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煨 羌活 防風 各等分

爲末蜜丸 芡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 溫水化下.

一名, [凉肝丸](綱目)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궁궁이(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을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데 풀어 먹는다.

일명 양간환(凉肝丸)이라고도 한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洗肝散][세간산]  (0) 2023.02.19
[凉肝丸][양간환]  (0) 2023.02.19
[補肝丸][ 보간환]  (0) 2023.02.19
[淸肝湯][청간탕]  (0) 2023.02.18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23.02.16

[補肝丸][ 보간환]

治肝虛 卽四物湯 加防風 羌活 蜜丸也(綱目).

간이 허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사물탕(四物湯)에 방풍(防風)과 강호리(강활)를 넣어서 꿀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이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凉肝丸][양간환]  (0) 2023.02.19
[瀉靑丸][사청환]  (0) 2023.02.19
[淸肝湯][청간탕]  (0) 2023.02.18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23.02.16
[煮肝丸][자간환]  (0) 2023.02.16

[淸肝湯][청간탕]

治肝經血虛 有怒火

白芍藥6g

川芎 當歸 各4g

柴胡3g梔子 牧丹皮 各1.6g.

剉作 水煎服(入門).

간경(肝經)에 혈()이 허()하기 때문에 성을 잘 내고 화()가 동()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g,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g,

시호 3.2g, 산치자,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靑丸][사청환]  (0) 2023.02.19
[補肝丸][ 보간환]  (0) 2023.02.19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23.02.16
[煮肝丸][자간환]  (0) 2023.02.16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0) 2023.02.15

[龍膽飮者][용담음자]

治疳眼流膿 神效

靑蛤粉 蛇脫皮 穀精草 20g

羗活 草龍膽 12g

麻黃10g

黃芩升麻 8g

鬱金 甘草 2g

爲末 每7.5g 茶淸調下(綱目).

감안으로 고름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청대, 뱀허물(사퇴), 곡정초 각각 20g,

강호리(강활), 초룡담 각각 12g,

마황 10g,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승마 각각 8g,

울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肝丸][ 보간환]  (0) 2023.02.19
[淸肝湯][청간탕]  (0) 2023.02.18
[煮肝丸][자간환]  (0) 2023.02.16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0) 2023.02.15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0) 2023.02.15

[煮肝丸][자간환]

治疳眼 盲膜不見物

夜明砂 靑蛤粉 穀精草 各等分

細末小兒4g 七歲以上12g

豬肝一大片 批開糝藥 麻線縛定

米泔半椀 煮肝 熟 取出肝 湯則傾椀內熏眼

取肝分三次嚼訖 却以肝湯下 一日三服 十日必退

如大人雀目 空心服 至夜 便見物(綱目).

감안(疳眼)으로 예막이 덮여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야명사, 청합분, 곡정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7살 전의 어린이에게는 4g,

7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12g을 먹이는데

돼지 간(큰 것) 한 쪼박[大片]을 짜개고 약을 그 속에 넣은 다음 실로 동여매서

쌀 씻은 물 반 사발을 두고 삶아서 간이 익으면 간은 꺼내고

간 삶은 물은 사발에 담아 눈에 김을 쐬어 준다.

그 다음 간은 세번에 나누어 간 삶은 물로 하루에 다 먹이면 10일 만에 반드시 낫는다.

만일 어른이 밤눈증이 생겼을 때는 빈속에 먹으면 밤에 아무것이나 잘 보게 된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肝湯][청간탕]  (0) 2023.02.18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23.02.16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0) 2023.02.15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0) 2023.02.15
[消疳丸][소감환]  (0) 2023.02.15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治諸疳 殺蟲 和胃止瀉 退熱

胡黃連 雷丸 蘆薈 蕪荑 木香 靑黛 鶴蝨 黃連20g

蟬退10, 麝香2g

爲末 猪膽汁浸糕和 丸麻子大 米飮下2030(入門).

여러 가지 감병을 치료한다. 벌레를 죽이고 위를 편하게 하며 설사를 멈추고 열을 내린다.

호황련, 뇌환, 노회,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목향, 청대, 학슬, 황련 각각 20g,

매미허물(선퇴) 10,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불쿤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23.02.16
[煮肝丸][자간환]  (0) 2023.02.16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0) 2023.02.15
[消疳丸][소감환]  (0) 2023.02.15
[疳積餠][감적병]  (0) 2023.02.14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通治諸疳 殺蟲退熱 磨積進食

使君子 草龍膽 麥芽 陳皮 蕪荑 神曲 黃連 山査肉 各等分

爲末 陳米飯和丸 黍米大 米飮下2030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한다.

벌레를 죽이며 열을 내리고 적을 없애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사군자, 초룡담, 보리길금(맥아), 귤껍질(陳皮),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약누룩(신국), 황련, 찔광이(산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묵은 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煮肝丸][자간환]  (0) 2023.02.16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0) 2023.02.15
[消疳丸][소감환]  (0) 2023.02.15
[疳積餠][감적병]  (0) 2023.02.14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0) 2023.02.14

[消疳丸][소감환]

治五疳

蒼朮 陳皮 厚朴 枳殼 檳榔 神麴炒 山査肉

麥芽炒 三菱煨 蓬朮煨

縮砂 茯苓 黃連炒 胡黃連 蕪荑 使君子 蘆薈 各等分

爲末 蒸餠和 丸彈子大 米飮化下 一丸(回春).

5감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후박, 지각, 빈랑, 약누룩(신국, 닦은 것),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사인, 솔풍령, 황련(닦은 것),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 사군자, 노회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서 풀어 먹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味蘆薈丸][십미노회환]  (0) 2023.02.15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0) 2023.02.15
[疳積餠][감적병]  (0) 2023.02.14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0) 2023.02.14
[肥兒丸][비아환]  (0) 2023.02.13

[疳積餠][감적병]

治五疳諸積

使君子肉40g

白朮 黃連12g

靑皮 陳皮 山査肉 神麴炒 麥芽炒 三菱蓬朮木香 10g

縮砂 檳榔 肉荳蔲 訶子肉 甘草灸 各8g

茴香川練肉 夜明砂炒各6g

乾蟾一箇

爲末 白麪1.8kg炒黃 以砂糖200g水煮化 和勻 得所印作餠子 每重3.75g

每服23餠 任意嚼吃 米飮送下(醫鑒)

5감과 여러 가지 적()을 치료한다.

사군자육 40g,

흰삽주(백출), 황련 각각 12g,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찔광이(산사),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목향 각각 10g,

사인, 육두구, 가자육(訶子肉), 감초(닦은 것) 각각 8g,

회향(닦은 것),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 야명사(닦은 것) 각각 6g,

마른 두꺼비(건섬) 1.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노랗게 닦은 것) 1.8kg에 사탕 200g을 섞어서

물을 두고 졸인 데다 알맞게 반죽한 다음 4g씩 되게 작은 떡을 판에 찍어 만든다.

한번에 2-3개씩 아무 때나 미음으로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疳消食元][오감소식원]  (0) 2023.02.15
[消疳丸][소감환]  (0) 2023.02.15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0) 2023.02.14
[肥兒丸][비아환]  (0) 2023.02.13
[玉蟾散][옥섬산]  (0) 2023.02.13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治五藏疳

黃連, 白鱔頭(無則蕪荑代之), 草龍膽, 五倍子, 靑皮, 夜明砂炒,

苦練根, 雄黃, 麝香, 靑黛, 天漿子, 熊膽, 蘆薈, 胡黃連 10g

蟾頭一枚灸黃色 

爲末 飯丸麻子大 一歲兒米飮下一二丸(局方).

5장감을 치료한다.

황련, 백선두(없으면 참느릅열매를 대신한다), 초룡담, 오배자, 선귤껍질(靑皮), 야명사(닦은 것),

멀구슬나무뿌리(고련근피), 석웅황(웅황), 사향, 청대, 천장자, 곰열(웅담), 노회, 호황련 각각 10g,

두꺼비대가리(蟾頭, 누른빛이 나게 구운 것) 1.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2알씩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消疳丸][소감환]  (0) 2023.02.15
[疳積餠][감적병]  (0) 2023.02.14
[肥兒丸][비아환]  (0) 2023.02.13
[玉蟾散][옥섬산]  (0) 2023.02.13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0) 2023.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