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鼻塞][비색]
鼻塞皆屬肺[綱目].

코가 막히는 것은 모두 폐(肺)에 속한다(강목).  

寒傷皮毛, 則鼻塞不利, 火鬱淸道, 則香臭不知.

新者, 偶感風寒, 鼻塞聲重, 流涕噴嚏.

宜羌活冲和湯, 蔘蘇飮 並見寒門.

久, 則略感風寒, 鼻塞便發, 宜淸金降火凉膈散 方見火門, 加 川芎, 荊芥, 白芷[入門]
한사(寒邪)에 피모(皮毛)가 상하면 코가 막혀 숨쉬기가 순조롭지 못하고,

화(火)가 기도[淸道]에 몰리면 냄새를 맡지 못한다.

막 생긴 것은 찬바람[風寒]을 갑자기 쏘여서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가라앉으며 콧물이 나고 재채기를 한다.

강활충화탕이나 삼소음(둘 다 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오래된 것은 풍한에 조금만 감촉되어도 금방 코가 막힌다.

폐를 맑게 하고[淸金] 심화(心火)를 내려주는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천궁, 형개, 백지를 넣어 쓴다(입문).
鼻塞甚者, 禦寒湯, 蓽澄茄丸, 不知香臭者, 麗澤通氣湯.

內有硬物者, 宜南星飮, 外用蓽撥餠, 貼顖門, 且以菖蒲, 皂角末, 綿裹塞鼻[入門].  

심하게 코가 막힌 데는 어한탕이나 필징가환을 쓰고,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는 여택통기탕을 쓴다.

콧속에 딱딱한 것이 있을 때는 남성음을 쓰고, 외용으로는 필발병을 신문혈에 붙이고,

석창포와 조각자를 가루내어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다(입문).

鼻齆者, 肺爲風冷所傷, 津液冷滯, 鼻氣不宣, 香臭不知, 宜芎藭散[直指].

비옹(鼻齆)이란 폐가 풍랭(風冷)에 상하여 진액이 차가워져 엉기고

폐의 기[鼻氣]가 잘 돌지 못하여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으로 궁궁산을 쓴다(직지).

鼻塞, 不聞香臭, 宜溫肺湯, 溫衛湯, 通竅湯, 菖蒲散, 又一方.

코가 막혀서 냄새를 맡지 못할 때는

온폐탕, 온위탕, 통규탕, 창포산과 또 다른 처방[鼻不聞香臭方]을 쓴다.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痔][비치]   (0) 2020.02.06
[鼻不聞香臭方][비불문향취방]   (0) 2020.02.05
[鼻衄][비뉵]   (0) 2020.02.05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鼻衄][비뉵]
詳見血門.
자세한 것은 혈문에 나와 있다.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不聞香臭方][비불문향취방]   (0) 2020.02.05
[鼻塞][비색]   (0) 2020.02.05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鼽][비구]
鼽者, 鼻流淸涕也[入門].

구(鼽)란 코에서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이다(입문).

鼻中水出曰鼽[內經].

콧속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구'라고 한다(내경).

傷風, 則決然鼻流淸涕[綱目].

풍에 상하면 반드시 맑은 콧물이 흘러나온다(강목).

鼻流淸涕者, 屬肺寒也[回春].

맑은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폐한(肺寒)에 속한다(회춘).

鼻流淸涕, 宜川椒散.

맑은 콧물이 흐를 때는 천초산을 쓴다.

鼻鼽, 二陳湯 方見痰飮, 加川芎, 當歸,

細辛, 白芷, 防風, 羌活, 桔梗, 薄荷, 生薑, 煎服.

外以細辛膏, 塞鼻中[入門].

비구증에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궁·당귀·

세신, 백지, 방풍, 강활, 길경, 박하, 생강을 넣어 달여 먹는다.

외용으로는 세신고로 콧구멍을 막는다(입문).

老人, 鼻鼽不止, 用獨頭蒜 四五箇, 擣爛,

貼脚底心, 用紙貼之, 鼽自止[種杏]

노인이 맑은 콧물이 흘러서 그치지 않을 때는 통마늘 네다섯 개를 짓이겨

발바닥 가운데에 붙인 후 종이로 싸매면 비구증이 저절로 그친다(종행).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塞][비색]   (0) 2020.02.05
[鼻衄][비뉵]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0) 2020.02.05

[鼻淵][비연]
內經曰, 膽移熱於腦, 則辛頞鼻淵.

鼻淵者, 濁涕下不止也. 傳爲衄衊瞑目.

註曰, 膽液下注, 爲濁涕, 下不已如水泉, 故曰鼻淵也.

久而不已, 必成衄血, 失血多, 故目視瞑暗也.

내경에서는 "담이 뇌로 열을 옮기면 콧마루가 매콤하고 비연증이 된다.

 비연(鼻淵)이란 누런 콧물이 흘러서 그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전변되면 코피가 나고[衄衊] 눈이 어두워진다[瞑目]"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 "뇌액(腦液)이 아래로 흐르면 누런 콧물이 되는데

샘물처럼 그치지 않고 흐르기 때문에 비연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래도록 낫지 않으면 반드시 코피가 나서 피를 많이 흘리므로 눈이 어두워진다.

鼻淵者, 外寒束內熱之證也[正傳].

비연이란 밖의 찬 기[寒]가 속의 열을 묶고 있는 증(證)이다(정전).

鼻流濁涕者, 屬風熱也[回春].

누런 콧물이 흐르는 것은 풍열(風熱)에 속한다(회춘).

鼻淵, 宜黃連通聖散, 防風湯, 蒼耳散, 荊芥連翹湯.

비연에는 황련통성산, 방풍탕, 창이산, 형개연교탕 등을 쓴다.
一人鼻流濁涕, 有穢氣, 脈弦小, 右寸滑左寸澁, 先灸上星三里合谷,

次以酒芩二兩, 蒼朮, 半夏 各一兩,

辛夷, 細辛, 川芎, 白芷, 石膏, 人蔘, 葛根 各五錢.

右剉, 分七貼服之, 全愈[丹溪].  

어떤 사람이 누런 콧물이 흐르고 더러운 냄새가 나며 맥은 현소한데,

오른쪽 촌맥은 활(滑)하고 왼쪽 촌맥은 삽(澁)하였다.

먼저 상성, 삼리, 합곡에 뜸을 뜬 다음 황금(술로 법제한 것) 두 냥,

창출, 반하 각 한 냥, 신이, 세신, 천궁, 백지, 석고, 인삼, 갈근 각 닷 돈을 썰어서

7첩으로 나누어 먹으니 다 나았다(단계).  

鼻中常流臭黃水, 甚者, 腦亦痛.

俗名控腦砂, 有蟲蝕腦中.

用絲瓜藤, 近根三五尺許, 燒存性, 爲末, 酒調服, 卽愈[正傳].

콧속에서 냄새가 나는 누런 콧물이 늘 흐르고, 심하면 머리[腦]도 아프다.

민간에서는 공뇌사(控腦砂)라고도 하는데, 뇌 속을 파먹는 벌레[蟲]가 있는 것이다.

땅 위로 나온 줄기의 사과등(수세미줄기)을 뿌리 쪽에서부터 석 자에서

다섯 자 정도 소존성으로 태워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으면 바로 낫는다(정전).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衄][비뉵]   (0) 2020.02.05
[鼻鼽][비구]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0) 2020.02.05
[鼻曰玄牡之門戶][비왈현모문호]  (0) 2018.02.23

[脈法][맥법]
左寸脈, 浮緩, 爲傷風, 鼻塞流涕.
右寸脈, 浮洪而數, 爲鼻衄鼻[正傳].
왼쪽 촌맥(寸脈)이 부완(浮緩)하면 상풍증으로, 코가 막히고 콧물이 난다.
오른쪽 촌맥이 부홍(浮洪)하면서 삭(數)하면 코피가 나고 코끝이 붉어진다(정전).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0) 2020.02.05
[鼻曰玄牡之門戶][비왈현모문호]  (0) 2018.02.23
[鼻曰神廬][비왈신려]  (0) 2017.05.19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內經曰, 西方白色, 入通於肺, 開竅於鼻.
내경에서는 "서쪽과 흰색의 기[金氣]는 폐(肺)를 통하여 들어가며

외부의 기와 작용하는 구멍을 코에 낸다"고 하였다.
肺在竅, 爲鼻[正理].
폐의 구멍은 코이다(정리).
五氣入鼻, 藏于心肺, 心肺有病, 而鼻爲之不利也[正理].
오기(五氣)는 코로 들어가서 심(心)과 폐에 간직되므로

심과 폐에 병이 있으면 코가 잘 작용하지 못한다(정리).
難經曰, 肺氣通於鼻, 肺和則鼻能知香臭矣.
난경에서 "폐의 기는 코로 통하는데,

폐의 기가 조화로우면 코로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하였다.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曰玄牡之門戶][비왈현모문호]  (0) 2018.02.23
[鼻曰神廬][비왈신려]  (0) 2017.05.19

[鼻曰玄牡之門戶][코는 현빈의 문호이다]
[老子]曰 “谷神不死” 是謂玄牡 玄牡之門 爲天地根綿綿.
若存用之 不勤何謂玄牡之門.
答曰 “鼻通天氣 曰玄門, 口通地氣 曰牝戶, 口鼻乃玄牡之門戶也”(正理).
노자는 죽지 않은 곡신(谷神)을 현빈(玄牝)이라고 하며 현빈의 문호(門戶)는
천지의 근원으로 계속 존재하므로 피로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니 무엇이 현빈의 문호인가.
코는 맑은 기가 통하는 곳이므로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으로는 탁한 기가 통하므로 빈호(牝戶)라고 한다.
그러니 입과 코가 바로 현빈의 문호이다[정리].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0) 2020.02.05
[鼻曰神廬][비왈신려]  (0) 2017.05.19

[鼻曰神廬][코는 신려라고도 한다]
[黃庭經]曰 神廬之中 當修治呼吸廬間 入丹田, 神廬者 鼻也.
乃神氣 出入之門也(類聚).
[황정경]에는 “코를 잘 통하게 해야 코로 드나드는 기운이
단전(丹田)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신려(神廬)라는 것은 코인데 이곳이 바로 신기(神氣)가 드나드는 문이다[유취]. 

'[外形篇] > [鼻]'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鼻鼽][비구]  (0) 2020.02.05
[鼻淵][비연]   (0) 2020.02.05
[脈法][맥법]   (0) 2020.02.05
[鼻爲肺之竅][비위폐지규]   (0) 2020.02.05
[鼻曰玄牡之門戶][비왈현모문호]  (0) 2018.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