가 되면 생식 능력이 생깁니다. 

임맥 이 완전히 유통되고, 혈해인 충맥도 성대하게 되므로 

월경이 정기적으로 내리게 되며, 그래서 아기를 잉태할 능력이 완비됩니다.

21세가 되면 신기가 전신을 균등하게 돌게 되므로 사랑니가 나고, 

이로써 완전히 치아가 갖추어집니다.

28세가 되면 근골이 모두 단단해지고, 모발도 많아지며, 

신체가 여성으로서 가장 충실한 상태가 됩니다.

35세가 되면 양명의 경맥이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므로 얼굴에 주름이 잡히기 시작하며, 

모발이 빠지는 것이 약간씩 눈에 띄게 됩니다.

42세가 되면 태양, 양명, 소양의 3양경맥이 모두 쇠퇴하여 충분히 안면을 영양할 수 없게 

되므로 얼굴에는 주름이 많아지고, 머리에는 백발이 약간씩 보이게 됩니다.

49세가 되면 임맥이 공허하게 되기 시작하고, 혈해인 충맥이 쇠퇴하여 혈이 적어지면 

마침내 월경도 끝이 나고, 생식 능력이 없어집니다.

 

丈夫

八歲, 腎氣實, 髮長齒更.

二八, 腎氣盛, 天癸至, 精氣溢瀉, 陰陽和, 故能有子.

三八, 腎氣平均, 筋骨勁强, 故眞牙生而長極.

四八, 筋骨隆盛, 肌肉滿壯.

五八, 腎氣衰, 髮墮齒槁.

六八, 陽氣衰於上, 面焦, 髮賓頒白.

七八, 肝氣衰, 筋不能動,

八八, 天癸竭, 精少, 腎藏衰, 形體皆極, 則齒髮去.

腎者主水, 受五臟戮腑之精而藏之, 故臟府盛, 乃能瀉.

今五臟皆衰, 筋骨解墮, 天癸盡矣, 故髮賓白, 身體重, 行步不正, 而無子耳.

다음에 남성에 대하여 아뢰옵니다.

남성은 8세가 되면 신기가 겨우 충실 되어 그 표현으로서 모발의 숱이 많아지고 길어지며, 영구치가 생기게 됩니다.

16세가 되면 생식 능력이 갖추어집니다.

신에 정기가 넘쳐흐르며, 전신이 남자답게 되므로 성행위가 가능하게 되며, 

아기의 종자를 심을 수 있게 됩니다.

24세가 되면 신기가 전신을 균등하게 돌게 되므로 근골이 단단해지고, 사랑니가 나며, 

이로써 치아가 완전히 갖추어집니다.

32세가 되면 골근이 융성하고, 기육도 단단해져서 남자로서의 최성기를 맞이합니다.

40세가 되면 점차로 신기가 쇠퇴해지므로 모발이 드물게 되며, 동시에 치아가 나빠집니다.

48세가 되면 양기의 순환이 나빠져서 충분히 안면을 영양할 수 없게 되므로 

얼굴에 주름이 잡히고, 흰 머리털이 생겨서 희끗희끗해집니다.

56세가 되면 간기가 쇠퇴해지므로 그 결과로서 간의 표현인 근육의 신축이 종전처럼 

완전히 안되며, 생식 능력도 결핍되어 신에 저장되었던 정기가 적어지고, 

그와 동시에 신의 장기 자체의 기능도 나빠져서 결국 몸 전체가 노화됩니다.

64세가 되면 신의 표현인 치아나 모발도 빠지고, 다시 나지 않습니다.

대체 신이라는 장기는 체액을 주관하는 기관이며, 5장 6부의 활동의 원천인 정기를 

거기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5장의 작용이 왕성할 때는 그 정기를 전신에 골고루 돌게 하여 모든 기관의 

작용 능력을 지탱하고 있는데, 이제 이미 오장의 작용이 쇠퇴하므로 근골이 해이되고,

생식 능력도 소진돼 버립니다.

즉 모발은 희고, 몸이 부자유하여 걸음걸이도 비틀거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식의 종자를 심는다는 일 같은 것은 도저히 바랄 수 없게 됩니다.

 

帝曰 : 有其年已老而有子者, 何也?

岐伯曰 : 此其天壽過度, 氣脈常通, 而賢氣有餘也.

此雖有子, 男佛過盡八八, 女不過盡七七, 而天地之精氣皆竭矣.

황제께서 물으셨다.

그러나 노인도 자식을 낳는 수가 있는데, 그것은 대체 어찌된 영문이요?

기백이 대답하기를

그것은 하늘이 그 사람에게 부여한 것이 보통 사람보다 많기 때문이며,

그런 사람은 노년이 되어도 경맥의 기가 젊은이처럼 원활하게 유통되고, 

신기도 여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노인에게 생식 능력이 있다고 해도 남성은 64세, 

여성은 49세가 지나면 상실됩니다.

이 나이를 지나면 남녀의 성적 능력의 원천인 신의 정기가 결핍되기 때문입니다.

 

 

 

출처 : 조연호의 자연치유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