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求屬之法][구속지법]
內經曰 微者 調之 其次 平之 盛者 奪之 汗之 下之
寒 熱 溫 凉 衰之以屬 隨其收利(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註曰 假如小寒之氣 溫以和之.
大寒之氣 熱以取之 甚寒之氣 則下奪之 奪之不已 則逆折之 折之不盡 則求其屬以衰之.
小熱之氣 凉以和之.
大熱之氣 寒以取之 甚熱之氣 則汗發之 發之不已 則逆制之 制之不盡 則求其屬 而衰之(東垣)
내경에 “약[微]하면 조화시킨 다음 평형되게 하고 심[盛]하면 통하게 하거나
땀을 내거나 설사시켜야 한다.
찬가[寒], 더운가[熱], 따뜻한가[溫], 서늘한가[凉], 약한가[衰]에 따라
좋은 것을 택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가령 찬 기운이 약간 있으면 따뜻한 것으로 조화시키고
찬 기운이 심하면 더운 것으로 치료하면 찬 기운이 몹시 심하면 설사시켜서 없애 버려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逆]으로 내리눌러야 한다.
내리눌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 해야 한다.
더운 기운이 약간 있으면 서늘한 것[凉]으로 조화시키고 더운 기운이 심하면 찬 것을 치료하고 더운 기운이 몹시 심하면 땀을 내서 헤쳐지게[發表] 해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으로 억제해야 한다.
억제하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衰]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동원].
求屬之法.
是同聲相應 同氣相求
經曰 陷下者 灸之. 夫衰熱之法 同前所云 火衰于戌 金衰于辰之類 是也(東垣).
소속을 찾아 치료한다는 것은 같은 것끼리 서로 응(應)하게 한다는 말이다.
내경에 “처져 내려갔으면 뜸을 뜨라”고 씌어 있다.
열(熱)을 약해지게 한다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화(火)는 술(戌)로 약해지게 하고 금(金)은 진(辰)으로 약해지게 한다는 것이다[동원].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療病五法][요병오법] (0) | 2020.04.27 |
---|---|
[治病三法][치병삼법] (0) | 2020.04.27 |
[補瀉相兼][보사상겸] (0) | 2020.04.25 |
[補瀉妙訣][보사묘결] (0) | 2020.04.25 |
[虛實補瀉][허실보사] (0) | 202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