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腸風臟毒][장풍장독]
卽血痔也.
장풍(腸風)과 장독(臟毒)은 곧 혈치이다.
腸澼者, 大便下血, 所謂腸風藏毒也[醫鑑].
장벽은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으로, 장풍과 장독을 말하는 것이다(의감).
如下淸血色鮮者, 腸風也.

血濁而色黯者, 藏毒也[本事].  
맑고 색이 새빨간 피가 나오는 것은 장풍이고,

탁하고 색이 어두운 피가 나오는 것은 장독이다(본사).
腸風者, 邪氣外入, 隨感隨見, 所以其色淸也.

藏毒者, 蘊積熱毒, 久而始見, 所以其色濁也.

治腸風, 以散風行濕, 治藏毒, 以淸熱凉血[丹心].
장풍은 외부에서 침입한 사기를 받는 대로 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피의 색이 맑다.

장독은 쌓인 열의 독기가 오래되어야 비로소 나타나기 때문에 피의 색이 탁하다.

장풍은 산풍행습하여 치료하고, 장독은 청열량혈하여 치료한다(단심).
腸風下血, 必在糞前, 是名近血, 色淸而鮮, 宜用敗毒散 方見寒門.

藏毒下血, 必在糞後, 是名遠血, 色黯而濁, 宜用香連丸 方見大便.

藏寒下血無痛, 宜用薑桂之屬.

積熱下血, 純下鮮血, 甚則兼痛, 宜用三黃湯丸 方見火門[醫鑑]
장풍으로 피가 나오는 경우는 반드시 대변보다 먼저 나오기 때문에 근혈이라고 한다.

피의 색이 맑고 새빨간 경우에는 패독산(처방은 한문)을 쓴다.

장독으로 피가 나오는 경우는 반드시 대변이 나온 후에 나오기 때문에 원혈이라고 한다.

피의 색이 어둡고 탁한 경우에는 향련환(처방은 대변문)을 쓴다.

장한으로 피똥을 누는데 아프지 않은 경우는 건강과 육계 같은 약을 쓴다.

쌓인 열로 피똥을 누는 경우는 오직 새빨간 피만 나오는데 심하면 아프기도 하다.

삼황탕이나 삼황환(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쓴다(의감).
大便下血曰腸風, 切勿止澁, 究其本末證狀, 先淸其表, 後攻其裏, 其血自止.

如脈洪大, 四物湯 方見血門 合黃連解毒湯 方見寒門 調治[綱目].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장풍이라고 하는데 절대로 막아서는 안 된다.

병의 본말(本末)과 증상을 잘 살펴서 먼저 겉[表]을 맑게 한 후에

속[裏]을 치면 피가 저절로 멎는다.

만일 맥이 홍대(洪大)하면 사물탕(처방은 혈문)과

황련해독탕(처방은 한문)을 합하여 쓴다(강목).
大便後下血, 腹中不痛者, 謂之濕毒下血, 黃連湯主之.

腹中痛者, 謂之熱毒下血, 芍藥黃連湯主之[易老].
대변이 나온 다음에 피가 나오고 배는 아프지 않는 경우를 습독하혈이라고 하는데,

황련탕이 주치한다.

배가 아픈 경우는 열독하혈이라고 하는데, 작약황련탕이 주치한다(역로).
腸澼者, 爲水穀與血另作一派, 如喞桶涌出也.

長夏濕熱太甚, 正當客氣盛而主氣弱, 故腸澼之病甚也.

宜凉血地黃湯, 當歸和血散, 升陽除濕和血湯[東垣].
장벽은 수곡과 피가 나뉘어 각각 하나의 줄기를 이루어

마치 펌프에서 쏟아져 나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장하(長夏)에는 습기와 열기가 매우 심하며,

이때에는 객기가 성하고 주기는 약하므로 장벽의 병이 더욱 심해진다.

양혈지황탕, 당귀화혈산, 승양제습화혈탕 등을 쓴다(동원).  
腸澼下血, 宜香殼丸, 加味香連丸, 升麻補胃湯, 益智和中湯.
장벽으로 피똥을 누는 데는 향각환, 가미향련환, 승마보위탕, 익지화중탕 등을 쓴다.
腸風, 宜香附散, 止血散, 柏葉湯, 斷紅元.
장풍에는 향부산, 지혈산, 백엽탕, 단홍원 등을 쓴다.
藏毒, 宜解毒湯, 槐花散, 枳殼散, 絲瓜散.
장독에는 해독탕, 괴화산, 지각산, 사과산 등을 쓴다.
腸風藏毒, 通用玉屑丸, 剪紅元, 芎歸丸, 槐黃丸, 槐花散, 腸風黑散, 槐黃湯, 淸榮槐花飮.
장풍과 장독에는 옥설환, 전홍원, 궁귀환, 괴황환, 괴화산, 장풍흑산, 괴황탕,

청영괴화음 등을 두루 쓴다.  

 

'[外形篇] > [後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取漏膿法][취루농법]   (0) 2020.04.01
[痔漏][치루]   (0) 2020.04.01
[瘻痔][누치]   (0) 2020.04.01
[牝痔][빈치]   (0) 2020.04.01
[牡痔][모치]   (0) 2020.03.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