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實補瀉][허실보사]
從前來者 爲實邪 從後來者 爲虛邪.
此子能令母實 母能令子虛 是也.
治法曰 虛則補其母 實則邪其子 假令肝受心火之邪 是從前來者 爲實邪 入肝經也.
爲引 用瀉心火藥 爲名.
若肝受腎水之邪 是從後來者 爲虛邪. 以入腎經藥 爲引 用補肝經藥 爲君 是也(東垣)
아들격인 장기에서 받은 사기를 실사(實邪)라고 하고
어머니격인 장기에서 받은 사기를 허사(虛邪)라고 하는데 이
것은 아들격인 장기가 어머니격인 장기를 실(實)하게 할 수도 있고
어머니격인 장기가 아들격인 장기를 허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치료법은 허(虛)하면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補)하고
실하면 아들격인 장기를 사(瀉)하는 것이다.
가령 간(肝)이 심화(心火)의 사기(邪氣)를 받았다면
그것은 자기의 아들격인 장기에서 받은 것이므로 실사(實邪)이다.
이때에는 간경(肝經)으로 들어가는 약은 인경약[引用]으로 하고
심화를 사하는 약을 주약[君藥]으로 해야 한다.
만약 간이 신수(腎水)의 사기를 받았다면
그것은 어머니격인 장기에서 받은 것이므로 허사(虛邪)이다.
이때는 신경(腎經)으로 들어가는 약을 인경약으로 하고
간경(肝經)을 보하는 약을 주약으로 해야 한다[동원].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瀉相兼][보사상겸] (0) | 2020.04.25 |
---|---|
[補瀉妙訣][보사묘결] (0) | 2020.04.25 |
[上工 治未病][상공 치미병] (0) | 2020.04.24 |
[汗下之戒][한하지계] (0) | 2020.04.24 |
[用藥權變][용약권변]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