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黃帝問曰

痺之安生

황제께서 물으셨다.

비라는 병은 어째서 생기는 것이요?

 

岐伯對曰

風寒濕三氣雜至合而爲痺也

其風氣勝者爲行痺

寒氣勝者爲痛痺

濕氣勝者爲著痺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풍기와 한기와 습기가 함께 인체에 침입하면

양기의 순환이 나빠져서 비병으로 됩니다.

특히 풍기가 강할 때는 이행성의 비병인 행비로 됩니다.

특히 한기가 강할 때는 동통성의 비병인 통비로 됩니다.

특히 습기가 강할 때는 침착성의 비병인 착비로 됩니다.

 

帝曰

其有五者何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5비란 무엇이요?

 

岐伯曰

以冬遇此者爲骨痺

以春遇此者爲筋痺

以夏遇此者爲脈痺

以至陰遇此者爲肌痺

以秋遇此者爲皮痺

기백이 대답하였다.

겨울에 이 병에 걸린 것을 골비라 합니다.

봄철에 이 병에 걸린 것을 근비라 합니다.

여름에 이 병에 걸린 것을 맥비라 합니다.

장하에 이 병에 걸린 것을 기비라 합니다.

가을에 이 병에 걸린 것을 피비라 합니다.

 

帝曰

內舍五藏六府何氣使然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6부의 비병은 어째서 걸리는 것이요?

 

岐伯曰

五藏皆有合病久而不去者內舍於其合也

, 骨痺不已復感於邪內舍於腎

筋痺不已復感於邪內舍於肝

?痺不已復感於邪內舍於心

肌痺不已復感於邪內舍於脾

皮痺不已復感於邪內舍於肺

所謂痺者各以其時重感於風寒濕之氣也

凡痺之客五藏者

肺痺者煩滿喘而嘔

心痺者脈不通煩則心下鼓

暴上氣而喘?乾善噫厥氣上則恐

肝痺者夜臥則驚多飮數小便上爲引如懷

腎痺者善脹尻以代踵脊以代頭

脾痺者四支解墮?嘔汁上爲大塞

腸痺者數飮而出不得中氣喘爭時發?

胞痺者少腹膀胱按之內痛若沃以湯?於小便上爲淸涕

陰氣者靜則神藏躁則消亡飮食自倍腸胃乃傷

淫氣喘息痺聚在肺

淫氣憂思痺聚在心

淫氣遺溺痺聚在腎

淫氣乏竭痺聚在肝

淫氣肌絶痺聚在脾

諸痺不已亦益內也

其風氣勝者其人易已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5장에는 각각 5행적으로 상응하는 것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 근 맥 기피에 병사가 오래 머물러 제거되지 않을 때는 내부로 침입하여 그에 상응한 5장에 달라붙습니다.

고로, 골비가 낫지 않을 동안에 또 사기에 손상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신에 머물게 됩니다.

근비가 낫지 않을 동안에 또 사기에 손상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간에 머물게 됩니다.

맥비가 낫지 않을 동안에 또 사기에 손상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심장에 머물게 됩니다.

기비가 낫지 않을 동안에 또 사기에 손상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비에 머물게 됩니다.

피비가 낫지 않을 동안에 또 사기에 손상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폐에 머물게 됩니다.

5장의 비병은 각각 그것이 주관하는 춘하추동의 4시에 거듭 풍 한 습의 사에 손상됨으로써 생깁니다.

폐비는 가슴이 팽만하여 괴롭고, 호흡이 거칠게 되어 괴로우며 토합니다.

심비는 경맥의 흐름이 나빠져서 가슴이 답답할 때는 명치 부근이 두근거리며, 갑자기 기가 상충하여 숨결이 거칠고, 목이 마르며, 흔히 트림을 합니다.

냉기가 치밀면 심장이 불안하게 되어 무서워하기 쉽게 됩니다.

간비는 야와 시키면 안정되지 않고 놀라기 쉬우며, 수분을 많이 취하여 자주 소변을 보게 됩니다.

하복부가 불러서 아이를 밴 것 같습니다.

신비는 부종이 잘 생기고, 엉덩이가 처져서 발뒤축까지 이르기도 하고, ()이 머리에까지 닿는다고 형용할 수 있을 정도로 부종이 생깁니다.

비비는 수족이 해이되어 나른하고, 기침이 나며, 황색 담즙을 토하고 목이 메입니다.

장비는 자주 물을 마시지만, 소변이 잘 안 나옵니다. 뱃속이 복명하면 설사를 합니다.

포비는 하복부의 방광 부위를 누르면 속이 아프고, 열탕을 끼얹은 것처럼 뜨거워지고, 소변이 삽체되며 콧물이 납니다.

정신적으로 안정하면 5장의 정기가 잘 갈무려져 있으므로 외사가 인체에 침입하려고 하여도 침범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격동하면 5장의 정기가 소실되므로 이러할 때에 풍 한 습의 사기에 침범되어 비병으로 되기 쉽습니다.

또한 음식을 절제하면 언제나 위기가 생겨서 사기의 침입을 막지만, 폭음폭식 하여 작용을 위장의 상해하면 그러할 때에 풍 한 습의 사기에 손상되어비병으로 되기 쉽습니다.

사기가 침입하여 식식하면서 호흡이 거칠게 되는 것은 비사가 폐로 모이기 때문입니다.

사기가 침입하여 정신적으로 우울하게 되는 것은 비사가 심장으로 모이기 때문입니다.

사기가 침입하여 소변을 싸는 것은 비사가 신으로 모이기 때문입니다.

사기가 침입하여 성욕이 전혀 없어진 것은 비사가 간으로 모이기 때문입니다.

사기가 침입하여 기육이 핼쑥하게 빠지는 것은 비사가 비로 모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러 가지 비병이 오래 끌면 점차로 5장의 비병으로 이행해 갑니다.

풍 한 습의 사 가운데 풍기가 강한 행비가 가장 낫기 쉬운 것입니다.

 

帝曰

痺其時有死者或疼久者或易已者其故何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비병의 환자는 때로 사망하는 자가 있으며,

또한 그 아픔이 오래 계속되는 자도 있고,

아주 간단히 낫는 자도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이요?

 

岐伯曰

其入藏者死

其留連筋骨間者疼久

其留皮膚間者易已

기백이 대답하였다.

어느 병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마는,

병사가 5장을 직격하면 사망합니다.

병사가 근육과 뼈 사이에 계속 머물면 아픔이 심한 것입니다.

병사가 피와 부 사이에 있을 때이면 낫기 쉬운 것입니다.

 

帝曰

其客於六府者何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병사가 6부에 머물 경우는 어떠하오?

 

岐伯曰

此亦其食飮居處爲其病本也

六府亦各有兪風寒濕氣中其兪

而食飮應之循兪而入各舍其府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것도 역시 마찬가지로 음식의 부절제,

환경의 부적당이 병의 근본으로 됩니다.

6부의 수혈에 풍 한 습의 사기가 닿았을 때 우연히 음식,

환경의 부적합에 의해

6부가 약해지면 거기에 침입하여 머물게 됩니다.

 

帝曰

以鍼治之奈何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침에 의한 치료는 어떻게 하오?

 

岐伯曰

五藏有兪六府有合循脈之分

各有所發各隨其過則病?

기백이 대답하였다.

5장의 비에는 유혈을 취합니다.

6부의 비에는 합혈을 취합니다.

그밖의 비는 경맥을 따라서 여러 가지 과부족의 상태를 일으키고 있으므로 이를 조화시켜 주면 병이 낫습니다.

 

帝曰

榮衛之氣亦令人痺乎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영기 위기가 비병을 일으키는 수가 있는지?

 

岐伯曰

榮者水穀之精氣也

和調於五藏灑陳於六府乃能入於脈也

故循脈上下貫五藏絡六府也

衛者水穀之悍氣也

其氣慓疾滑利不能入於脈也

故循皮膚之中分肉之間

熏於?散於胸腹

逆其氣則病從其氣則愈

不與風寒濕氣合故不爲痺

기백이 대답하였다.

영기는 음식물의 정미의 기이며, 5장을 조화시키고,

6부를 씻어 맑게 하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 영기는 맥 속을 지나서 경맥을 따라 상하로 순환하여

그 사이에 5장을 꿰뚫어 6부에 얽힙니다.

충기는 음식물의 표한한 기이며, 그 움직임은 빠르고 강하며,

매끄럽고 민첩하므로 맥 속을 유유히 흐르는 것이 아니며,

피부의 속이나 육과 육과의 갈라진 틈을 따라서 흐르고,

복막을 가온하며, 흉복부를 산행합니다.

이들 영기 위기가 손상됨은 그 순환이 역행되는 경우이며,

이를 순행시켜 주면 낫습니다.

즉 이들 영기 위기는 열기가 강하므로 풍 한 습의 사기는

이들 자체를 손상시킬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위기의 비라고 하는 것은 없습니다.

 

帝曰善

痺或痛或不痛或不仁

或寒或熱或燥或濕其故何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비병은 아프거나 혹은 아프지 않거나 혹은 마비되거나

혹은 마냉하거나 혹은 열을 가지거나 혹은 조하거나 혹은 습하는데,

그것은 어째서인지?

 

岐伯曰

痛者寒氣多也有寒故痛也

其不痛不仁者病久入深?之行?經絡時疏

故不通皮膚不營故爲不仁

其寒者陽氣少陰氣多與病相益故寒也

其熱者陽氣多陰氣少病氣勝陽遭陰故爲痺熱

其多汗而濡者此其逢濕甚也

陽氣少陰氣盛兩氣相感故汗出而濡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아픔이 심한 것은 한기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즉 한사가 있으므로 아픕니다.

아프지 않고 마비되는 것은 비병으로 되어

오래 사기가 깊이 침입하여 있으므로 영기 위기의 흐름도 삽체되고,

때로는 경맥이나 낙맥이 공허하게 되는 수도 있으며,

피부에 기가 통하지 않고, 혈도 순환이 나쁘므로 마비되는 것입니다.

한냉 되는 것은 양기가 적어지고, 음기가 많으며,

이 이상이 비병의 사기를 조장시키므로 한냉 됩니다.

열을 가진 것은 양기가 많고, 음기가 적어져서 병사가 양기를 조장시켜

그 때문에 양기가 음기를 포위하므로 비열이 생깁니다.

땀이 많고 습한 것은 습사가 강하며,

양기가 적어져서 음기가 성대하게 되어 습기와 음기나 섞여서 땀이 나고,

습윤 되어 있는 것입니다.

 

帝曰

夫痺之爲病不痛何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비병으로서 통증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岐伯曰

在於骨則重

在於脈則血凝而不流

在於筋則屈不伸

在於肉則不仁

在於皮則寒

故具此五者則不痛也

凡痺之類逢寒則蟲逢熱則縱

기백이 대답하였다.

비가 골에 있으면 신체가 짓눌리는 것 같이 괴롭습니다.

비가 맥에 있으면 의혈이 되어 흐르기 어렵게 됩니다.

비가 근육에 있으면 관절이 굽어서 펴기가 곤란해집니다.

비가 육에 있으면 마비를 일으킵니다.

비가 피에 있으면 한냉 됩니다.

5자의 형체만의 병이면 아프지 않지만, 기도 않으면 아픈 것입니다.

대저 비병의 류는 한냉 하면 땅기고, 열하면 이완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厥][궐]  (2) 2024.12.18
[痿][위]  (6) 2024.12.13
[風][풍]  (8) 2024.12.05
[刺腰痛][자요통]  (0) 2024.11.30
[腹中][복중]  (4) 2024.11.24

[][]

 

黃帝問曰

風之傷人也

或爲寒熱或爲熱中或爲寒中

或爲?或爲偏枯或爲風也其病各異其名不同

或內至五藏六府不知其解願聞其說

황제께서 물으셨다.

사풍이 인체를 상해하면 한열병, 열중병, 한중병,

여풍병, 편고병, 풍기병 등을 발생하는데, 각각 병증이 다르다.

혹은 또 56부가 손상되어 56부의 풍의 병으로 되는 것도 있다.

그 이치를 알 수 없다. 선생의 설명을 듣고 싶소.

 

岐伯對曰

風氣藏於皮膚之間內不得通

外不得泄風者善行而數變

?理開則然寒?閉則熱而悶

其寒也則衰食飮其熱也則消肌肉

故使人. ?慄而不能食名曰寒熱

風氣與陽明入胃循脈而上至??

其人肥則風氣不得外泄

則爲熱中而目黃

?則外泄而寒則爲寒中而泣出

風氣與太陽俱入行諸脈兪

散於分肉之間?氣相干其道不利

故使肌肉憤昔而有瘍

衛氣有所凝而不行故其肉有不仁也

?有榮氣?其氣不淸

故使其鼻柱壞而色敗皮膚瘍潰風寒客於脈而不去

名曰?或名曰寒熱

以春甲乙傷於風者爲肝風

以夏丙丁傷於風者爲心風

以季夏戊己傷於邪者爲脾風

以秋庚辛中於邪者爲肺風

以冬壬癸中於邪者爲腎風

風中五藏六府之兪亦爲藏府之風

各入其門?所中則爲偏風

風氣循風府而上則爲腦風

風入係頭則爲目風眼寒

飮酒中風則爲漏風

入房汗出中風則爲內風

新沐中風則爲首風.

久風入中則爲腸風泄

外在?則爲泄風

故風者百病之長也

至其變化乃爲他病也

無常方然致有風氣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풍의 기가 피부 사이에 머물면 내외의 기의 교류가 지단되어(끈어져) 통하지 않게 됩니다.

풍은 잘 변동하는 성질의 것이므로 만약 모공이 개방된 채로 오슬오슬 오한이 나고,

또 모공이 폐쇄되면 울열 하여 괴로워합니다.

또한 내부로 들어가서 위를 냉하게 하면 식욕이 없어지고,

혹은 발열하면 기육이 타서 소모되어 자꾸 야윕니다.

이와 같이 발열하거나 한냉 해져서 식욕이 없어지는 병을 한열병 이라 합니다.

사풍의 기가 족양명 위경을 따라서 위로 들어갔을 때

살찐 사람이면 지방이 많으므로 풍기가 피부에서 누설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내부에 열이 생겨서 열중병을 일으켜

이 경맥이 통하고 있는 눈의 내지로 올라가서 눈이 황색으로 됩니다.

야윈 사람이면 풍기가 피부에서 양기를 수반하여 배출되므로

내부에 한이 생겨서 한중병 으로 되어 눈에서는 눈물이 나오게 됩니다.

사풍의 기가 족태양 방광경을 따라서 그 배유에서 각 경맥으로 흘러들어

그 경맥상의 육과 육의 갈라진 틈에 산행하여 위기와 부딪치면

그 곳의 경맥이 불통으로 되어 그 때문에 기육이 막혀서 불거지고 창이 생깁니다.

또한 위기가 한곳에 집중되면 위기가 순환하지 않는 곳도 생기므로

그 부분의 기육의 기능이 마비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심할 때는 영기가 열을 내어 기육이 썩어 여병으로 됩니다.

영기 위기가 모두 열탁 되므로 콧날(비주)이 함몰되고, 피부의 색이 변화하여 귀창이 생깁니다.

이는 풍기가 한기를 수반하여 경맥 속에 머물러 사라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를 여풍 혹은 또 한열병 이라고도 합니다.

봄철의 갑 을일에 사풍에 손상되면 간풍으로 됩니다.

여름의 병 정일에 사풍에 손상되면 심풍으로 됩니다.

장하의 무 기일에 사풍에 손상되면 비풍으로 됩니다.

가을의 경 신일에 사풍에 손상되면 폐풍으로 됩니다.

겨울의 임 계일에 사풍에 손상되면 신풍으로 됩니다.

또한 사풍이 56부의 유혈에 머물러 있을 때도 마찬가지로 장부의 풍병이 생기는데,

좌우 어느 하나의 유혈에만 머물렀을 때는 편풍으로 되어 편고병을 일으킵니다.

사풍의 기가 풍부에서 뇌 속으로 들어가면 뇌풍으로 됩니다.

이 사풍의 기가 머리 속의 목계로 들어가면 목풍으로 되어 눈이 한냉해 집니다.

술을 마셔서 모공이 열린 채 풍에 손상되면 누풍으로 됩니다.

방사에 열중하여 땀이 났을 때 풍에 손상되면 내풍으로 됩니다.

물을 끼얹은 채 풍에 손상되면 수풍으로 됩니다.

오랫동안 풍을 쐬어 속에 풍기가 저류되면 장풍으로 되어 설사를 일으킵니다.

오랫동안 풍을 쐬어 밖의 피부의 살결에 풍기가 저류되면 설풍으로 됩니다.

이와 같이 천변만화합니다.

그것이 풍은 백병의 장인 까닭입니다.

고로 풍사에 침범되어 이로부터 여러 가지 병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일정하지 않은 것은 풍의 움직이기 쉬운 성질에 의한 것입니다.

 

帝曰

五藏風之形?不同者何

願聞其診及其病能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장의 풍은 각각 어떻게 병상이 다른 것이요?

진단법과 병상을 묻고 싶소.

 

岐伯曰

肺風之狀多汗惡風?然白?短氣

晝日則差暮則甚診在眉上其色白

心風之狀多汗惡風焦絶善怒??赤色

病甚則言不可快診在口其色赤

肝風之狀多汗惡風善悲色微蒼

?善怒時憎女子診在目下其色靑

脾風之狀多汗惡風身體怠墮※.

四支不欲動色薄微黃不嗜食診在鼻上其色黃

腎風之狀多汗惡風?然浮腫

脊痛不能正立其色?隱曲不利診在肌上其色黑

胃風之狀頸多汗惡風食飮不下

?塞不通腹善滿失衣則昔脹食寒則泄診形?而腹大

首風之狀頭面多汗惡風當先風一日則病甚

頭痛不可以出內至其風日則病少愈

漏風之狀或多汗常不可單衣食則汗出

甚則身汗喘息惡風衣常濡口乾善?不能勞事

泄風之狀多汗汗出泄衣上口中乾

上漬其風不能勞事身體盡痛則寒

기백이 대답하였다.

폐풍은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안색이 창백해지고, 때때로 기침을 하는 수도 있으며, 숨결이 짧아집니다.

주간은 나은 것 같은데, 야간이 되면 심해집니다.

미상의 색택이 흰 점을 망진합니다.

심풍은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입술의 껍질이 탄 것처럼 벗겨지고, 기가 초조하여 새빨갛게 되어 노합니다.

평상시에도 안색이 붉고, 병상이 심해지면 경쾌하게 담화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입술()의 색이 새빨갛게 되는 점을 망진합니다.

간풍은 땀이 많이 나며,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기분이 울적하여 슬퍼지고, 안색이 푸르게 됩니다.

또한 목이 마르고 잘 노합니다. 성욕이 감퇴되는 수도 있습니다.

눈 아래가 푸르게 되는 점을 망진합니다.

비풍은 땀이 많이 나며,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몸이 나른하며,

수족도 움직이기 싫어합니다. 안색이 약간 황색을 띠게 되고,

식욕이 없어집니다.

코 위에 황색을 띠는 점을 망진합니다.

신풍은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얼굴이 부어오르고, 등골이 아파서 오래 직립 자세를 취할 수 없습니다.

안색은 그을은 것처럼 검게 되고, 허리를 구부리기 곤란해집니다.

피부 전체가 뭔가 모르게 검게 되는 점을 망진합니다.

위풍은 목에만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음식물을 섭취할 기분이 안 나며, 아래도 막혀서 통리가 안되므로 복창이 됩니다.

옷을 얇게 입어서 냉하면 복창이 더욱 심해지고, 찬 것을 마시거나 먹거나 하면 설사를 합니다.

몸 전체가 야위는데, 배만이 큰 점을 망진합니다.

 

수풍은 안면에만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쐬면 으슥하고,

종전에 물을 끼얹고 젖은 채로 바람에 손상된 날짜와 같은 10간의 날짜가 되기 1일 전에

병세가 심해져서 두통이 나며,

실외로 나갈 수 없지만, 풍에 손상된 날짜와 같은 10간의 날짜가 되면 약간 경쾌해집니다.

누풍은 땀이 나는 수가 많고, 혹은 그다지 많지 않을 때도 있지만, 언제나 추워서 옷을 얇게 입을 수 없습니다.

식사를 하면 땀이 많이 나고, 심할 때는 몸에도 땀이 남과 동시에 식식하면서 숨이 거칠게 됩니다.

언제나 바람을 쐬면 으슥해지고, 의복은 땀으로 젖어 있습니다.

입안이 건조하여 물을 마시려 하고, 노동에 견딜 수 없습니다.

설풍은 땀이 많이 나서 의복이 젖을 정도이며, 입안이 건조하고,

피부가 언제나 습해 있습니다. 이 환자는 역시 노동에 견딜 수 없습니다.

노동하면 온몸이 모두 아프고 오한이 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痿][위]  (6) 2024.12.13
[痺][비]  (6) 2024.12.07
[刺腰痛][자요통]  (0) 2024.11.30
[腹中][복중]  (4) 2024.11.24
[擧痛][거통]  (8) 2024.11.16

[刺腰痛][자요통]

 

足太陽脈, 令人腰痛,

引項脊尻背如重狀;

刺其?中太陽正經出血, 春無見血.

少陽令人腰痛,

如以鍼刺其皮中,

循循然不可以仰, 不可以顧;

刺少陽成骨之?端出血,

成骨在膝外廉之骨獨起者,

夏無見血.

足太陰()(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 , , 함이 ()과 같으면,

隙中太陽正經((委中穴))하여 하되,

에는 하지((出血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少陽(經脈)(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으로 皮中함과 같고 循循然히 면하지 못하며 히 써 하지 못하면,

少陽 成骨((脛骨))하여 하되 --- 成骨膝外廉에 있는 이 홀로 한 것임 --- 에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陽明令人腰痛, 不可以顧,

顧如有見者, 善悲;

刺陽明於窈前三?,

上下和之出血, 秋無見血.

足少陰令人腰痛, 痛引脊內廉;

刺小陰於內?上二?, 春無見血,

出血太多, 不可復也.

陽明(經脈)(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히 써 하지 못하고하면 보이는 것이 있는 듯하며 잘 하면,

(있는) 陽明()하기를 (세 번)하는데,

上下((上巨虛下巨虛))로 이를 하여 하되 에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足少陰(經脈)(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脊內廉하면,(있는) ()少陰(經 復溜穴)하기를 ((두번))하되,

에는 ())하지 말 것이니, 出血太多하면 ()하지 못합니다.

 

厥陰之脈, 令人腰痛,

腰中如張弓弩弦;

刺厥陰之脈, 在田踵魚腹之外,

循之累累然, 乃刺之.

其病令人善言, 默默然不慧, 刺之三?.

厥陰()(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腰中弓弩함과 같으면,

厥陰[]하되 천에 있는 魚腹함에 累累然하면 이에 거기를 (出血시키)는데,

{이 사람으로 하여금 ()言 默默然하고 不慧하게 하면 하기를 유합니다.} ((素問識: 恐是衍文))

 

解脈令人腰痛, 痛引肩,

??, 時遺杏; 刺解脈,

在膝筋肉分閒, ? 外廉之橫脈出血, 血變而止.

解脈令人腰痛如引帶, 常如折腰狀, 善恐,

刺解脈在?中結絡如黍米,

刺之血射以黑, 見赤血而已.

解脈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하고 이 황황하며 때로 수(尿)하면,

解脈하는데, 에 있는 筋肉分間의 극外廉橫脈出血시키되,

하면 합니다.

解脈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함과 같고 항상 하는 과 같으며 잘 하면,

解脈하되, 에 있는 黍米과 같은 結絡하면

()하되 (色血)으로써 하는데,

붉은 피가 보이면 (하기를) 그만둡니다.

 

同陰之脈, 令人腰痛,

痛如小錘居其中, ? 然腫,

刺同陰之脈, 在外?上絶骨之端, 爲三?.

同陰(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小錘가 그 함과 같고 불하게 하면,

絶骨에 있는 同陰수를 합니다.

 

陽維之脈, 令人腰痛,

痛上?然腫, 刺陽維之脈,

脈與太陽合田下間, 去地一尺所.

陽維(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이 불하게 하면 陽維합니다.

(陽維) 太陽()과 천의 下間에서 하는데,

()에서 一尺합니다(떨어져 있습니다).

 

衡絡之脈, 令人腰痛,

不可以?, 仰則恐,

得之擧重傷腰, 衡絡絶, 惡血歸之;

刺之在?陽筋之間, ?數寸, 衡居爲二?出血.

衡絡(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히 써 俯仰하지 못하고

하면 부할까 두려우면, (이는) 무거운 것을 들다가 허리를 하여

衡絡하여 惡血이 거기에 한 데서 하는 데,

((委陽))筋之間과 극에서 數寸한 데(殷門穴)하는

衡居((橫居))하되 유를 하여 합니다.

 

會陰之脈, 令人腰痛,

痛上??然汗出, 汗乾令人欲飮,

飮已欲走, 刺直陽之脈上三?,

??下五寸橫居, 視其盛者出血.

會陰(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에 누누하고,

함에 사람으로 하여금 하고자 하며 하기를 마침에() 하고자 하게 하면,

直陽脈上하되 () 하는데,

()과 극下 五寸()하는 橫居하여 그 出血시킵니다.

 

飛陽之脈令人腰痛,

痛上??, 甚則悲以恐; 刺飛陽之脈,

在內?上五寸, 少陰之前, 與陰維之會.

飛陽(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이 불불하고 하면 하며 하게 하면,

飛陽하는데, (그 부위는) 上 二寸(復溜穴)('五寸' 當作'二寸')少陰陰維합니다.

 

昌陽之脈令人腰痛, 痛引膺,

??, 甚則反折, 舌卷不能言;

刺內筋爲二?, 在內?上大筋前, 太陰後上?二寸所.

昌陽(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하고 이 황황하며 하면 反折하고

하여 하지 못하면,

內筋((復溜穴))하기를 유를 하는데,

(內筋) 上 大筋, ()太陰(),

(足內)으로 二寸되는 곳에 있습니다.

 

散脈令人腰痛而熱, 熱甚生煩,

腰下如有橫木居其中, 甚則遺杏,

刺散脈, 在膝前骨肉分間, 絡外廉束脈爲三?.

肉裏之脈, 令人腰痛,

不可以?. ?則筋縮急;

刺肉裏之脈爲二?,

在太陽之外, 少陽絶骨之後.

散脈(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면서 하게 하는데,

하면 하며 腰下(마치) 橫木이 그 에 있는 것 같고 하면 수를 하게 하면,

膝前筋肉分間하며 外廉하는 散脈束脈하기를 유합니다.

肉里(이 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腰痛하게 하는데,

히 써 하지 못하고 하면 縮急하게 하면,

肉里하기를 유를 하는데,

() ()太陽, ()少陽 絶骨합니다.

 

腰痛俠脊而痛至頭??,

????; 刺足太陽?中出血.

腰痛上寒, 刺足太陽陽明;

上熱, 刺足厥陰.

不可以?, 刺足少陽.

中熱而喘, 刺足少陰, ?中出血.

腰痛하고 하며 수수하고

이 황황하여 강부하려 하면 足太陽의 극하여 합니다.

腰痛하며, () 하면 足太陽()陽明하고,

() 하면 足厥陰하고,

히 써 俯仰하지 못하면 足少陽하고,

하며 하면 足少陰하고 극하여 합니다.

 

腰痛上寒不可顧, 刺足陽明;

上熱, 刺足太陰.

中熱而喘, 刺足少陰.

大便難刺足少陰.

少腹滿, ?足厥陰.

如折不可以仰不可擧, 刺足太陽.

引脊內廉, 刺足少陰.

腰痛하면서, ()하며

하지 못하면 足陽明하고,

()하면 足太陰하고,

하며 하면 足少陰하고,

大便하면 足少陰하고,

少腹滿하면 足厥陰하고,

(마치) 하는 듯하여 히 써 俯仰하지 못하고

하지 못하면 足太陽하며,

內廉하면 足少陰합니다.

 

腰痛引少腹控惜, 不可以仰,

刺腰尻交者, ??.

以月生死爲數, 發鍼立已,

左取右, 右取?.

腰痛하며[腰痛] 少腹하고 묘를 하며

히 써 하지 못하면, 腰尻交者(하료혈)과 신하되

生死로써 유를 삼으면 發針함에 바로 낫는데,

하고 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비]  (6) 2024.12.07
[風][풍]  (8) 2024.12.05
[腹中][복중]  (4) 2024.11.24
[擧痛][거통]  (8) 2024.11.16
[咳嗽][해수]  (2) 2024.11.09

[腹中][복중]

 

黃帝問曰

有病心腹滿旦食則不能暮食此爲何病

岐伯對曰

名爲鼓脹

황제께서 물으셨다.

흉복부가 가득 차서 조식을 섭취하면 석식을 먹지 못하는 병이 있는데,

무슨 병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고창입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治之以?矢醴一劑知二劑已

황제께서 물으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계시백 으로 치료합니다.

즉 닭의 백분을 건조한 것을 분말로 하여 2.0g20.0mL의 물과 함께 끓여서 온한 것을 음용합니다.

1회로 효과가 나타나고, 3회로써 낫습니다.

 

帝曰

其時有復發者何也

岐伯曰

此飮食不節故時有病也

雖然其病且已時故當病氣聚於腹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아도 재발하는 수가 있는데, 이는 어째서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것은 병이 나으려고 할 때 음식의 부절제로 인해 생긴 병입니다.

그러므로 또 병사가 배에 모여서 팽만해지는 것입니다.

 

帝曰

有病胸脇支滿者

妨於食病至則先聞腥?

出淸液先唾血四支淸目眩

時時前後血病名爲何何以得之

岐伯曰

病名血枯此得之年少時有所大脫血

若醉入房中氣竭

肝傷故月事衰少不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가슴이나 옆구리가 막힌듯하고 팽만하여 식욕이 없어지는 병이 있다.

발작이 생기면 식사의 냄새를 맡고도 물을 토하며, 침에 피가 섞이고,

수족이 냉하며,눈이 어지럽고, 때때로 대소변에도 피가 섞이는 수가 있다.

이를 무슨 병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혈고 라는 병입니다.

이는 젊었을 때 어떠한 원인으로 대출혈을 한 일이 있거나,

혹은 취하여 방사에 열중해서 정기를 소모하여 간을 상했기 때문입니다.

여자는 월경이 정체되기 쉽습니다.

 

帝曰

治之奈何復以何術

岐伯曰

以四烏??二物幷合之

丸以雀卵大如小豆以五丸爲後飯

飮以鮑魚汁利腸中及傷肝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술을 써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오징어뼈 4, 여여(주초) 1, 두 가지를 분말로 하여 섞어서 작란을 점착제로서 이겨 팥알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식전에 5환을 전복의 즙과 함께 복용시킵니다.

이로써 양중의 불화와 상한 간을 회복시킵니다.

 

 

帝曰

病有少腹盛

上下左右皆有根

此爲何病可治不

岐伯曰

病名曰伏梁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하복부가 솟아올라서 상하 좌우에 덩이(?)가 만져지는 수가 있다.

이는 무슨 병이요? 고칠 수 있는지 어떤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복량이라 합니다.

 

帝曰

伏梁何因而得之

岐伯曰

?大膿血居腸胃之外不可治

治之每切按之致死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복량은 어째서 걸리는지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병은 많은 농혈이 자루에 싸인 것처럼 되어

위장의 외측에 모여 있으므로 고칠 수 없습니다.

만약 고치려고 이 응어리를 계속 비비면 죽게 되는 수가 있습니다.

 

帝曰

何以然

岐伯曰

此下則因陰必下膿血上則迫胃脘?

俠胃脘內癰此久病也難治

居齊上爲逆居齊下爲從

勿動?論在刺法中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째서 그렇게 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농혈의 자루가 점점 아래로 처지면 아래에는 반드시 농혈을 설합니다.

위로 올라가면 위에 붙어서 음양의 기의 유통을 막으므로 음식물이 통과하기 어렵게 됩니다.

또한 위를 압박하여 위 속에 종기가 생기는 수도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서 생긴 것이므로 고치기 어려운 병입니다.

이것이 배꼽 위로 오르면 위험합니다.

배꼽 아래라면 아직 여유가 있습니다.

시술에 있어서는 기를 너무 움직여서 극단적으로 사법을 가하는 결과가 되지 않게 하는 주의가 긴요합니다.

상세한 것은 "자법" 중에 있습니다.

 

帝曰

人有身體?股圍皆腫

環齊而痛是爲何病

岐伯曰

病名伏梁此風根也

其氣溢於大腸而著於?

?之原在齊下故環齊而痛也

不可動之動之爲水溺?之病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전신 및 되퇴부, 족경부가 모두 붓고,

게다가 배꼽 둘레가 아픈 것은 무슨 병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것도 복량이라 합니다.

그러나 앞의 복량과는 달라서 풍이 원인으로 생긴 것입니다.

풍의 사기가 대장에서 넘쳐나서 망막에 붙은 것입니다.

맹의 원은 배꼽 아래 1촌반의 기해이므로 배꼽 주위가 아픕니다.

치법을 가하여 급격하게 기를 동요시켜서는 안 됩니다.

만약 그런 짓을 하면 소변이 삽 하여 나오기 어려운 병을 일으킵니다.

 

帝曰

夫子數言熱中消中不可服高梁

芳草石藥石藥發?芳草發狂

夫熱中消中者皆富貴人也

今禁高梁是不合其心

禁芳草石藥是病不愈願聞其說

岐伯曰

夫芳草之氣美石藥之氣悍

二者其氣急疾堅勁故非緩心和人

不可以服此二者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선생은 자주 열중, 소중의 병에는 고량진미를 먹게 한다든지,

방향성인 약초나 석약을 복용시키거나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소.

과연 이러한 병에는 석약은 간질양의 병을 유발하고,

방향성의 약초는 환자의 정신을 미치게 하는 부작용을 수반할 것이다.

그런데 고량진미를 제한하려고 해도 이들 환자에게는 존귀 부유한 자들이 많으므로 정신적으로 불쾌감을 갖게 하여 도리어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는지 모르겠소.

거기에 약초나 석약을 금하면 병을 고치는 방도가 없지 않을는지 모르겠소.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대저, 방향성인 약초의 기는 성하고, 석약의 기는 격하여 결국 이 2자의 약기라 하는 것은 급격하며 견강합니다.

그러므로 마음이 느긋하고, 성질이 온화한 사람이 아니면 이 2자는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하물며 존귀 부유한, 기가 강한 사람들에게는 부적합할 것입니다.

 

帝曰

不可以服此二者何以然

岐伯曰

夫熱氣慓悍藥氣亦然二者相遇

?傷脾脾者土也而惡木

服此藥者至甲乙日更論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기가 강한 자는 그들을 복용할 수 없음은 어째서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열중도 소중도 함께 비위에 열을 가지고 있어서 음식물을 이상하게 섭취하는데 야위는 병입니다.

신체내의 열기는 심하고, 또 약물의 성질도 급격하고 견강하므로 체내에서 양자가 마주치면 아마도 비위를 더욱 손상할 것입니다.

비위는 토성이므로 목을 싫어합니다.

고로 이 비위에 열이 있는 환자가 이들 약물을 복용하면 상극의 해가 갑 을일에 나타날 것이므로 이 사실에 대하여는 따로 논하기로 하겠습니다.

 

帝曰善

有病膺腫頸痛胸滿腹脹

此爲何病何以得之

岐伯曰

名厥逆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가슴이 팽만하고 목()이 아프며, 가슴과 배가 가득 차 있는 환자가 있는데, 이는 무슨 병이요? 왜 이러한 병에 걸리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것은 궐역 이라 하는 것이오며, 한기에 손상되어 음양의 기가 교류하지 않게 되고, 기가 상충하여 앓는 것입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灸之則?石之則狂

須其氣?乃可治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들을 고치는 데는 어떻게 하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발작 시에 뜸()을 뜨면 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돌칼을 가하면 기가 이상해집니다.

수족이 따뜻해지고, 음양의 기가 교류하기 시작하여 이상을 조화시켜 주면 좋습니다.

 

帝曰

何以然

岐伯曰

陽氣重上有餘於上

灸之則陽氣入陰入則?石之則陽氣虛

虛則狂須其氣幷而治之可使全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째서 그렇게 말할 수 있소?

기백이 대답하였다.

기가 상충하여 양기가 머리에 올라 있으므로 그 결과로서 기는 신체의 상부에만 유여합니다.

이 때 뜸()을 떠서 그 화의 사기가 허해 있는 음으로 들어가므로 소리가 안 나오게 됩니다.

돌칼을 가하면 솟아오른 양기가 급격히 누설되므로 양기가 빠져서 그 결과 기가 혼란됩니다.

고로 머리에 오른 양기가 내려서 수족이 따뜻해진 다음 이상을 조화시켜 주면 안전합니다.

 

帝曰善

何以知懷子之且生也

岐伯曰

身有病而無邪脈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여자가 아기를 잉태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소?

기백이 대답하였다.

신체에는 이상을 초래하지만 맥상이 정상임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帝曰

病熱而有所痛者何也

岐伯曰

病熱者陽脈也以三陽之動也

人迎一盛少陽二盛太陽三盛陽明入陰也

夫陽入於陰故病在頭與腹乃昔脹而頭痛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발열하여 아픔을 호소할 경우는 무엇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발열하고 있는 환자의 맥은 장의 맥을 나타내고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족의 3양의 경맥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1()만큼 성한 것은 족소양담경 입니다.

2()만큼 성한 것은 족태양방광경입니다.

3()만큼 성한 것은 족양명위경 입니다.

그런데 촌구가 인영보다 크게 되면 발열되어도 사기는 양경에서 음경으로 들어갑니다. 고로 머리와 배()에 사를 받아서 배가 팽만하여 두통도 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풍]  (8) 2024.12.05
[刺腰痛][자요통]  (0) 2024.11.30
[擧痛][거통]  (8) 2024.11.16
[咳嗽][해수]  (2) 2024.11.09
[氣厥][기궐]  (4) 2024.11.01

[擧痛][거통]

 

黃帝問曰

余聞善言天者必有驗於人

善言古者必有合於今

善言人者必有厭於已

如此則道不惑而要數極所謂明也

今余問於夫子令言而可知

視而可見?而可得

令驗於已而發蒙解惑可得而聞乎

岐伯再拜稽首對曰

何道之問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다음과 같이 듣고 있소.

천지 음양의 원리를 알고 있는 사람은 이를 인생에 응용하여 잘 장구할 수 있다.

고대 성왕의 학술을 알고 있는 사람은 이를 현재에 적용하여 잘 안태할 수 있다.

인도 인체의 근본을 알고 있는 사람은 이를 자기에게 이용하여 잘 만족할 수 있다.

라고...

이렇게 하면 해야 할 일에 망설이지 않고 요점은 모두 추구할 수 있다.

즉 분명한 것을 더욱 분명하게 한다.

나는 지금 언어 시각 촉각으로써 진단하는 것을 선생에게 묻는데,

이들을 밝혀서 의혹을 풀듯이 모조리 친시 실험할 수 있게 해줄 수 없겠소?

기백은 재배하고 삼가 대답하였다.

좋습니다.

그러면 무엇부터 말씀드리오리까?

 

帝曰

願聞人之五藏卒痛何氣使然

岐伯對曰

經脈流行不止環周不休寒氣入經而稽遲

泣而不行客於脈外則血少

客於脈中則氣不通故卒然而痛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5장이 갑자기 아픈 것은 무슨 까닭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맥은 언제나 유동하여 멈추는 일이 없습니다.

게다가 고리()에 끝이 없는 것처럼 순환하여 쉴 때도 없습니다.

만약 한의 사기가 경맥 속에 들어가면 맥의 흐름이 머물기 쉽게 되고,

느리게 되며, 흐름이 삽체하여 충분히 순환하지 않게 됩니다.

즉 사기가 경맥의 밖에 머물게 되면 혈행이 적어지고,

사기가 혈중에 머물게 되면 기의 순환이 불통(不通)이 되므로 갑자기 아픕니다.

 

帝曰

其痛

或卒然而止者

或痛甚不休者

或痛甚不可按者

或按之而痛止者

或按之無益者

或喘動應手者

或心與背相引而痛者

或脇肋與少腹相引而痛者

或腹痛引陰股者

或痛宿昔而成積者

或卒然痛死不知人有少間復生者

或痛而嘔者

或腹痛而後泄者

或痛而閉不通者凡此諸痛各不同形別之奈何

 

 

岐伯曰

寒氣客於脈外則脈寒脈寒則縮?

?則脈急?則外引小絡

故卒然而痛得炅則痛立止

因重中於寒則痛久矣

寒氣客於經脈之中與炅氣相薄

則脈滿滿則痛而不可按也

寒氣稽留炅氣從上

則脈充大而血氣亂故痛甚不可按也

寒氣客於腸胃之間膜原之下

血不得散小絡急引

故痛按之則血氣散故按之痛止

寒氣客於俠脊之脈則深按之不能及故按之無益也

寒氣客於衝脈衝脈起於關元

隨腹直上寒氣客則脈不通

脈不通則氣因之故喘動應手矣

寒氣客於背兪之脈則脈泣

脈泣則血虛血虛則痛其兪注於心

故相引而痛按之則熱氣至熱氣至則痛止矣

寒氣客於厥陰之脈厥陰之脈者

絡陰器繫於肝寒氣客於脈中

則血泣脈急故脇肋與少腹相引痛矣

厥氣客於陰股寒氣上及少腹

血泣在下相引故腹痛引陰股

寒氣客於小腸膜原之間

絡血之中血泣不得注於大經

血氣稽留不得行故宿昔而成積矣

寒氣客於五藏厥逆上泄

陰氣竭陽氣未入

故卒然痛死不知人

氣復反則生矣

寒氣客於腸胃厥逆上出故痛而嘔也

寒氣客於小腸小腸不得成聚故後泄腹痛矣

熱氣留於小腸腸中痛?熱焦渴

則堅乾不得出故痛而閉不通矣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 아픔이 갑자기 멎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오래 끌어 멎지 않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심하여 손으로 누를 수 없는 수가 있다.

혹은 누르면 아픔이 경쾌 되는 수가 있다.

혹은 눌러도 효과가 없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 때문에 거친 맥동을 손에 느끼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심장부에서 등()으로 땅기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협늑부 에서 하복부로 땅기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배()에서 내고로 땅기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이 쌓여서 리병(裏病) 으로 되고 덩이(?)가 생기는 수가 있다.

혹은 급격히 아파서 가사 상태로 되고, 잠시 후 숨을 돌리는 수가 있다.

혹은 아픔에 수반하여 토하고 괴로워하는 수가 있다.

혹은 배()가 아파서 설사를 하는 수가 있다.

혹은 배가 아프고 변이 전혀 안 나오는 수가 있다.

이들 아픔은 각각 그 병증이 다른데, 이 구별은 어떻게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러면 하나하나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기가 경맥의 밖에 머물러 있으면 맥이 얼게 됩니다.

맥이 얼면 위축됩니다. 위축되면 땅깁니다.

땅기면 외측의 소경맥이 땅깁니다.

그러므로 갑자기 아픕니다.

이러한 경우는 따뜻하게 해 주면 곧 통증이 멎습니다.

이렇게 하여 몇 번 이고 한기에 손상되면 아픔이 오래 끌게 됩니다.

한기가 경맥 속에 머물게 되면 그 반응으로서 집합된 양기와 부딪칩니다.

한기와 양기가 맞부딪치면 맥이 꽉 찹니다.

맥이 가득 차면 아픔이 심하여 누를 수도 없습니다.

한기가 머물게 되면 양기가 제멋대로 상행하여 맥이 팽팽하게 솟아올라서

혈과 기의 순환이 흐트러지므로 아픔이 심하여 누를 수 없습니다.

한기가 위장의 사이나 복막의 아래에 머물게 되면 혈이 산행되지 않게 되어 소락맥이 땅기므로 아픕니다.

누르면 혈과 기가 산행되어 가므로 아픔이 멎습니다.

한기가 배골을 사이에 둔 맥에 머물면 이 맥은 깊으므로 눌러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눌러도 효과가 없습니다.

한기가 충맥에 머물면 충맥이 관원에서 생겨서 배()의 이측을 곧바로 올라가므로 이 맥의 유통이 나빠져서 사기와 함께 되어 맥동이 거칠어 손에 닿게 됩니다.

한기가 배유의 맥에 머물면 혈행이 삽체됩니다.

혈행이 삽체되면 혈이 부족해집니다.

혈이 부족하면 아픔이 생깁니다.

배유는 심장과 연락되어 있으므로 심장부와 등()이 서로 땅겨서 아픕니다.

만약 이를 누르면 양기가 집합됩니다.

양기가 집합되면 아픔이 제거됩니다.

한기가 궐음의 맥에 머물면 이 족궐음 간경의 맥은 생식기관과 연락하여 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경맥중의 혈행이 삽체되어 맥이 땅깁니다.

그러므로 협늑과 하복부가 서로 땅겨서 아픕니다.

한기가 내고에 머물면 냉기가 하복부까지 역상하여 혈행이 저해되어 하복부에 머물게 되므로 하복부가 아프고 내고까지 아픔이 미치어 땅깁니다.

한기가 소장의 장간막 사이나 그 낙맥 속에 머물면 거기 혈행이 저해되어 12경맥으로 주류되기 어렵게 됩니다.

그것이 거듭되어 적병으로 되는 것입니다.

한기가 5장에 머물면 수족이 냉해져서 머리로 상기되고, 5장의 정기가 탈출됩니다.

즉 이 발작이 생기면 음양의 기가 일시적으로 교류하지 않게 되므로 졸도하여 가상 상태로 됩니다.

그 사이에 양기가 순환되면 음양이 교류하기 시작하여 소생합니다.

한기가 위장에 머물면 냉기가 역상하므로 그 발작에 괴로워하고 구역질이 나며, 토하게 됩니다.

한기가 소장으로 들어가면 소장은 열기가 강한 곳이므로 취병 즉 한기의 집합에 의한 병으로는 안 됩니다.

곧 추방하기 위하여 설사를 하고, 복통을 일으킵니다.

추위에 의해 열이 생긴 그 열기가 소장에 머물면 배가 아프고, 속에 열의 덩이(?)가 생겨서 물을 아무리 마셔도 더 마시고 싶은 병증을 일으킵니다.

물이 열 때문에 자꾸 소진되므로 대변이 건조되어 안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프고 배가 부르며, 방귀도 안 나옵니다.

 

帝曰

所謂言而可知者也

視而可見奈何

岐伯曰

五藏六府固盡有部

視其五色

黃赤爲熱

白爲寒

靑黑爲痛

此所謂視而可見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지금 선생이 말씀하신 것은 언어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이다.

시각에 의해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56부는 원래 안면에 있어서 발색 부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5색의 발색 부위에 따라서 어디가 어떻게 앓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데,

다시 피부상에 나타난 색택에 의해서도 다음과 같이 알 수 있습니다.

황과 적은 열,

백은 한,

청과 흑은 통,

이것이 시각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입니다.

 

帝曰

?而可得奈何

岐伯曰

視其主病之脈堅而血

及陷下者皆可?而得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촉각에 의해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 이상이 있는 주된 경맥상을 찰진 하여 딱딱하게 굳고 응어리가 진 곳,

울혈 되어 있는 곳, 함몰되어 힘이 빠진 곳,

이들은 모두 손으로 만져서 알게 됩니다.

 

帝曰善

余知百病生於氣也

怒則氣上喜則氣緩悲則氣消

恐則氣下寒則氣收炅則氣泄

驚則氣亂勞則氣耗思則氣結

九氣不同何病之生

岐伯曰

怒則氣逆甚則嘔血及?故氣上矣

喜則氣和志達榮衛通利故氣緩矣

悲則心系急肺布葉擧而上焦不通

榮衛不散熱氣在中故氣消矣

恐則精却却則上焦閉

閉則氣還還則下焦脹故氣不行矣

寒則?理閉氣不行故氣收矣

炅則?理開榮衛通汗大泄故氣泄

驚則心無所倚神無所歸

慮無所定故氣亂矣

勞則喘息汗出外內皆越故氣耗矣

思則心有所存神有所歸

正氣留而不行故氣結矣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잘 알았소.

잠시 후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모든 병이 기가 근원이 되어 생긴다는 것을 잘 알고 있소.

()하면 기가 상충되고,

기뻐()하면 기가 이완되며,

슬퍼()하면 기가 소진되고,

무서워()하면 기가 아래로 내리며,

추우면() 기가 위축되고,

뜨거우면() 기가 발산되며,

놀라()면 기가 흐트러져 혼란되고,

(?)하면 기가 소모되며,

생각()하면 기가 맺힌다.

이 아홉 가지 상태는 같지 않다. 각각 어떠한 병이 생기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하면 기가 역상되고, 심할 때는 괴로워서 혈()을 토하며,

설사를 하고, 머리에 상기됩니다.

기뻐()하면 기가 온화하게 되며, 뜻을 이룰 수 있으므로 영기(營氣) 위기(衛氣)의 순환도 잘 되며, 기가 완화됩니다.

슬퍼()하면 심장의 계통이 땅기므로 폐엽이 치 밀려서 상초(上焦)의 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렇게 되면 영기(營氣) 위기(衛氣)가 산행되지 않고, 그로 인해 열기(熱氣)가 속에 머물러 기가 소진됩니다.

무서워()하면 정기(精氣)가 안에 틀어박힙니다.

정기가 안에 틀어박히면 상초의 작용이 폐쇄됩니다.

상초가 폐쇄되면 기가 발산되지 않으므로 다시 속으로 되돌아갑니다.

기가 속으로 되돌아가면 하초(下焦)에 괴어서 팽창됩니다.

그러므로 기가 순환되지 않게 됩니다.

추위()를 만나면 모공이 폐쇄됩니다.

그러므로 기가 발산되지 않고, 피부 아래가 위축됩니다.

()을 만나면 모공이 열립니다.

영기(營氣)도 위기(衛氣)도 자꾸 순환하여 땀을 많이 흘립니다.

그러므로 기가 빠집니다.

놀라면() 심장이 동요하여 왕궁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신기(神氣)는 돌아오는 곳이 동요하여 돌아올 수가 없습니다.

떨리면서 생각이 통일되지 않으므로 기가 흐트러집니다.

피로(?)하면 숨이 거칠게 되어 기가 속에서 나가고,

또 땀이 자꾸 흘러 기가 밖으로 나갑니다.

내외에서 빠져 나가므로 기가 소모됩니다.

생각()하는 일이 있으면 심장에 생각하는 곳이 있으므로 신기(神氣)가 여기에 집중됩니다.

정기(精氣)가 여기에 머물러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기가 맺히는 것입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腰痛][자요통]  (0) 2024.11.30
[腹中][복중]  (4) 2024.11.24
[咳嗽][해수]  (2) 2024.11.09
[氣厥][기궐]  (4) 2024.11.01
[刺虐][자학]  (9) 2024.10.25

[咳嗽][해수]

 

黃帝問曰

肺之令人?何也

岐伯對曰

五藏六府皆令人?非獨肺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폐를 앓게 되면 기침이 나는 것은 어째서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기침이 나는 것은 폐의 병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56부의 이상이 모두 기침의 원인이 됩니다.

 

帝曰

願聞其狀

岐伯曰

皮毛者肺之合也

皮毛先受邪氣邪氣以從其合也

其寒飮食入胃從肺脈上至於肺

則肺寒肺寒則外內合邪

因而客之則爲肺?

五藏各以其時受病非其時各傳以與之

人與天地相參故五藏各以治時感於寒

則受病微則爲?甚者爲泄爲痛

乘秋則肺先受邪

乘春則肝先受之

乘夏則心先受之

乘至陰則脾先受之

乘冬則腎先受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그에 대하여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폐해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대저 피부 체모는 폐의 기가 모이는 곳입니다.

고로 피부가 먼저 사기를 받으면 폐로 전해집니다.

또한 차가운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면 위가 냉해집니다.

이 냉이 위에서 폐맥을 따라 올라가면 폐가 냉해집니다.

이렇게 사기가 밖과 안에서 들어가 폐에 머물면 폐해를 일으킵니다.

마찬가지로 5장은 각각 그것이 주관하는 4계절에 있어서 한사를 받아 앓게 되면 병사의 힘이 미할 때는 기침이 나고, 심할 때는 설사를 하거나 통증이 생기곤 합니다.

가을은 먼저 폐가 사를 받습니다.

봄철은 먼저 간이 사를 받습니다.

여름은 먼저 심장이 사를 받습니다.

장하에는 먼저 비가 사를 받습니다.

겨울은 먼저 신이 사를 받습니다.

 

帝曰.

何以異之

岐伯曰

?之狀?而喘息有音甚則唾血

?之狀?則心痛

喉中介介如梗狀. 甚則咽腫喉痺

?之狀. ? 則兩脇下痛

甚則不可以轉轉則兩?下滿

?之狀?則右脇下痛

陰陰引肩背甚則不可以動動則?

?之狀?則腰背相引而痛甚則?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장의 기침의 구별은 어떻게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폐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고, 천명이 나며, 심해지면 침에 피가 섞입니다.

심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심장이 아프고, 목안에 가시가 걸린 것처럼 괴롭고, 심할 때는 목안이 부어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고, 목이 아파서 호흡이 곤란해집니다.

간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양쪽 옆구리의 아래쪽이 아프고, 심할 때는 누워서 몸을 뒤치지도 못할 정도로 아프며, 무리하게 몸을 뒤치면 양 옆구리의 하복부가 팽만해집니다.

비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우협의 하복부가 아파서 짓눌리듯이 괴롭고, 어깨나 등()으로 동통이 울립니다.

심할 때는 움직일 수도 없습니다.

무리하게 움직이면 기침이 더욱 심해집니다.

신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면 허리에서 등()에 걸쳐서 땅기고 아픕니다.

심할 때는 기침과 함께 군침을 흘립니다.

 

帝曰

六府之?奈何安所受病

岐伯曰

五藏之久?乃移於六府

?不已則胃受之

?之狀?而嘔嘔甚則長蟲出

?不已則膽受之膽 之狀?嘔膽汁

肺不?則大腸受之大腸???而遺失

?不已則小腸受之小腸???而失氣氣與?俱失

?不已則膀胱受之膀胱???而遺溺

?不已則三焦受之三焦??. ?而腹滿不欲食飮

此皆聚於胃關於肺使人多涕唾而面浮腫氣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6부의 기침은 어디서 사를 받아 나오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5장의 기침이 오래 낫지 않으면 6부의 기침으로 이행합니다.

비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위가 그 사를 받아서 위해를 일으킵니다.

위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고, 구역질이 나며 토합니다.

토할 때는 대개 회충을 토합니다.

간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담이 그 사를 받아서 담해를 발합니다.

담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여 쓴 담즙을 토합니다.

폐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대장이 그 사를 받아서 대장해를 일으킵니다.

대장해의 병증은 기침을 하여 대변을 쌉니다.

심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소장이 그 사를 받아서 소장해를 일으킵니다.

소장해의 병증은 기침이 날 때 방귀를 뀝니다. 즉 방귀와 기침이 동시에 나옵니다.

신해가 오래 지속될 때는 방광이 그 사를 받아서 방광해를 일으킵니다.

방광해의 병증은 기침이 날 때 소변을 쌉니다.

오래 기침이 계속 되고 그치지 않을 때는 삼초가 그 사를 받아서 3초해를 일으킵니다. 3초해의 병증은 기침이 나서 배가 팽만해지고, 식욕을 잃게 됩니다.

이들 56부의 기침은 모두 56부의 바다인 위에 그 기가 모여서 56부의 뚜껑인 폐가 관여하고 있습니다.

고로 공통의 병증이란 것은 비즙 이나 침이 많이 나오며, 안면이 붓고, 배에서 목으로 기가 상충합니다.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治藏者治其兪

治府者治其合

浮腫者治其經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치법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장기를 치료하는 데는 유혈을 자침합니다.

부를 치료하는 데는 합혈을 자침합니다.

부종을 치료하는 데는 경혈을 자침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中][복중]  (4) 2024.11.24
[擧痛][거통]  (8) 2024.11.16
[氣厥][기궐]  (4) 2024.11.01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氣厥][기궐]

 

黃帝問曰

五藏六府寒熱相移者何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56부 사이를 한사(寒邪)나 열사(熱邪)가 이동하는 상태는 어떠하오?

 

岐伯曰

腎移寒於肝癰腫少氣

脾移寒於肝癰腫筋攣

肝移寒於心狂隔中

心移寒於肺肺消

肺消者飮一?死不治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한사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한사가 신에서 비로 이동하면 기육에 종기가 생겨서 원기가 적어집니다.

한사가 비에서 간으로 이동하면 종기가 생겨서 근육이 땅기곤 합니다.

한사가 간에서 심장으로 이동하면 기가 이상하게 되어 격중이라 하여 양기가 순환하지 않게 되고, 음식물이 통하지 않는 병으로 됩니다.

한사가 심장에서 폐로 이동하면 폐는 한을 가장 싫어하는 장기이므로 증상이 심하여 폐소 라는 병으로 됩니다.

폐소란, 마신 물의 배()양이 소변으로 나오는 병증이며, 이에 걸리면 사증으로서 낫지 않습니다.

 

肺移寒於腎爲涌水

涌水者按腹不堅水氣客於大腸

疾行則鳴濯濯??漿水之病也

脾移熱於肝則爲驚?

肝移熱於心則死

心移熱於肺傳爲?

肺移熱於腎傳爲柔?

腎移熱於脾傳爲??死不可治

혹시 경증으로서 연명되어 한사가 폐에서 출발점인 신으로 다시 이동하면 용수라는 병으로 됩니다.

용수란, ()를 눌러도 단단하지 않지만, 수기가 대장에 괴어 있으므로 빠른 걸음으로 걷게 되면 마치 비대에 물을 넣은 것처럼 출렁출렁 소리가 나는 병입니다.

다음에 열사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열사가 비에서 간으로 이동하면 신경과민으로 되어 놀라기 쉽고, 코피가 납니다.

열사가 간에서 심장으로 이동하면 심장은 열을 가장 싫어하는 장기이므로 사망합니다.

혹시 경증으로서 연명되어 열사가 심장에서 폐로 이동하면 격소라 하여 황막(횡격막) 부근에 열이 있고, 음식욕이 왕성해지는데, 야위는 병으로 됩니다.

열사가 폐에서 신으로 이동하면 유경이라 하여 발열해서 땀이 나고, 오한이 안 나는 경련 병으로 됩니다.

열사가 신에서 출발점인 비로 다시 이동하면 모든 장기가 허해 있으므로 심한 설사를 일으켜 사망합니다.

이를 고칠 수는 없습니다.

 

胞移熱於膀胱?溺血

膀胱移熱於小腸?腸不便上爲口?

小腸移熱於大腸??爲沈

大腸移熱於胃善食而?謂之食亦

胃移熱於膽亦曰食亦

膽移熱於腦則辛?鼻淵鼻淵者濁涕下不止也

傳爲??瞑目故得之氣厥也

또한 열사가 6부간 으로 이동할 때 포에 열사를 발하여 방광으로 이동하면 옹이라 하여 소변이 안 나오게 되고, 나올 때는 요에 혈이 섞입니다.

열사가 방광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면 격장이라 하는 병으로 되어 대변이 안 나오게 되며, 열이 높아져서 입안이 헐게 됩니다.

열사가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동하면 뱃속에 숨은 덩이(?)가 생기거나, 깊은 곳에 치질이 생깁니다.

열사가 대장에서 위로 이동하면 잘 먹는데도 몸은 야윕니다.

이를 식역이라 합니다.

열사가 위에서 담으로 이동하면 역시 식역을 일으킵니다.

열사가 담에서 뇌로 이동하면 콧마루가 아프고, 비연을 일으킵니다.

비연이란, 흐린 비즙(鼻汁)이 흘러 내려 그치지 않는 병입니다.

그리하여 점차로 코피가 나거나, 눈이 어지러워집니다.

이상 말씀드린 것은 56부 사이를 한사나 열사가 이동할 때의 상태인데, 이러한 일이 생기는 것은 경맥의 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擧痛][거통]  (8) 2024.11.16
[咳嗽][해수]  (2) 2024.11.09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刺虐][자학]

 

足太陽之?

令人腰痛頭重寒從背起

先寒後熱????

熱止汗出難已?中出血

족태양 방광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 두중이 있고,

오한이 등()에서 생겨 먼저 오한한 다음에 몹시 발열하고,

발열이 끝날 무렵에 이번에는 땀이 줄줄 흘러서 좀처럼 그치지 않는다.

위중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足少陽之?

令人身體解漁寒不甚

熱不甚惡見人見人心??

熱多汗出甚刺足少陽

족소양 담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몸이 나른하고, 오한은 그다지 심하지 않으며,

발열도 또한 심하지 않다.

그러나 사람을 만나는 것을 싫어하며 만약 사람을 만나면 겁을 내고,

정신이 동요하여 발열하고, 땀을 몹시 낸다.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足陽明之?

令人先寒??淅寒甚

久乃熱熱去汗出

喜見日月光火氣

乃快然刺足陽明?

족양명 위경상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심하고, 장시간 지난 다음에 발열한다.

열이 내리면 땀이 나고, 스스로 일광이나 불을 찾아서 접근하여 상쾌해진다.

족양명 위경의 충양을 자침하라.

足太陰之?

令人不樂好大息

不嗜食多寒熱汗出

病至則善嘔嘔已乃衰?取之

족태음 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불쾌감에 빠져 잘 한숨을 쉬고,

식욕부진이 되어 한열도 땀도 심하여 발작이 생기면 괴로워서 잘 토하며,

구역질이 멎으면 편안해진다.

족태음 비경상을 취혈하라.

 

足少陰之?

令人嘔吐甚多寒熱

熱多寒少欲閉??而處其病難已

족소음 신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구토가 심하고, 또 가끔 오한 발열을 되풀이하는데,

발열이 심하고 오한은 적어 그래서 스스로 실내에 칩거하려고 한다.

이 병은 난치이다.

 

足厥陰之?

令人腰痛少腹滿

小便不利???

數便意恐懼氣不足

腹中??刺足厥陰

족궐음 간경의 학인 경우

환자는 요통이 생기며, 하복부가 팽만하고,

소변이 잘 안 나와서 폐뇨증과 같은데, 폐뇨증은 아니다.

즉 자주 변의가 생긴다.

정신적으로 겁을 내고 불안하며, 원기가 없다.

또한 뱃속이 뭔가 모르게 편안치 못하다.

족궐음 간경상을 자침하라.

 

?

令人心寒寒甚熱

熱間善驚如有所見者刺手太陰陽明

폐의 학인 경우

환자는 심장부에 냉감을 느끼고, 오한이 심하며, 또 발열한다.

발열하고 있는 동안은 놀라기 쉽고,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

수태음 폐경과 수양명 대장경을 자침하라.

 

?

令人煩心甚欲得?

反寒多不甚熱刺手少陰

심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이 두근거리며, 냉수를 마시려고 하는데,

이번에는 오한이 나서 그다지 마실 수 없다.

이는 열이 심하지 않은 증거이다.

수소음 심경을 자침하라.

 

?

令人色蒼蒼然太息

?若死者刺足厥陰見血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안면이 창백해지며, 한숨을 쉬고, 죽은 것처럼 보인다.

족궐음 간경을 자침하여 사혈하라.

 

?

令人寒腹中痛

熱則腸中鳴鳴已汗出刺足太陰

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한이 나고, 뱃속이 아프며,

발열시 에는 복명이 생기고 그것이 멎으면 땀이 난다.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라.

 

?

令人??腰脊痛宛轉大便難

??手足寒

刺足太陽少陰

간장의 학인 경우 환자는 오슬오슬 오한이 나고,

허리나 등()이 아파서 몸을 움직이면 괴롭고,

대변이 잘 안 나오고, 눈을 깜박이며, 수족이 냉하다.

족태양 방광경과 족소음 신경을 자침하라.

 

?

令人且病也善飢而不能食

食而支滿腹大刺足陽明太陰??出血

위의 학인 경우

환자는 발작이 생길 때 흔히 배가 고픈데, 먹고자 해도 먹을 수 없다.

만약 무리해서 먹으면 배가 아래서 치밀듯이 팽만해진다.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자침하고, 가로 뻗은 낙맥으로부터 사혈하라.

 

?發身方熱?上動?開其空出其血立寒.

학병이 발작을 일으켜서 몸에 열이 나려고 할 때는

충양의 맥동부를 찔러서 침공을 넓혀 사혈하면 즉시 해열된다.

 

?方欲寒刺手陽明太陰足陽明太陰

학병으로 오한이 시작하려고 할 때는

수양명 대장경과 수태음 폐경과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을 찔러라.

 

??滿大急刺背兪

用中鍼傍伍?兪各一

適肥?出其血也

??小實急灸脛少陰

刺指井??滿大急刺背兪

用五?兪背兪各一適行至於血也

??緩大?便宜用藥不宜用鍼

凡治?先發如食頃

乃可以治過之則失時也

??不見刺十指間出血

血去必已先視身之赤如小豆者盡取之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중정도의 침으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을 알맞게 1개소씩

취혈 하여 환자의 비수의 상태에 따라서 사혈하라.

학병의 발작이 일어나서 맥이 작고 충실하며, 긴장될 때는

경부의 족소음 신경상에 뜸을뜰 것, 그리고 정혈을 자침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충실하고 크며, 긴장되었을 때는

배유를 자침하라.

또한 5장의 배유의 제3 행선상과 배유와를 각각 하나씩 취혈 하여

알맞게 찔러서 혈을 순환케 하라.

학병의 발작이 생겨서 맥이 완만하고 크며, 게다가 공허할 때는 약물 요법을 실시하라. 자법을 실시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학병을 치료하는데는 발작 전 20분 정도를 겨누어 실시하라.

이 때를 지나면 치법의 시기를 잃는다.

여러 가지 학병의 경우 맥상을 잘 모를 때는 수족의 10지지 사이를 찔러서 사혈하라. 피가 나오면 반드시 낫는다.

혹은 신체상의 붉은 팥알 크기의 울혈을 찾아서 모두 사혈하라.

 

十二?其發各不同時

察其病形以知其何?之病也

先其發時如食頃而刺之

一刺則衰二刺則知三刺則已

不已刺舌下兩?出血

不已?中盛經出血

又刺項已下?脊者必已

舌下兩?廉泉也

상술한 12종의 학병은 발작의 시기가 동일하지 않다.

그 병증을 봐서 어느 경맥 혹은 어느 장기의 학인지를 알아라.

또한 발작 전 20분 가량을 겨누어 찌르면 1자로써 병세가 쇠퇴하고,

2자로써 주효하며, 3자로써 치유된다.

만약 낫지 않을 때는 설하의 양맥에서 사혈하라.

그래도 낫지 않으면 위중의 솟아오른 맥에서 사혈하라.

또한 항에서 요에 이르는 태양경의 2 3행선을 자침하면 반드시 낫는다.

설하의 양맥이란 염천을 말한다.

 

?必先問其病之所先發者先刺之

先頭痛及重者先刺頭上及兩額兩眉間出血

先項背痛者先刺之

先腰脊痛者先刺?中出血

先手臂痛者先刺手少陰陽明十指間

先足脛?痛者先刺足陽明十指間出血

또한 학병을 자침할 때는 발작시 먼저 병증을 일으키는 부위를 문진하여

그 부위부터 찔러라.

즉 먼저 두통 두중하는 자는 두상과 양협과 미간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항배가 아픈 자는 우선 거기를 찔러라.

먼저 요배가 아픈 자는 우선 위중을 찔러서 사혈하라.

먼저 수완이 아픈 자는 우선 수소음 심경과 수양명 대장경과 10지간을 자침하라.

먼저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픈 자는 우선 족양시 위경과 10지간을 자침해서 사혈하라.

 

??發則汗出惡風

刺三陽經背兪之血者

??痛甚按之不可名曰?髓病

?鍼鍼絶骨出血立已

身體小痛刺至陰諸陰之井無出血間日一刺

??間日而作刺足太陽

?而間日作刺足少陽

??汗不出爲五十九刺

풍학은 발작 시에 땀이 나서 오풍 한다.

수족의 3양경맥상과 배유의 울혈을 자침하라.

족경이 무직하고 나른하면서 아픔이 심하여 눌러도 경쾌하지 않는 것은 경의 수가 손상된 것이라 한다.

창침 으로 절골(현종)을 찔러서 사혈하면 곧 낫는다.

신체가 조금 아플 때는 지음을 자침하라.

모든 음경맥의 정혈을 찌를 때는 출혈시켜서는 안된다.

또한 날짜의 간격을 두고 찔러야 하며, 매일 찔러서는 안된다.

학으로 물을 마시려 하지 않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태양 방광경상을 자침하라.

학으로서 갈증이 생겨 물을 마시려 하고, 하루 걸러 발작이 생기는 자는 족소양 담경상을 자침하라.

온학으로서 아무리 해도 발한하지 않을 때는 59자를 행하라.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咳嗽][해수]  (2) 2024.11.09
[氣厥][기궐]  (4) 2024.11.01
[虐][학]  (4) 2024.10.20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

 

黃帝問曰

??皆生於風其蓄作有時者何也

岐伯對曰?之始發也

先起於毫毛伸欠乃作

寒慄鼓?腰脊?寒去則?外皆熱

頭痛如破?欲冷飮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대저 해학인 학질병은 모두 그 근원이 풍에 손상되었기 때문일 것인데,

그 오한 발열이 앓다가 낫다가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질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먼저 털이 곤두서고 하품을 하며,

이윽고 와들와들 떨기 시작하며, 턱이 떨리게 됩니다.

허리나 등이 모두 아프고, 그 오한 전률이 끝나면 온몸이 화끈 발열하여

머리가 쪼개지는 것 같이 아프고, 목이 말라서 찬 음료를 요구하게 됩니다.

 

帝曰

何氣使然願聞其道

岐伯曰

陰陽上下交爭?實更作陰陽相移也

?於陰則陰實而陽?陽明?則寒慄鼓?

巨陽?則腰背頭項痛

三陽??則陰氣勝陰氣勝則骨寒而痛

寒生於?故中外皆寒

陽盛則外熱??

?皆熱則喘而?故欲冷飮也

此皆得之夏傷於暑熱氣盛

藏於皮膚之?腸胃之外此榮氣之所舍也

此令人汗空疏?理開因得秋氣汗出遇風

及得之以浴水氣舍於皮膚之???

?氣者晝日行於陽夜行於陰此氣得陽而外出

得陰而??外相薄是以日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와 같은 병증을 일으키게 하는지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음양 상하 내외 모두 부조화하게 되어 허와 실이 서로 되풀이하여 성쇠 되고, 음양의 기가 연이어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양기가 음경맥에 모이면 음경맥이 실하고, 양경맥이 허해집니다.

그 족양명 위경이 허해지면 턱이 와들와들하여 전율하게 됩니다.

그 족태양 방광경이 허해지면 허리나 등()이나 머리나 목덜미()가 아픕니다.

3양경맥이 모두 허하면 음기가 완전히 이기게 됩니다.

음기가 이기면 골이 냉하여 아픕니다.

즉 한중에서 생기므로 내외가 모두 냉해집니다.

양기가 왕성해지면 밖()이 열해집니다.

음기가 허해지면 속()이 열해집니다.

안팎이 열해지면 호흡이 거칠게 되어 목이 마릅니다.

그러므로 찬 음료를 요구합니다.

이들은 모두 여름철 서기에 상해되어 열기가 넘쳐서

피부의 안쪽과 영기가 있어야 할 위장의 바깥쪽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고로 한혈이 벌어지고, 피부의 긴장이 나빠지므로

가을이 되어 땀이 났을 때 우연히 냉풍을 쐬거나,

혹은 가을이 되어 땀이 나서 물을 몸에 끼얹으면 풍이나 수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머물러 위기와 동거합니다.

대체로 위기란 것은 주간에는 양분을 순환하고, 야간에는 음분을 순환하는 것입니다.

사기도 낮과 밤의 양기나 음기에 끌려서 드나들어 위기와 부딪칩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1회 발작을 일으킵니다.

 

帝曰

其間日而作者何也

岐伯曰

其氣之舍深?薄於陰陽氣獨發陰邪?

陰與陽爭不得出是以間日而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매일이 아니고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학질이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머물러 있는 부위가 깊이 음분에까지 들어가면 위기만이 밖을 순환하여

사기는 내부에 붙어 있으므로 위기와 사기가 매일 부딪치지 않으므로 하루걸러

부딪쳐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善

其作日晏與其日早者何氣使然

岐伯曰

邪氣客於風府?而下?氣一日一夜

大會於風府其明日日下一節

故其作也晏此先客於脊背也

?至於風府?理開?理開則邪氣入

邪氣入則病作以此日作稍益晏也

其出於風府日下一節二十五日下至?

二十六日入於脊?注於伏??

其氣上行九日出於缺盆之中

其氣日高故作日益早也

其間日發者由邪氣?薄於五藏?連募原也

其道遠其氣深其行遲

不能與??不得皆出故間日乃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그 발작이 매일 조금씩 늦는 경우와 빠른 경우가 있는데,

어떠한 기의 작용이 그렇게 만드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는 풍부에 머물러서 배골을 따라 내려가서 위기와 24시간에 1회 풍부에서 대회 합니다.

그 익일부터는 1절씩 배골을 내려가므로 그 발작이 늦어집니다.

즉 이는 먼저 사기는 배골에 머물러 위기가 순환하여 풍부에 이르면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모공이 벌어지므로 사기가 침입하여 발작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하루씩 발작시간에 차이가 생깁니다.

사기가 풍부에서 나와 하루에 1절씩 내리면 25일 만에 미저골에 이릅니다.

26일째는 배골의 이측에 들어가서 거기에 흐르고 있는 복려의 맥으로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매일 매일 상행하여 9일째에는 쇄골상와의 결분 속으로 나옵니다.

이와 같이 사기의 머무는 곳이 나날이 상행하므로 이번에는 발작이 조금씩 빨라집니다.

또한 하루걸러 발작을 일으키는 것은 사기가 안으로 깊이 침입하여 5장에까지 이르러 복막에 붙으면 머무는 곳이 너무 깊으므로 늦어져서 위기와 부딪칠 수 없습니다.

고로 이 날에는 발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帝曰

夫子言??至於風府

?理乃發發則邪氣入入則病作

?氣日下一節其氣之發也

不當風府其日作者奈何

岐伯曰

此邪氣客於頭項?而下者也

?實不同邪中異所則不得當其風府也

故邪中於頭項者氣至頭項而病

中於背者氣至背而病

中於腰脊者氣至腰脊而病

中於手足者氣至手足而病

?氣之所在與邪氣相合則病作

故風無常府?氣之所發

必開其?邪氣之所合則其府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선생은 지금 위기가 풍부혈에 이르렀을 때

피부의 살결이 이완되어 사기가 들어가서 발작이 생긴다고 하셨다.

또한 위기와 사기의 대회가 하루에 1절씩 내려가서 발작이 늦어진다고도 했는데, 그래서는 풍부혈에서 위기와 사기가 부딪치지 않는 것이 아니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사기가 처음에 두항의 풍부혈에 머무는데 배골(背骨)을 따라 내려갑니다.

그러므로 사기가 머무는 곳이 매일 달라져서 언제나 풍부혈에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고로 사기가 두항에 있을 때는 위기가 두항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기며, 배골에 있을 때는 위기가 배골에 이르렀을 때에 발작이 생깁니다.

(사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있을 때는 위기가 허리 혹은 수족에 이르렀을 때풍의 부 즉 풍부라고 하는 것이며, 독맥상의 풍부혈의 의미는 아닙니다.)

 

帝曰善

夫風之與?

相似同類而風獨常在?得有時而休者何也

岐伯曰

風氣留其處故常在

?氣隨經絡沈以??氣應乃作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풍과 학은 유사한데, 풍에 손상되었을 때만은 언제나 병증이 계속되어 있고, 학의 경우는 병증에 발작이 있어서 병의 상태가 연속되지 않는데,

그것은 대체 어찌된 까닭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풍기는 그 손상된 부위에 머물러서 그다지 이동하지 않습니다.

학기는 경맥이나 낙맥을 따라서 이동하여 내부로 들어가므로 위기와 부딪쳤을 때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

?先寒而後熱者何也

岐伯曰

夏傷於大暑其汗大出?理開發

因遇夏氣?滄之水寒藏於?理皮膚之中

秋傷於風則病成矣

夫寒者陰氣也風者陽氣也

先傷於寒而後傷於風故先寒而後熱也

病以時作名曰寒?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으로서 먼저 오한한 다음에 발열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여름철 대서에 상해되어 땀이 많이 나와서 피부가 이완되었을 때에 냉수를 끼얹으면 냉의 사기가 피부의 안쪽에 잠복합니다.

이것이 가을이 되어 풍에 손상되면 발병합니다.

대저 한은 음기이며, 풍은 양기입니다.

먼저 한사에 손상된 곳에 후에 풍사의 손상을 당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발열하게 됩니다.

이 때 발작하는 병을 한학이라 합니다.

 

帝曰

先熱而後寒者何也

岐伯曰

此先傷於風而後傷於寒故先熱而後寒也

亦以時作名曰??

其但熱而不寒者陰氣先絶陽氣獨發

則少氣煩寃手足熱而欲嘔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나는 것은 무엇이라 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경우는 먼저 풍사에 손상된 다음에 한사에 손상된 것이며,

먼저 발열한 다음에 오한이 납니다.

이것도 발작이 생기는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온학 이라 합니다.

이 병으로서 단지 발열할 뿐이고, 오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음기가 먼저 절감 상태가 되고, 양기만이 홀로 발작을 일으킵니다.

즉 발작이 생기면 호흡은 힘이 없이 얕고 가슴이 답답하며,

수족이 뜨거워지고, 구역질이 납니다.

이는 열만의 학질로서 달학 이라 합니다.

 

帝曰

夫經言有餘者寫之不足者補之

今熱爲有餘寒爲不足

?者之寒湯火不能?

及其熱?水不能寒也此皆有餘不足之類

當此之時良工不能止

必須其自衰乃刺之其故何也願聞其?

岐伯曰

經言無刺??之熱無刺渾渾之?

無刺??之汗故爲其病逆未可治也

?之始發也陽氣?於陰當是之時

?而陰盛外無氣故先寒慄也

陰氣逆極則復出之陽陽與陰復?於外

則陰?而陽實故先熱而?

?氣者?於陽則陽勝?於陰則陰勝

陰勝則寒陽勝則熱

?風寒之氣不常也病極則復至病之發也

如火之熱如風雨不可當也

故經言曰方其盛時?因其衰也

事必大昌此之謂也

?之未發也陰未?陽未?

因而調之眞氣得安邪氣乃亡

故工不能治其已發爲其氣逆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유여는 사하고, 부족은 보하라고 되어 있다.

가령 열을 유여로 보고, 한을 부족이라 한다면 학병의 한기는 탕이나 불로써도 이를 따뜻하게 할 수 없고, 열기는 얼음이나 물로써도 이를 차게 할 수 없는데, 이들은 모두 유여 부족의 부류이며, 명의일지라도 이것만은 멈출 수가 없다.

반드시 병사가 쇠퇴한 다음에 자법을 가하는 것 같은데 어째서인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기 바라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치열한 발열시 에는 자침하지 말라.

흐름이 극단으로 심한 맥상일 때는 자침하지 말라.

급류처럼 땀이 흐를 때는 자침하지 말라 라고 경전에 씌어 있습니다.

고로 병사가 한창 역습해 오는 동안은 치법을 실시해서는 안됩니다.

대저 학병의 발작이 생길 때는 양기가 음에 모입니다.

이 때는 양이 허하고, 음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에는 양기가 없어서 반드시 오한 전율하는 것입니다.

음기가 성대의 극한에 이르면 바뀌어 음기가 양으로 집중합니다.

그러면 음이 허하고, 양기가 왕성해지므로 체표는 뜨겁고, 내부도 음기가 허해지므로 발열하여 목이 마르고 수를 마시려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학의 사기가 양 즉 체표에 모이면 양기가 이기고, 음 즉 체내에 모이면 음기가 이깁니다.

음기가 이겼을 때는 오한이 나고, 양기가 이기면 발열합니다.

학은 풍한의 사기인데, 병증이 일정하게 계속되지 않고 발행을 되풀이하는 것이며,

오한이 극한에 이르면 또 발열하게 됩니다.

병의 발작이 생겨서 발열하면 불과 같이 뜨거워서 이 때만은 풍우의 침으로써도 식힐 수 없을 정도입니다.

고로 경전에 병세가 치열할 때 자법을 가하면 실패한다.

병세가 쇠퇴함을 틈타서 자법을 가하면 주효한다 라고 되어 있음은 이 사실을 말합니다.

또한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는 동안 즉 음기가 아직 양에 집중하지 않을 때 혹은 양기가 음에 아직 집중하지 않을 때 자법을 가하여 조화를 꾀하면 진기가 안태하며, 사기는 달아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의사가 학의 발작시를 고칠 수 없는 것은 병사의 역습이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帝曰善

攻之奈何早晏何如

岐伯曰

?之且發也陰陽之且移也必從四末始也

陽已傷陰從之故先其時堅束其處

令邪氣不得入陰氣不得出

審候見之在孫絡盛堅而血者

皆取之此眞往而未得?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이 사기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지? 그 치료 시기는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병의 발작이 생기려고 할 때는 음양의 기가 교류하는 수족의 말단에서 시작합니다.

양기가 손상되어 음기가 횡포를 부리기에 앞서서 거기를 단단히 결박하면 사기가 침입할 수 없으며, 음기도 나와서 바께서 횡포를 부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시기를 포착하여 자세히 찰진하고, 손락이 솟아올라서 단단해진 울혈이 있는 곳에서 모두 사혈합니다.

즉 진기인 위기가 사기와 부딪치기 전에 이 법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帝曰

?不發其應何如

岐伯曰

?氣者必更盛更?當氣之所在也

病在陽則熱而?

在陰則寒而?極則陰陽??氣相離故病得休

?氣集則復病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학병이 발작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는 어떠한 상태에 있소?

기백이 대답하였다.

학의 사기가 횡포를 부릴 때는 교대로 양이 실하면 음이 허해지고, 음이 실해지면

양이 허해지게 됩니다.

사기가 양에 있으면 발열하여 맥이 거칠어집니다.

사기가 음에 있으면 오한하여 맥이 조용해집니다.

발작이 극한에 이르면 음도 양도 함께 쇠퇴하는데, 이는 위기가 학사와의 싸움을 중지했을 때이며, 병상은 휴전 상태로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위기가 모여 학사와 전투를 개시하면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帝曰時有間二日

或至數日發?或不?其故何也

岐伯曰

其間日者邪氣與?客於六府

而有時相失不能相得故休數日乃作也

?陰陽更勝也或甚或不甚故或?或不?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 학병의 상태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어서 2일 걸러 혹은 수일 걸러서 발작이 생기거나, 또는 목이 마르기도 하고, 갈증이 안 생기기도 하는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날짜를 걸러 발작이 생기는 것은 사기가 체내 깊이 6부에 머물면 위기와 부딪치는

시기를 잃어서 수일 쉬고, 다시 부딪쳤을 때 발작이 생기는 것입니다.

또한 학병은 교대로 음이 왕성해지다가 양이 왕성해지다가 하므로 어떤 병증이 심해졌다가 멈추었다가 하여 목이 몹시 탈 때 물을 마시고자 할 때가 있는가 하면 물을 요구하지 않을 때도 있게 됩니다.

 

帝曰

論言夏傷於暑

秋必病??不必應者何也

岐伯曰

此應四時者也其病異形者反四時也

其以秋病者寒甚

以冬病者寒不甚

以春病者惡風

以夏病者多汗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전에 여름철 더위에 손상되어 곧 발병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가을에 학병의 소인으로 된다 라고 되어 있는데, 지금 학병을 보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는 4계절에 의한 발병의 전형적인 경우이며, 이와 다른 것은 4계절에

부적기 하였기 때문에 앓는 것입니다.

가을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고,

겨울에 앓게 되면 한이 심하지 않으며,

봄철에 앓게 되면 풍을 싫어하고,

여름에 앓게 되면 땀이 많이 납니다.

 

帝曰

夫病??與寒?而皆安舍舍於何藏

岐伯曰

??得之冬中於風寒氣藏於骨髓之中

至春則陽氣大發邪氣不能自出

因遇大暑腦髓?肌肉消?理發泄

或有所用力邪氣與汗皆出此病藏於腎

其氣先從?出之於外也

如是者?而陽盛陽盛則熱矣

衰則氣復反入入則陽??則寒矣

故先熱而後寒名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학과 달학은 각각 사기가 어디에 머물며, 또 어느 장기에 머무는 것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온학은 겨울에 풍한의 기에 손상되어 사기가 골수 속에 숨어 있어서 봄철이 되어

양기가 크게 발동하여도 골수 속에서 나올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름이 되어 대서를 만나면 골수나 기육이 소모되어 피부가 이완되고, 혹은 노동을 하여 땀을 내면 사기가 겨우 나갈 수 있습니다.

대저 이 사기는 깊이 골수나 신에 숨어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이 되어서 겨우 안에서 밖으로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치로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해지는 것은 당연하며, 양이 성하면 발열합니다. 이것이 극한에 이르면 음으로 들어가 버리므로 이번에는 양이 허해집니다.

양이 허하면 오한이 시작됩니다.

고로 온학은 먼저 발열하고, 후에 오한이 오는 것입니다.

 

帝曰

??何如

岐伯曰

??肺素有熱氣盛於身厥逆上衝

中氣實而不外泄因有所用力?理開

風寒舍於皮膚之?分肉之間而發

發則陽氣盛陽氣盛而不衰則病矣

其氣不及於陰故但熱而不寒?藏於心

而外舍於分肉之間令人消??

故命曰??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달학은 어떠하오?

기백이 대답하였다.

달학의 경우는 이 환자는 폐에 원래부터 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열기가 온몸에 왕성하며, 수족에서 기가 상충하므로 체내에 열기가 충실하며, 피부에서 배출이 안됩니다.

이러할 때 노동하여 피부가 이완되고, 거기에서 풍한의 사기가 침입하여 피부의 내측이나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러 횡포를 부리면 더욱 열기가 성해져서 쇠퇴하지 않으므로 앓게 됩니다.

이 사기는 음에까지 들어가지 않으므로 단지 열기만이 강하고, 오한이 안 납니다.

비록 사기가 속으로 들어가더라도 양중의 양인 심장에 숨어서 양기가 심하고, 밖에서는 기육의 갈라진 틈에 머물므로 기육이 요진 되어 점점 야위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달학 즉 열의 학질이라 합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厥][기궐]  (4) 2024.11.01
[刺虐][자학]  (9) 2024.10.25
[逆調][역조]  (4) 2024.10.15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8) 2024.10.07

[逆調][역조]

 

黃帝問曰

人身非常?非常熱也

爲之熱而煩滿者何也

岐伯對曰

陰氣少而陽氣勝故熱而煩滿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온병이나 열병을 앓고, 이상하게 발열하며,

가슴이 꽉 차서 괴로운 것은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그것은 음기가 적어서 양기가 이기기 때문에 발열하여

가슴이 꽉 차서 괴로워지는 것입니다.

 

帝曰

人身非衣寒也中非有寒氣也寒從中生者何

岐伯曰

是人多痺氣也

陽氣少陰氣多故身寒如從水中出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의복을 특히 얇게 입었다고도 생각되지 않고,

또 한기에 손상되었다고도 생각되지 않는데,

한이 체내에서 생기는 것처럼 생각되는 수가 있는데, 이는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양기의 순환이 나쁘고, 비기가 많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즉 양기가 적고 음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마치 물 속에서 나왔을 때와 같이 신체가 냉해집니다.

 

帝曰

人有四支熱逢風寒如炙如火者何也

岐伯曰

是人者陰氣?陽氣盛四支者陽也

兩陽相得而陰氣?少水不能滅盛火

而陽獨治獨治者不能生長也

獨勝而止耳逢風而如炙如火者是人當肉?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수족이 열을 가지고 풍기나 한기를 만나면 도리어

불을 쬔 듯이 화끈거려 불과 같이 뜨겁게 되는 사람이 있는데 어째서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체내의 음기가 허하고 양기가 왕성하기 때문입니다.

수족은 원래 양기가 왕성한 곳입니다.

이 두 가지 양기가 연합되므로 음기는 더욱 허해져서 적어집니다.

즉 수가 적으므로 활활 타는 불을 소화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양기가 독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기가 독재하면 음기가 교류하지 않으므로 만물은 생겨나는 것도,

성장하여 번영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 사람의 신체 속도 이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풍에 쐬어 수족이 불을 쬔 듯이 뜨거워지는 사람은

이는 육락의 병이며, 기육이 열때문에 다 타버려서 야위고 있습니다.

 

帝曰

人有身寒湯火不能熱

厚衣不能?然不凍慄是爲何病

岐伯曰

是人者素腎氣勝以水爲事

太陽氣衰腎脂枯不長

一水不能勝兩火腎者水也

而生於骨腎不生則髓不能滿故寒甚至骨也

所以不能凍慄者

肝一陽也心二陽也腎孤藏也

一水不能勝二火故不能凍慄

病名曰骨痺是人當攣節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신체가 한냉하여 탕이나 불로써 수족을 덥혀도 따뜻해지지 않고,

의복을 두껍게 입어도 따습게 않되는데, 그렇다고 추워 떨지도 않는다.

이러한 병은 무엇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원래 신기가 강하고, 신의 성질인 수가 독재하므로

양기가 소모되어 족태양 방광경의 기가 쇠퇴하여 적고,

이때문에 족소음 신경의 기와 교류하기 어렵게 됩니다.

음기만으로는 역시 모든 것이 성장하여 번영할 수가 없습니다.

이 경우도 신의 기름()이 증가되지 않고 소모되어 마르고,

골수의 근원이 적어집니다.

신은 수성입니다. 그리고 골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골의 지배가 나빠지면 골수가 뼛속에 차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추워서 골까지 냉해집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추워서 떨게 되는 일이 없다는 것은

간은 족소양 담경과 배우하고, 심장은 수태양 소장경과 배우하고 있는데,

신장만은 족태양 방광경이 쇠퇴하여 있으므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강하다고 해도 신의 1음으로는 간과 심장의 2양에 이기지 못하므로

추워서 떨게 되는 일만은 없습니다. 이 병은 골비라고 부릅니다.

즉 골에 양기가 순환하지 않게 되어 기능 불량을 일으킨 병입니다.

이 병증은 관절이 땅기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帝曰

人之肉苛者雖近衣絮?苛也是謂何疾

岐伯曰榮氣??氣實也

榮氣?則不仁??則不用

???則不仁且不用肉如故也

人身與志不相有曰死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기육이 무겁고 나른하여 괴로운 환자가 있다.

천이나 솜에 닿는 것만으로도 무직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는 무슨 병이요?

기백이 대답하였다.

이 환자는 영기가 허쇠하고, 위기가 충실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영기가 허하면 지각마비를 일으킵니다.

위기가 허하면 운동마비를 일으킵니다.

영기 위기가 함께 허하면 지각마비, 운동마비를 동시에 나타냅니다.

이와 같이 되어 또한 육체가 발병 전에 비하여 야위지 않는 것은

육체와 정신이 이산되어 조화되지 않기 때문이며, 죽게 된다고 합니다.

 

帝曰

人有逆氣不得臥而息有音者

有不得臥而息無音者

有起居如故而息有音者

有得臥行而喘者

有不得臥不能行而喘者

有不得臥臥而喘者皆何藏使然願聞其故

岐伯曰

不得臥而息有音者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下行今逆而上行故息有音也

陽明者胃?胃者六府之海其氣亦下行

陽明逆不得從其道故不得臥也

下經曰胃不和則臥不安

此之謂也

夫起居如故而息有音者此肺之絡?逆也

?不得隨經上下故留經而不行

?之病人也微故起居如故而息有音也

夫不得臥臥則喘者是水氣之客也

夫水者循津液而流也

腎者水藏主津液主臥與喘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경맥 혹은 낙맥의 기가 역행하기 때문에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는 못하지만,

호흡 시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 자가 있고,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가 나는 자가 있으며,

누울 수는 있으나 걸으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고,

눕지도 못하고 걷지도 못하며,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으며,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눕게 되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가 있다.

이들은 모두 어느 장부가 어떻게 되어 이러한 병을 일으키는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족양명 위경의 맥기가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족의 3양경맥은 모두 하행하고 있는데,

만약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호흡시에 소리를 내게 됩니다.

족양명은 위의 경맥입니다.

위는 6부의 바다라고 하여 이 기도 하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거꾸로 상행하면 정규의 순환을 못합니다. 그러므로 눕지 못합니다.

하경에 위가 화하지 않으면 와하여도 기가 편안치 못하다 라고 한 것은 이를 말합니다.

기와는 발병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호흡 시에 소리를 내는 자는

이는 폐의 낙맥이 역행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낙맥이 경맥의 흐름과 동조하여 상하로 흐를 수 없을 때는

혈기가 낙맥에 머물게 됩니다.

낙맥의 이상으로 병증을 일으키는 것은 그 나타남이 경미 하므로

기거는 앓기 전과 같이 편안하지만, 그러나 호흡음을 내게 됩니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무리하게 누우면 호흡이 거칠게 되는 자는

수기의 사에 의한 것입니다.

수는 진액 즉 체액에 따라서 흐르고 있습니다.

신은 수를 주관하는 장기입니다. 그러므로 진액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고로 눕게 되면 식식하면서 호흡이 거칠게 되는 것은

신에 근원이 있는 것입니다.

 

帝曰善.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虐][자학]  (9) 2024.10.25
[虐][학]  (4) 2024.10.20
[評熱病][평열병]  (7) 2024.10.09
[刺虐][자학]  (8) 2024.10.07
[虐][학]  (7) 2024.10.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