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尿白散][요백산]

治走馬牙疳

雖遍口齒落唇穿者 亦效

人中白火煆, 白礬枯, 白梅肉燒存性 各8g

共爲末 先用韭菜根 陳艾煎濃汁

以雞翎蘸汁 刷去腐肉 洗去鮮血 然後付藥 日23(入門).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비록 이가 다 빠지고 입술이 뚫어졌더라도 효과가 있다.

백반(구운 것), 백매육(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먼저 부추뿌리와 묵은 쑥을 진하게 달인 물을

닭의 깃에 묻혀 썩은 살은 닦아 버리고 그 물로 선지피를 씻어 버린 다음

약을 붙이는데 하루에 두세번씩 갈아붙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全丹][십전단]  (0) 2023.02.10
[月蟾丸][월섬환]  (0) 2023.02.10
[銅靑散][동청산]  (0) 2023.02.09
[立效散][입효산]  (0) 2023.02.09
[乳香丸][유향환]  (0) 2023.02.09

[銅靑散][동청산]

治走馬牙疳

白芷20g; 銅綠10g,  馬牙硝4g,  麝香一字

爲末 乾糝之(得效).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20g, 동록 10g, 마아초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것으로 뿌려 준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蟾丸][월섬환]  (0) 2023.02.10
[尿白散][요백산]  (0) 2023.02.10
[立效散][입효산]  (0) 2023.02.09
[乳香丸][유향환]  (0) 2023.02.09
[八味丸][팔미환]  (0) 2023.02.09

[立效散][입효산]

治走馬牙疳

靑黛 黃栢 白礬枯 五倍子 4g

爲末 先以米泔漱口 糝之(丹心).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청대, 황백, 백반(구운 것), 오배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쌀 씻은 물로 양치하고 약을 뿌려 준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尿白散][요백산]  (0) 2023.02.10
[銅靑散][동청산]  (0) 2023.02.09
[乳香丸][유향환]  (0) 2023.02.09
[八味丸][팔미환]  (0) 2023.02.09
[腎氣丸][신기환]  (0) 2023.02.08

[乳香丸][유향환]

治走馬牙疳 如神

乳香 輕粉 砒霜 2g,  麝香少許

硏細 以薄紙一韭葉許 按過揉紙少許和丸 如黃米大

臨臥將 藥塡患處 至明卽愈 忌食醬塩醋(綱目).

주마아감을 치료하는 데 신기하게 낫는다.

유향, 경분, 비상 각각 2g,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얇은 종이를 부추잎만하게 베어 그 위에 약을 놓고 빚어서

찰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자려고 할 때에 약을 아픈 곳에 넣으면 다음날 곧 낫는다.

장이나 소금, 식초 등을 먹여서는 안 된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銅靑散][동청산]  (0) 2023.02.09
[立效散][입효산]  (0) 2023.02.09
[八味丸][팔미환]  (0) 2023.02.09
[腎氣丸][신기환]  (0) 2023.02.08
[露星膏][노성고]  (0) 2023.02.08

[八味丸][팔미환]

治命門火不足 陽虛

熟地黃八兩

山藥, 山茱萸 各四兩

牡丹皮, 白茯巔, 澤瀉 各三兩

肉桂, 附子礐 各一兩

右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溫酒 或鹽湯下 五七十丸

若 加 五味子 名曰 [腎氣丸][仲景]

명문(命門)의 화()가 부족하고 양()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320g,

, 산수유 각각 160g,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120g,

오미자,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여기에 오미자를 넣은 것을 신기환(腎氣丸)이라고 한다[중경].

 

又治老年水火 俱虧 腎氣虛乏 下元冷憊 腰痛脚軟

夜多昖尿 面黑 口乾耳焦枯[入門]

늙은이가 수화(水火)가 다 부족하고 신기(腎氣)가 몹시 허하며

하초(下焦)가 허랭하여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밤에 오줌을 많이 누고 얼굴빛이 검으며

입이 마르고 귀가 몹시 마르는 것[焦枯]도 치료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立效散][입효산]  (0) 2023.02.09
[乳香丸][유향환]  (0) 2023.02.09
[腎氣丸][신기환]  (0) 2023.02.08
[露星膏][노성고]  (0) 2023.02.08
[蘆薈丸][노회환]  (0) 2023.02.08

[腎氣丸][신기환]

治命門火不足 陽虛.

熟地黃300g

山藥 山茱萸 各150g

牧丹皮 白茯苓 澤瀉 各112.5g

五味子 肉桂 附子炮 各37.5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溫酒 或塩湯下 五七十丸(仲景).

명문(命門)의 화()가 부족하고 양()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320g,

, 산수유 각각 160g,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120g,

오미자,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중경].

 

[腎氣丸][신기환]

治虛勞腎損

六味地黃元一劑 加 五味子四兩

乃滋肺之源以生腎水也[易老]

水泛爲痰之聖藥血虛發熱之神劑

又能補肝 盖腎肝之病 同一治故也[回春]

허로로 신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육미지황환 1제에 오미자 160g을 더 넣은 것이다.

페의 근원을 보해서 신수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역로]

수기(水氣)가 넘쳐나서 담이 생긴 데와 혈이 허하여 열이 나는데 좋은 약이다.

또한 간을 보해 준다.

그러므로 대개 간()과 신()의 병을 같이 치료하게 된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乳香丸][유향환]  (0) 2023.02.09
[八味丸][팔미환]  (0) 2023.02.09
[露星膏][노성고]  (0) 2023.02.08
[蘆薈丸][노회환]  (0) 2023.02.08
[龍膽丸][용담환]  (0) 2023.02.07

[露星膏][노성고]

治脊疳

黃芪蜜水炒 胡黃連 地骨皮 柴胡各等分

爲末 蜜丸芡實大 隔宿酒浸 露一宿

次日澄去酒 薄荷湯浸服之(湯氏).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꿀물로 축여 볶은 것), 호황련, 지골피, 시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하룻밤 지나서 술에 담가서 하룻밤 동안 바깥에 놓아 두었다가

다음날 가라앉힌 다음 술을 찌워 버리고 박하 달인 물에 담갔다가 먹인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味丸][팔미환]  (0) 2023.02.09
[腎氣丸][신기환]  (0) 2023.02.08
[蘆薈丸][노회환]  (0) 2023.02.08
[龍膽丸][용담환]  (0) 2023.02.07
[下蟲丸][하충환]  (0) 2023.02.07

[蘆薈丸][노회환]

治脊疳

龍膽草 黃連 蕪荑 40g

先炒蕪荑黃色 次入二味同炒赤色

爲末 另入蘆薈10g 和勻爛飯和 丸黍米大

一歲兒10丸 二歲兒20丸 米飮下(湯氏).

척감을 치료한다.

용담초, 황련, 참느릅나무열매(무이) 각각 40g

(먼저 참느릅나무열매를 닦아 누른빛이 나게 되면 나머지 2가지 약을 한데 넣고 붉은 빛이 나게 닦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따로 노회 10g을 넣고 섞어서 진밥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0, 2살 난 어린이에게는 2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氣丸][신기환]  (0) 2023.02.08
[露星膏][노성고]  (0) 2023.02.08
[龍膽丸][용담환]  (0) 2023.02.07
[下蟲丸][하충환]  (0) 2023.02.07
[如聖丸][여성환]  (0) 2023.02.07

[龍膽丸][용담환]

治腦疳

龍膽草 升麻 苦練根 防風 赤茯苓 蘆薈 油髮灰 靑黛 黃連 各等分

爲末 猪膽汁浸糕 和丸 麻子大

薄荷紫蘇湯下 1020(入門).

뇌감(腦疳)을 치료한다.

용담초, 승마, 먹구슬나무뿌리껍질(고련근피), 방풍, 벌건솔풍령(적복령), 노회, 유발회, 청대,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담갔다가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박하와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星膏][노성고]  (0) 2023.02.08
[蘆薈丸][노회환]  (0) 2023.02.08
[下蟲丸][하충환]  (0) 2023.02.07
[如聖丸][여성환]  (0) 2023.02.07
[使君子丸][ 사군자환]  (0) 2023.02.06

[下蟲丸][하충환]

治蛔疳

乾蝦蟆12g

苦練根皮 貫衆 木香 桃仁 蕪荑 檳榔 8g

鶴蝨4g 輕粉2g 使君子肉50

爲末 糊丸 麻子大 每1020丸 肉汁下(得效).

회감을 치료한다.

두꺼비(하마, 말린 것을 태워 가루낸 것) 12g,

멀구슬나무뿌리껍질(고련근피), 쇠고비(관중), 목향, 복숭아씨(도인),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빈랑 각각 8g,

담배풀열매(학슬) 4g, 경분 2g, 사군자육 50.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고기 삶은 물로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蘆薈丸][노회환]  (0) 2023.02.08
[龍膽丸][용담환]  (0) 2023.02.07
[如聖丸][여성환]  (0) 2023.02.07
[使君子丸][ 사군자환]  (0) 2023.02.06
[木香丸][목향환]  (0) 2023.0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