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哮證][효증]
哮以聲響 言喘以氣息言.
효(哮)란 소리가 울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천(喘)이란 숨쉬는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哮卽痰喘 甚而常發者(入門).
효란 바로 담천(痰喘)이 심해져 보통 발작하는 것을 말한다[입문].
哮吼者 肺竅中 有痰氣也(回春).
효후(哮吼)라는 것은 작은 기관지에 담이 있는 것을 말한다[회춘].
治哮專 主乎痰 宜吐法 吐藥中多用醋 不可用凉藥
必帶表散 此寒包熱也 必須薄滋味(丹心).
효증을 치료하자면 전적으로 담을 치료해야 하는데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토하게 하는 약에는 식초를 많이 쓰고 성질이 찬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찬 기운을 발산시켜야 한다.
그것은 찬 기운이 열을 싸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드시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단심].
哮喘 遇冷則發者 有二證.
一者 屬中外皆寒
宜 東垣 參蘇溫肺湯方見上 風寒喘,
一者 屬寒包熱 宜越婢加半夏湯等方見下 肺脹 發表之劑
或預於八九日 未寒之時 用承氣湯方見寒門下其熱 至冬寒時 無熱可包 自不發作(綱目).
효천(哮喘) 때에는 찬 기운을 받으면 발작하는데 그 증은 2가지 이다.
하나는 속과 겉이 다 찬 것에 속하는 것인데 이런 데는
동원의 삼소온폐탕(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고
다른 하나는 찬 기운이 열을 둘러싼 것에 속하는데 이런 데는
월비가반하탕(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 발산시키는 약이 좋다.
혹 8-9월 기후가 차지 않을 때 미리 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서 열을 내리면
추운 겨울에 가서 몰렸던 열이 없어지고 저절로 발작하지 않는다[강목].
一少年 病哮 十月則發一遍 正當九月十月之交 此疾不得汗泄.
宜溫散 麻黃 黃芩 每貼用6g
爲細末 入薑汁 水煎 臨臥時 服之 與小胃丹方見痰門12丸 津嚥下(丹心).
한 소년에게 효증이 있었는데 음력 10월이면 한번씩 발작하였다.
그때가 바로 9월에서 10월로 넘어가는 때이므로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수 없었다.
그리하여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마황, 속썩은풀(황금) 각각 6g씩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생강즙에 타서 물에 달여 잠잘 무렵에 먹인 다음
소위단(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12알을 머금고 녹여 먹게 하였는데 나았다[단심].
喘促 喉中如水雞響者 謂之哮 氣促而連續不能以息者 謂之喘(正傳).
숨이 차고 목구멍에서 물닭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을 효증이라고 하고
숨이 계속 차서 숨을 제대로 돌릴 수 없는 것을 천(喘)이라고 한다[정전].
哮病 氣實者 用紫金丹20丸 吐去其痰,
虛者 止服2~3丸 則不吐 臨發時 用此 劫之.
丹溪方 去豆豉 更妙.
효증 때 기가 실(實)하면 자금단(紫金丹) 20알을 먹여서 담을 토하게 하고
허(虛)하면 2-3알을 먹이는데 이때에는 토하지 않는다.
병이 발작할 무렵에 이 약으로 세게 억눌러야 한다.
단계의 처방에서 약전국을 빼고 쓰니 효과가 더 좋았다.
水哮者 因幼時 水蓄於肺 爲痰
宜金沸草散方見上 風嗽 小靑龍湯方見寒門 或葶棗散.
수효(水哮)증의 원인은 어릴 때 폐에 수기(水氣)가 몰린 것이 담으로 된 데 있다.
이런 데는 금비초산(처방은 위에 있다), 소청룡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혹은 정조산( 棗散)을 쓰는 것이 좋다.
風痰哮者 千緡導痰湯方見上.
풍담으로 생긴 효증에는 천민도담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欲斷根者 宜服定喘湯 黃芩利膈丸方見痰門.
병의 뿌리를 빼려면 정천탕, 황금이격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遇厚味發者 淸金丸(入門).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병이 발작하는 데는 청금환을 쓴다.
久不得睡者 兜鈴丸(入門).
효증이 오래되어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두령환을 쓴다[입문].
哮喘 宜用奪命丹 立定散 解表二陳湯 五虎二陳湯 三白丸(諸方)
효천증에는 탈명단, 입정산, 해표이진탕, 오호이진탕, 삼백환 등이 좋다[제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痿證][폐위증] (0) | 2020.09.20 |
---|---|
[肺脹證][폐창증] (0) | 2020.09.19 |
[喘嗽熏藥][천수훈약] (0) | 2020.09.19 |
[喘嗽劫藥][천수겁약] (0) | 2020.09.19 |
[喘嗽上氣出於腎虛][천수상기출어신허]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