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肥兒丸][비아환]

凡疳病 以肥兒丸 疳積餠爲主

此藥消疳 化積 磨癖

淸熱 伐肝補脾 進食殺蟲

胡黃連20g 使君子肉18g

人蔘 黃連薑汁炒 神曲炒 麥芽炒 山査肉 14g

白朮 白茯苓 甘草灸 各12g

蘆薈碗盛泥裹糠灰火煨透10g

爲末 黃米糊和丸 菉豆大 米飮下2030(醫鑒).

대체로 감병에는 비아환과 감적병(疳積餠)을 주로 쓴다.

이 약은 감병을 없애고 적()을 풀어 주며 벽()을 없어지게 한다.

이와 함께 열()을 내리고 간기(肝氣)를 누르며 비()를 보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벌레를 죽인다.

호황련 20g, 사군자육 18g,

인삼,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찔광이(신사) 각각 14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닦은 것) 각각 12g,

노회(사발에 넣고 진흙으로 싸발라 겻불 속에 묻어 속까지 구워진 것)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찰기장쌀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疳積餠][감적병]  (0) 2023.02.14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0) 2023.02.14
[玉蟾散][옥섬산]  (0) 2023.02.13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0) 2023.02.12
[褐丸子][갈환자]  (0) 2023.02.12

[玉蟾散][옥섬산]

治諸般疳瘡

乾蟾燒灰12g,  黃連8g,  靑黛4g,  麝香一字

爲末 先以甘草湯 洗後 塗之妙(醫鑒).

여러 가지 감창을 치료한다.

두꺼비(乾蟾, 태워 가루낸 것) 12g, 황련 8g, 청대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고 먼저 감초 달인 물로 씻은 다음 위의 약가루를 뿌려 주면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疳保童元][오감보동원]  (0) 2023.02.14
[肥兒丸][비아환]  (0) 2023.02.13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0) 2023.02.12
[褐丸子][갈환자]  (0) 2023.02.12
[木香元][목향원]  (0) 2023.02.12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治疳瘡

自孩提至弱冠 潮熱發瘡

乃疳氣使然 疳虫食其肌膚

空虛疳熱 流注遍身 熱瘡發歇無已

雄猪肚一具洗淨 黃連280g

爲剉 黃連入猪肚中 線縫密頓

在五升米 上蒸十分爛 取入臼中

入些飯擣千杵 衆手丸 如菉豆大

米飮下2030丸 冠者 倍之(得效).

감창을 치료한다.

어려서부터 20살이 될 때까지 조열이 나고 헌데가 나는 것은

감질기(疳疾氣)가 있어서 그러한 것인데 감충(疳蟲)이 살을 파 먹는 관계로 살이 여위며

감열이 온몸에 돌아다녀 열창(熱瘡)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수퇘지 창자 한 보를 깨끗이 씻어서 황련 280g을 썰어서 돼지창자 속에 넣고 실로 동여맨 다음

5되의 쌀 위에 놓고 푹 무르도록 쪄서 절구에 넣는다.

그 다음 밥을 조금 넣고 잘 짓찧어 여러 사람이 달라 붙어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이되 20살이 된 사람에게는 곱을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肥兒丸][비아환]  (0) 2023.02.13
[玉蟾散][옥섬산]  (0) 2023.02.13
[褐丸子][갈환자]  (0) 2023.02.12
[木香元][목향원]  (0) 2023.02.12
[連膽丸][연담환]  (0) 2023.02.11

[褐丸子][갈환자]

治疳腫腹脹 治五疳八痢 肌瘦腹大者 如神

蘿葍子40g

黑丑頭末半生半炒30g

靑皮 陳皮 三菱 蓬朮 五靈脂 赤茯苓 檳榔 20g

胡椒10g

木香6g

爲末 麪糊和 丸菉豆大 每取15丸 蘿葍煎湯下(丹心).

감종(疳腫)으로 배가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한다.

무씨 40g,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30g,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삼릉, 봉출, 오령지, 벌건솔풍령(적복령), 빈랑 각각 20g,

후추 10g,

목향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무씨 달인 물로 먹이면 5가지 감병과 8가지 이질로 살이 여위고

배가 큰 것을 치료하는 데 신기하게 낫는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蟾散][옥섬산]  (0) 2023.02.13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0) 2023.02.12
[木香元][목향원]  (0) 2023.02.12
[連膽丸][연담환]  (0) 2023.02.11
[布袋丸][포대환]  (0) 2023.02.11

[木香元][목향원]

治疳痢

黃連12g

木香 厚朴 縮砂 夜明砂炒 各8g, 

訶子肉4g

爲末 飯丸麻子大 薑湯下15(得效).

감리(疳痢)를 치료한다.

황련 12g,

목향, 후박, 사인, 야명사(닦은 것) 각각 8g,

가자육(訶子肉)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0) 2023.02.12
[褐丸子][갈환자]  (0) 2023.02.12
[連膽丸][연담환]  (0) 2023.02.11
[布袋丸][포대환]  (0) 2023.02.11
[二連丸][이련환]  (0) 2023.02.11

[連膽丸][연담환]

治五乾疳

黃連20g猪膽汁浸 瓜蔞根 烏梅肉 蓮肉 杏仁 8g

爲末 牛膽汁浸糕和丸 麻子大

15丸 烏梅薑蜜煎湯下(入門).

5건감(五乾疳)을 치료한다.

황련 20g(저담즙에 담갔다 낸 것),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오매육, 연밥(연실), 살구씨(행인)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우담즙에 담갔다 낸 떡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오매와 생강, 꿀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褐丸子][갈환자]  (0) 2023.02.12
[木香元][목향원]  (0) 2023.02.12
[布袋丸][포대환]  (0) 2023.02.11
[二連丸][이련환]  (0) 2023.02.11
[十全丹][십전단]  (0) 2023.02.10

[布袋丸][포대환]

治丁奚 哺露 無辜疳

夜明砂 蕪荑 使君子 80g

蘆薈 人蔘 白朮 白茯苓 甘草 20g

爲末 湯浸蒸餠和 丸彈子大

每一丸 用絹袋盛之 次用精猪肉80g同煮 候肉爛熟 起藥掛

風前陰乾 只用肉和汁與兒食之

次日依前者 服藥盡爲度(入門).

정해감, 포로감, 무고감 등을 치료한다.

야명사,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사군자 각각 80g,

노회,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끓는 물에 담근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비단주머니에 넣은 다음 돼지살코기 80g과 같이 달여 고기가 푹 물렀으면 약을 꺼낸다.

이것을 그늘진 바람받이에 매달아서 말린 다음 고기만을 국물에 넣어 아이에게 먹인다.

다음날도 먼저와 같이 달여 먹이되 약이 다 없어질 때까지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元][목향원]  (0) 2023.02.12
[連膽丸][연담환]  (0) 2023.02.11
[二連丸][이련환]  (0) 2023.02.11
[十全丹][십전단]  (0) 2023.02.10
[月蟾丸][월섬환]  (0) 2023.02.10

[二連丸][이련환]

治無辜疳

黃連 胡黃連 蕪荑 靑黛 20g

乾蝦蟆一箇酒浸去骨焙

共爲末 糊丸粟米大 米飮下2030丸日三次服之(得效)

무고감을 치료한다.

황련,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청대 각각 20g,

두꺼비 1(마른 것을 술에 담갔다가 뼈를 발라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좁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連膽丸][연담환]  (0) 2023.02.11
[布袋丸][포대환]  (0) 2023.02.11
[十全丹][십전단]  (0) 2023.02.10
[月蟾丸][월섬환]  (0) 2023.02.10
[尿白散][요백산]  (0) 2023.02.10

[十全丹][십전단]

治丁奚 哺露 無辜壞症

陳皮 靑皮 蓬朮 川芎 五靈脂 白荳蔲 檳榔 蘆薈 20g

木香 使君子 蝦蟆灰 各12g

爲末 以猪膽汁浸糕 和丸 麻子大 米飮下2030(入門).

정해감, 포로감(哺露疳), 무고감 등이 심해진 증상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봉출, 궁궁이(천궁), 오령지, 백두구, 빈랑, 노회 각각 20g,

목향, 사군자, 두꺼비(하마, 태운 가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불군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布袋丸][포대환]  (0) 2023.02.11
[二連丸][이련환]  (0) 2023.02.11
[月蟾丸][월섬환]  (0) 2023.02.10
[尿白散][요백산]  (0) 2023.02.10
[銅靑散][동청산]  (0) 2023.02.09

[月蟾丸][월섬환]

治無辜疳

蝦蟆一箇打殺置桶中 以尿浸之 却取糞蛆一杓

入內任蛆食一日夜 取出以布袋繫之

於急流水中浸一宿 瓦上焙乾

入麝香一字 爲末 飯丸麻子大

30丸 米飮下 一服 虛煩退 再服渴止 三服瀉住(入門).

무고감을 치료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連丸][이련환]  (0) 2023.02.11
[十全丹][십전단]  (0) 2023.02.10
[尿白散][요백산]  (0) 2023.02.10
[銅靑散][동청산]  (0) 2023.02.09
[立效散][입효산]  (0) 2023.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