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喘嗽上氣出於腎虛][천수상기출어신허]

 

夫腎虛爲病 不能納 諸氣以歸元 故氣逆而上

咳嗽痰盛 或喘或脹 隨虛多唾 足冷骨痿 胸腹百骸 俱爲之牽掣

其嗽 愈重 其聲愈乾

君子 當於受病之處 圖之可也.

신(腎)이 허하여 병이 생기면 모든 기(氣)는 제자리로 잘 돌아오지 못하고 치밀어 오른다.

그러므로 기침이 나고 가래가 성하며 혹 숨이 차고 배가 부으며 골수(骨髓)가 허해지고

침이 많아지며 발이 차며 뼈가 가늘어지고 가슴과 배와 모든 뼈마디들이 다 아프다.

기침이 더 심해지면 목이 쉰다.

이런 때에 지식 있는 의사는 병이 생긴 곳부터 치료한다.

 

抑猶有說焉 肺出氣也 腎納氣也. 肺爲氣之主 腎爲氣之藏.

凡咳嗽暴重 動引百骸 自覺氣從 臍下逆 奔而上 此腎虛 不能收氣也.

當以補骨脂安腎元方見虛勞主之 母徒從事於寧肺(直指).

폐는 기를 내보내며 신은 기를 받아들이므로 폐가 기를 주관하고 신은 기를 간직한다고 한다. 

대체로 기침이 몹시 나면 모든 뼈들이 켕기며 기가 배꼽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같이 느껴진다. 

이것은 신이 허하여 기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보골지안신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써야 한다. 

그리고 폐를 치료하는 데만 치중해서는 안 된다[직지]. 

 

下元虛冷 腎氣不得 歸元上喘 氣急

宜安腎元 八味丸 人參湯二方並見虛勞 呑下 空心(得效).

하초(下焦)의 원기가 허랭(虛冷)하여 신기가 제자리로 돌지 못하고 치밀어 올라 숨이 찬 데는 

안신원이나 팔미환(이 2가지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빈속에 인삼을 달인 물로 먹는 것이 좋다[득효].

 

咳嗽 煩寃者 腎氣之逆也(內經).

기침이 나면서 속이 답답하고 안타까운 것은 신기(腎氣)가 치밀어 오르기 때문이다[내경].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喘嗽熏藥][천수훈약]  (0) 2020.09.19
[喘嗽劫藥][천수겁약]  (0) 2020.09.19
[喘嗽聲嘶][천수성시]  (0) 2020.09.18
[喘嗽宜分虛實][천수의분허실]  (0) 2020.09.18
[喘嗽宜辨寒熱][천수의변한열]  (0) 2020.09.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