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東垣曰熱淫所勝 以黃蓮之苦寒 去心煩除濕熱爲君

以甘草 生地黃之甘寒瀉火而安神明也

黃蓮24g, 朱砂20g, 甘草, 生乾地黃酒洗 14g, 當歸酒洗10g.

爲末 湯浸蒸餠和丸 黍米大 津唾嚥下 20~ 30(入門).

동원은 열음(熱淫)이 심한데 찬 성질의 황련으로 가슴이 답답한 것과 습열을 없애기 위해 주약으로 쓴다.

또한 달고 찬 성질의 감초와 생지황으로 화()를 사()하고 기()를 보하며 음혈을 불쿠어 주기 위해 신약(臣藥)으로 쓴다.

당귀는 혈부족을 보하고 주사는 떠도는 화를 진정시켜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고 하였다.

황련 24g, 주사 20g, 감초,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각각 14g, 당귀(술로 씻은 것)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는 물에 불린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입에 넣고 녹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脾散][보비산]  (0) 2023.02.21
[益黃散][익황산]  (0) 2023.02.21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0) 2023.02.21
[導赤散][도적산]  (0) 2023.02.20
[黃蓮瀉心湯][황련사심탕]  (0) 2023.02.20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治心藏實熱 口舌生瘡 驚悸 煩渴.

黃蓮 黃芩 麥門冬 半夏 地骨皮 茯神

赤芍藥 木通 生地黃 甘草 各2g

右剉作一貼 薑5片 水煎服(活人書).

심장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입과 혀가 헐고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끼무릇(반하), 지골피, 복신,

함박꽃뿌리(적작약), 으름덩굴(목통), 생지황,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서].

 

黃連生用爲君 佐官桂少許

煎白沸湯 入密 空心服 能使心腎 交於頃刻[丹心]

황련(생것)을 주약[]으로 하고 육계(官桂)를 좌약(佐藥)으로 조금 넣어서

1백여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꿀을 넣어서

빈속에 먹으면 심신(心腎)이 제때에 잘 어울리게 된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黃散][익황산]  (0) 2023.02.21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23.02.21
[導赤散][도적산]  (0) 2023.02.20
[黃蓮瀉心湯][황련사심탕]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0) 2023.02.20

[導赤散][도적산]

雖治心熱 實小腸之藥也.

治小腸熱 小便不利

生地黃 木通 甘草 各4g

右剉入靑竹葉 七片 同煎服(錢乙).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지만 실지는 소장병(小腸病)에 쓰는 약이다.

소장에 열이 있어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푸른 참대잎(청죽엽) 7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23.02.21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0) 2023.02.21
[黃蓮瀉心湯][황련사심탕]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0) 2023.02.20
[醒心散][성심산]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治心熱

黃蓮

不拘多少爲極細末 每服1g  2g  4g 溫水調下

一名 [黃蓮瀉心湯](錢乙).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적당한 양.

위의 약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 또는 4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

일명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이라고도 한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0) 2023.02.21
[導赤散][도적산]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0) 2023.02.20
[醒心散][성심산]  (0) 2023.02.20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治心熱

黃蓮

不拘多少爲極細末 每服1g 2g 4g 溫水調下

一名 [黃蓮瀉心湯](錢乙).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적당한 양.

위의 약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 또는 4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

일명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이라고도 한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赤散][도적산]  (0) 2023.02.20
[黃蓮瀉心湯][황련사심탕]  (0) 2023.02.20
[醒心散][성심산]  (0) 2023.02.20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0) 2023.02.20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0) 2023.02.19

[醒心散][성심산]

治心虛熱

人蔘 麥門冬 五味子 遠志 茯神 生地黃 石菖蒲 各等分

右剉 水煎服.

심이 허하여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맥문동, 오미자, 원지, 복신, 생지황, 석창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蓮瀉心湯][황련사심탕]  (0) 2023.02.20
[瀉心湯][사심탕]  (0) 2023.02.20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0) 2023.02.20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0) 2023.02.19
[洗肝散][세간산]  (0) 2023.02.19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補心虛

朱砂水飛40g

麥門冬 馬牙硝 白茯苓 山藥 寒水石 甘草 各20g

龍腦 1g

爲末 蜜和40g 30丸 每一丸 砂糖水 化下(錢乙).

심이 허한 것을 보한다.

주사(수비(水飛)한 것) 40g,

맥문동, 마아초, 흰솔풍령(백복령), (서여), 한수석, 감초 각각 20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40g으로 30알씩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사탕물에 타서 먹는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心湯][사심탕]  (0) 2023.02.20
[醒心散][성심산]  (0) 2023.02.20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0) 2023.02.19
[洗肝散][세간산]  (0) 2023.02.19
[凉肝丸][양간환]  (0) 2023.02.19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治肝臟實熱 脇痛

當歸 草龍膽 梔子 黃蓮 黃栢 黃芩 各40g

大黃 蘆薈 靑黛 各20g

木香10g 麝香2g

爲末 蜜丸小豆大 薑湯下 20~30(綱目).

간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산치자, 황련, 황백, 속썩은풀(황금) 각각 40g,

대황, 노회, 청대 각각 20g,

목향 10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醒心散][성심산]  (0) 2023.02.20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0) 2023.02.20
[洗肝散][세간산]  (0) 2023.02.19
[凉肝丸][양간환]  (0) 2023.02.19
[瀉靑丸][사청환]  (0) 2023.02.19

[洗肝散][세간산]

治肝實羌活

當歸 薄荷 防風 大黃 川芎 梔子炒 甘草灸 各4g

右剉水煎服 加草龍膽 4g 尤妙(海藏).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당귀, 박하, 방풍, 대황, 궁궁이(천궁), 산치자(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용담초 4g을 넣어서 쓰면 더 좋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0) 2023.02.20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0) 2023.02.19
[凉肝丸][양간환]  (0) 2023.02.19
[瀉靑丸][사청환]  (0) 2023.02.19
[補肝丸][ 보간환]  (0) 2023.02.19

[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煨 羌活 防風 各等分

爲末蜜丸 芡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 溫水化下.

一名, [凉肝丸](綱目)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궁궁이(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을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데 풀어 먹는다.

일명 양간환(凉肝丸)이라고도 한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龍薈丸][당귀용회환]  (0) 2023.02.19
[洗肝散][세간산]  (0) 2023.02.19
[瀉靑丸][사청환]  (0) 2023.02.19
[補肝丸][ 보간환]  (0) 2023.02.19
[淸肝湯][청간탕]  (0) 2023.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