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瀉白散][사백산]

治肺實

桑白皮 地骨皮 各8g,  甘草4g.

剉作一貼 水煎服.

或加 知母 貝母 桔梗 梔子 麥門冬 生地黃 亦可(入門).

一名, [瀉肺散].

폐가 실()한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지모(知母), 패모(貝母), 도라지(길경), 산치자,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을 넣어서 쓰는 것도 좋다[입문].

일명 사폐산(瀉肺散)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蔘瀉肺湯][인삼사폐탕]  (0) 2023.02.24
[瀉肺散][사폐산]  (0) 2023.02.23
[獨參湯][독삼탕]  (0) 2023.02.23
[阿膠散][아교산]  (0) 2023.02.23
[補肺散][보폐산]  (0) 2023.02.23

[獨參湯][독삼탕]

治肺虛

單用 人蔘 濃煎服(醫說).

폐허를 치료한다.

인삼 한 가지만을 진하게 달여 먹는다[의설].

治 虛勞 吐血 後羸弱氣微少大

人參二兩去蘆

右犫作一貼 入棗五枚 以長流 水濃煎服[新書]

허로로 피를 토한 뒤에 몸이 몹시 여위고 기운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인삼(노두를 버린 것)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5알과 함께 물에 넣고 진하게 달여 먹는다[신서].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肺散][사폐산]  (0) 2023.02.23
[瀉白散][사백산]  (0) 2023.02.23
[阿膠散][아교산]  (0) 2023.02.23
[補肺散][보폐산]  (0) 2023.02.23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0) 2023.02.22

[補肺散][보폐산]

治肺虛

阿膠珠8g

鼠粘子 糯米炒(一作秫米). 4.8g

馬兜鈴炒2.8g

甘草炒2g

杏仁麩炒9.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一名 [阿膠散](錢乙).

폐가 허한 것을 치료한다.

아교주 8g,

우엉씨(대력자), 찹쌀(나미, 닦은 것) 각각 4.8g,

쥐방울(마두령, 닦은 것) 2.8g,

감초(닦은 것) 2g,

살구씨(행인, 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9.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어떤 데는 기장쌀을 썼다)

일명 아교산(阿膠散)이라고도 한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白散][사백산]  (0) 2023.02.23
[獨參湯][독삼탕]  (0) 2023.02.23
[補肺散][보폐산]  (0) 2023.02.23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0) 2023.02.22
[瀉脾散][사비산]  (0) 2023.02.22

[補肺散][보폐산]

治肺虛

阿膠珠8g

鼠粘子 糯米炒(一作秫米). 4.8g

馬兜鈴炒2.8g

甘草炒2g

杏仁麩炒9.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一名 [阿膠散](錢乙).

폐가 허한 것을 치료한다.

아교주 8g,

우엉씨(대력자), 찹쌀(나미, 닦은 것) 각각 4.8g,

쥐방울(마두령, 닦은 것) 2.8g,

감초(닦은 것) 2g,

살구씨(행인, 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9.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어떤 데는 기장쌀을 썼다)

일명 아교산(阿膠散)이라고도 한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參湯][독삼탕]  (0) 2023.02.23
[阿膠散][아교산]  (0) 2023.02.23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0) 2023.02.22
[瀉脾散][사비산]  (0) 2023.02.22
[瀉黃散][사황산]  (0) 2023.02.22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治 傷寒裏證 大便硬 小便赤 晨語 潮熱

大黃四錢, 芒硝二錢, 甘草一錢

右犫作一貼 先煎 大黃 甘草 至半 去渣 入芒硝 再一沸 溫服[入門]

상한이증(傷寒裏證)으로 대변이 굳고 오줌이 벌거며

헛소리하고 조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16g, 망초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쓰는데

먼저 대황과 감초를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망초를 넣고 다시 한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입문].

 

三承氣須分 三焦受病 而用之

若三焦傷者 搽滿 燥實堅俱全是 用[大承氣]

大黃滌熱 枳實瀉實 厚朴消搽 芒硝潤燥軟堅

若上焦傷者 有搽滿實 而無燥堅是 用[小承氣]

厚朴消搽 枳實瀉滿 大黃滌熱

若中焦傷者 無搽滿 而有燥實堅是 用[調胃承氣]

大黃滌熱 芒硝潤燥軟堅 甘草和中而已[入門]

3가지 승기탕은 3(三焦) 가운데서 어느 곳에 병이 들었는가를 갈라보고 써야 한다.

만일 3초가 다 상()하여 트직하고 그득하며

대변이 굳어 막히는 증상이 다 있으면 대승기탕을 쓴다.

여기에 있는 대황은 열기(熱氣)를 없애고 지실은 막힌 것[]을 열어 주며[]

후박은 트직한 것을 밀어내고 망초는 마른 것을 축여 주며

뜬뜬한 것[]을 연()하게 한다.

만일 상초(上焦)가 상하여 트직하고 그득하며[滿]

대변이 막혔으나[] 마르고[] 뜬뜬한 것[]이 없으면 소승기탕을 쓴다.

여기에 있는 후박은 트직한 것을 밀어내고

지실은 그득한 것을 내리며 대황은 열을 없앤다.

만약 중초(中焦)가 상하여 트직하고 그득하지는 않으나

대변이 말라서 막혀 뜬뜬한 것이 있으면 조위승기탕을 쓰는데

여기에 있는 대황은 열을 없애고 망초는 마른 것을 축여 주며

뜬뜬한 것[]을 연()하게 하고 감초는 중초를 조화시킨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阿膠散][아교산]  (0) 2023.02.23
[補肺散][보폐산]  (0) 2023.02.23
[瀉脾散][사비산]  (0) 2023.02.22
[瀉黃散][사황산]  (0) 2023.02.22
[補脾湯][보비탕]  (0) 2023.02.22

[瀉黃散][사황산]

治脾熱 口瘡 口臭.

梔子6g 藿香 甘草 各4g

石膏末3.2g 防風2.8g.

剉作一貼 蜜酒伴微炒 水煎服(海藏).

一名, [瀉脾散]

비에 열이 있어서 입 안이 헐고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 6g, 곽향, 감초 각각 4g, 석고(가루낸 것) 3.2g, 방풍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꿀물과 술에 버무린 다음 약간 볶아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일명 사비산(瀉脾散)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肺散][보폐산]  (0) 2023.02.23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0) 2023.02.22
[瀉黃散][사황산]  (0) 2023.02.22
[補脾湯][보비탕]  (0) 2023.02.22
[補脾散][보비산]  (0) 2023.02.21

[瀉黃散][사황산]

治脾熱 口瘡 口臭.

梔子6g 藿香 甘草 各4g

石膏末3.2g 防風2.8g.

剉作一貼 蜜酒伴微炒 水煎服(海藏).

一名, [瀉脾散]

비에 열이 있어서 입 안이 헐고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 6g, 곽향, 감초 각각 4g, 석고(가루낸 것) 3.2g, 방풍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꿀물과 술에 버무린 다음 약간 볶아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일명 사비산(瀉脾散)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  (0) 2023.02.22
[瀉脾散][사비산]  (0) 2023.02.22
[補脾湯][보비탕]  (0) 2023.02.22
[補脾散][보비산]  (0) 2023.02.21
[益黃散][익황산]  (0) 2023.02.21

[補脾湯][보비탕]

治脾臟虛冷 嘔吐 泄瀉 飮食不消.

麥芽炒 甘草灸 各60g

人蔘 白茯苓 草果 乾薑炮 各40g

厚朴 陳皮 白朮 各30g

剉作20g 水煎服(三因方).

비장이 허랭하여 토[嘔吐]하고 설사하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6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초과,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40g,

후박, 귤껍질(橘皮), 흰삽주(백출) 각각 3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脾散][사비산]  (0) 2023.02.22
[瀉黃散][사황산]  (0) 2023.02.22
[補脾散][보비산]  (0) 2023.02.21
[益黃散][익황산]  (0) 2023.02.21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23.02.21

[益黃散][익황산]

治脾臟虛冷 腹痛 泄利.

陳皮40g

靑皮 訶子肉 甘草灸 各20g 丁香8g.

爲末 每8g 12g 水煎服.

或剉20g 作一貼亦可.

一名 [補脾散](海藏).

비장이 허랭(虛冷)하여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40g,

선귤껍질(청피), 가자육,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정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또는 12g씩 물에 달여 먹는다.

썰어서 20g 1첩으로 하는 것도 좋다.

이것을 보비산(補脾散)이라고도 한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黃散][사황산]  (0) 2023.02.22
[補脾湯][보비탕]  (0) 2023.02.22
[益黃散][익황산]  (0) 2023.02.21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23.02.21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0) 2023.02.21

[益黃散][익황산]

治脾臟虛冷 腹痛 泄利.

陳皮40g

靑皮 訶子肉 甘草灸 各20g 丁香8g.

爲末 每8g 12g 水煎服.

或剉20g 作一貼亦可.

一名 [補脾散](海藏).

비장이 허랭(虛冷)하여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40g,

선귤껍질(청피), 가자육,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정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또는 12g씩 물에 달여 먹는다.

썰어서 20g1첩으로 하는 것도 좋다.

이것을 보비산(補脾散)이라고도 한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脾湯][보비탕]  (0) 2023.02.22
[補脾散][보비산]  (0) 2023.02.21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23.02.21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0) 2023.02.21
[導赤散][도적산]  (0) 2023.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