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滋火源][자화원]
問 寒病服熱藥 而寒不退 熱病服寒藥 而熱不退 其故 何也.
啓玄子曰 熱不得寒 是無水也 寒不得熱 是無火也.

寒之不寒 責其無水. 熱之不熱 責其無火.
經云 滋其火源 源旣已絶 藥之假 不能滋 其眞水火也(東垣). 
한증[寒病] 때 성질이 더운약을 써도 추운 것이 없어지지 않고

열증[熱病] 때 성질이 찬약을 써도 열이 없어지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계현자(啓玄子)가 “열증 때 성질이 찬약을 써도 차지지 않는 것은 수(水)가 없기 때문이다.

한증 때 성질이 더운약을 써도 더워지지 않는 것은 화(火)가 없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차게 하여도 차지지 않는 것은 수(水)가 없기 때문이고

덥게 하여도 더워지지 않는 것은 화(火)가 없기 때문이다.

내경에는 “생리작용의 근원[源]을 보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근원이 이미 끊어졌으면 약으로는 진수(眞水)와 진화(眞火)를 보할 수 없다[동원].
益火之源 以消陰翳 壯水之主 以制陽光 亦滋 其火源也(內經).
화(火)의 근원[源]을 보하여 흐린 음기(陰氣)를 없애고 수(水)의 근원을 보하며 양기(陽氣)를 억제하는 것이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이다[내경].
夫治寒以熱 而寒彌甚 治熱以寒 而熱彌熾者 何也?

盖不知五藏 有陰陽之性 可因其類 而取之也 假如心實生熱者 當益其腎.

腎水滋 則熱將自制矣.

腎虛生寒 當補其心 心火降 則寒將自制矣 此所謂

寒之而熱者 取之陰 熱之而寒者 取之陽也(東垣).
한증[寒]을 성질이 더운약으로 치료하였는 데도 한증이 더 심해지고

열증[熱]을 성질이 찬약으로 치료하였는 데도 열증이 더 심해지는 것은 어떻게 된 일인가.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5장(五臟)에는 각각 음양(陰陽)의 속성이 있는데

그 속성에 따라 치료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가령 심(心)이 실(實)하여 열이 날 때에는 반드시 신수(腎水)를 보해야 한다.

래야 신수가 많아지면서 열이 저절로 없어진다.

이 허(虛)하여 한증이 생겼을 때에는 심(心)을 보해야 한다.

그래야 심화(心火)가 내려가면서 한증이 저절로 없어진다.

이것이 바로 차게 하여도 열이 나는 것은 음(陰)에서 찾고

덥게 하여도 차지는 것은 양(陽)에서 찾으라는 말이다[동원].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藥貴簡要][약귀간요]   (0) 2020.04.27
[子母補瀉][자모보사]   (0) 2020.04.27
[療病五法][요병오법]   (0) 2020.04.27
[治病三法][치병삼법]   (0) 2020.04.27
[求屬之法][구속지법]   (0) 2020.04.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