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牡狗陰莖][모구음경 / 숫개음경]

请性平味稜無毒
主傷中絶陽陰浔不起令强熱大生子

除女子帶下十二疾[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5장이 상하여 양기가 극도로 쇠약해져서 음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陰 不起]을 치료하는데
음경이 힘이 있게 하고 덥게 하며 커지게 한다.

그리고 아이를 낳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여자의 12가지 대하(帶下)를 치료한다[본초].
一名 [狗精] 六月上伏日取陰乾百日[本草]
일명 구정(狗精)이라고도 한다.
음력 6월 초복날 구하여 백일 동안 그늘에서 말려 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狗血][모구혈]   (0) 2019.03.12
[牡狗肉][모구육]   (0) 2019.03.12
[蹶兎][궐토]   (0) 2019.03.11
[兎屎][토시]   (0) 2019.03.11
[兎毛][토모]   (0) 2019.03.11

[蹶兎][궐토]

北方有跳兎前足寸餘後足幾尺行則

用後足跳一躍數尺止則蹶然捒地

爾雅所謂蹶兎亦曰嚊嚊咁窙[本草] 
북쪽 지방에 산토끼가 있는데 앞다리는 1치 정도이고 뒷다리는 몇자나 된다.
뒷다리로 뛰는데 한번에 몇자씩 뛴다.
그러나 멈춰서면 땅에 곧 꺼꾸러진다.
이아(爾雅)에 “궐토를 공공이라고도 하고 거허라고도 한다”고 씌어 있는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狗肉][모구육]   (0) 2019.03.12
[牡狗陰莖][모구음경]   (0) 2019.03.12
[兎屎][토시]   (0) 2019.03.11
[兎毛][토모]   (0) 2019.03.11
[兎肝][토간]   (0) 2019.03.11

[兎屎][토시]

一名 [玩月砂] 治瘡及痔[本草]
완월사(玩月砂)라고도 하는데 창(瘡)과 치(痔)를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狗陰莖][모구음경]   (0) 2019.03.12
[蹶兎][궐토]   (0) 2019.03.11
[兎毛][토모]   (0) 2019.03.11
[兎肝][토간]   (0) 2019.03.11
[兎腦][토뇌]   (0) 2019.03.11

[兎毛][토모]

燒灰主灸瘡不差[本草]
태워 가루내서 쓰는데 뜸자리가 낫지 않는 것[灸瘡]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蹶兎][궐토]   (0) 2019.03.11
[兎屎][토시]   (0) 2019.03.11
[兎肝][토간]   (0) 2019.03.11
[兎腦][토뇌]   (0) 2019.03.11
[兎肉][토육]   (0) 2019.03.11

[兎肝][토간]

主目暗能明目補勞[本草]
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하고 허로증(虛勞證) 때 보(補)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屎][토시]   (0) 2019.03.11
[兎毛][토모]   (0) 2019.03.11
[兎腦][토뇌]   (0) 2019.03.11
[兎肉][토육]   (0) 2019.03.11
[兎頭骨][토두골]   (0) 2019.03.11

[兎腦][토뇌 / 토끼뇌]

主凍瘡手足塉裂又能滑産[本草]
손발이 얼어서 터진 것을 치료한다.
또한 해산을 쉽게 하게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毛][토모]   (0) 2019.03.11
[兎肝][토간]   (0) 2019.03.11
[兎肉][토육]   (0) 2019.03.11
[兎頭骨][토두골]   (0) 2019.03.11
[家狸][가리]   (0) 2019.03.11

[兎肉][토육 / 토끼고기]

性寒平味辛(一云酸)無毒

治渴健脾然性冷多食損元氣絶血怴弱房事令人萎黃[本草]
성질이 차고[寒] 평(平)하며 맛이 맵고[辛](시다[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갈증을 멎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한다.
그러나 성질이 서늘하므로[冷] 많이 먹으면 원기(元氣)가 상하고 혈맥(血脈)이 끊어지며

성욕이 약해지고 얼굴이 누렇게 되면서 윤기가 없어진다[본초].
臘月肉作醬食去小兒豌豆瘡
음력 섣달에 고기로 장(醬)을 만들어 먹으면 어린 아이의 완두창( 豆瘡)을 없애준다.
八月至十月肉酒灸喫與丹石發熱人相宜性冷故也
8월부터 10월 사이에 토끼고기를 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은 광물성 약을 먹고 열이 나는 데 좋다.
그것은 성질이 서늘하기[冷] 때문이다.
兎有白者全得金之氣入藥尤佳

兎壽千歲五百歲毛變白餘兎至秋深可食金氣全故也[本草]
흰토끼는 금(金)의 기운을 완전히 받은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는 제일 좋다.
토끼는 천년을 사는데 5백년이 지나면 털이 희어진다.

토끼고기는 늦은 가을에 먹어야 한다.
그것은 이때에야 금의 기운[金氣]을 완전히 받기 때문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肝][토간]   (0) 2019.03.11
[兎腦][토뇌]   (0) 2019.03.11
[兎頭骨][토두골]   (0) 2019.03.11
[家狸][가리]   (0) 2019.03.11
[狸糞][이분]   (0) 2019.03.11

[兎頭骨][토두골 / 토끼머리뼈]

性平無毒

主難産及胞衣不出及産後餘血不下璪心腹欲死
성질이 평(平)하며 독이 없다.

난산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산후에 오로가 나오지 않고 가슴으로 치밀어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頭骨和皮毛髓拄燒灰酒服或丸服
대가리뼈, 가죽, 털, 골수 등을 다 태워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兎爲食品之上味兎竅有六七穴子從口出

故姙娠忌食者非爲缺脣亦緣口出[本草]
토끼 고기는 제일 맛있는 음식이다.
토끼한테는 구멍이 6-7개가 있다.

임신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언청이가 생기지 않게 하자는 데 있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腦][토뇌]   (0) 2019.03.11
[兎肉][토육]   (0) 2019.03.11
[家狸][가리]   (0) 2019.03.11
[狸糞][이분]   (0) 2019.03.11
[狸陰莖][이음경]   (0) 2019.03.11

[家狸][가리 / 고양이]

一名 [] 亦曰 [狸奴]
肉性微寒味甘酸
主勞瓌骨熱痰多及痔瘻作羹空心食之黑色 者尤佳[入門]
일명 묘(猫) 또는 이노(狸奴)라고 한다.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면서 시다[甘酸].
노채, 골증열, 담이 성한 것과 치루(痔瘻)를 치료하는데 국을 끓여서 빈속에 먹는다.
빛이 검은 것이 더 좋다[입문].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肉][토육]   (0) 2019.03.11
[兎頭骨][토두골]   (0) 2019.03.11
[狸糞][이분]   (0) 2019.03.11
[狸陰莖][이음경]   (0) 2019.03.11
[狸肉][이육]   (0) 2019.03.11

[狸糞][이분]

主寒熱鬼秇發無期度者極驗燒灰用五月收糞極神妙[本草]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頭骨][토두골]   (0) 2019.03.11
[家狸][가리]   (0) 2019.03.11
[狸陰莖][이음경]   (0) 2019.03.11
[狸肉][이육]   (0) 2019.03.11
[狸骨][이골]   (0) 2019.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