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掩臍法][엄제법]
轉脬一證, 諸藥不效, 失救則死.
以甘遂末水調敷臍下, 內以甘草節煎湯飮之, 及藥汁至臍, 二藥相反, 脬自轉矣.
小水來如泉涌, 此救急之良方也.
但二藥須兩人各買, 各處劑之, 不可一處同買爲妙[鉤玄].
전포증에 여러 약이 효과가 없어서 치료하지 못하면 죽는다.
감수가루를 물에 개어 배꼽 아래에 붙이고 내복약으로는 감초 마디를 달여 마시어
약이 배꼽에 이르게 되면 감초와 감수는 상반(相反)하여 포가 저절로 돌게 된다.
그러면 오줌이 샘솟듯이 나온다. 이것이 급한 것을 구제하는 좋은 처방이다.
다만, 이 두 약은 두 사람이 각각 다른 두 곳에서 따로 사서 만들어야 하며,
한곳에서 같이 사지 말아야 효과가 있다(구현).
小便閉, 大田螺生擣細, 封臍上, 卽通[綱目].
오줌이 나오지 않는 데는 큰 우렁이를 날것으로 잘게 찧어서 배꼽 위에 붙이면 나온다(강목).
治小便不通. 麝香半夏末塡臍中, 上用葱白田螺二味擣成餠,
封臍上, 用布線縛定, 下用皂角烟入陰中, 自通.
女人, 用皂角煎湯, 洗陰戶內[回春].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사향과 반하가루로 배꼽을 메우고,
그 위에 총백과 우렁이 두 가지를 찧어 떡같이 만들어 배꼽 위에 쌓은 다음
헝겊으로 묶어서 고정시키고, 아래로는 조각을 태운
연기가 음기(陰器) 속으로 들어가게 하면 오줌이 나온다.
여자는 조각을 끓인 물로 음부를 씻는다(회춘).
治小便不通. 通臍法, 以白磁甁滿盛水, 以有字紙七重密封甁口,
於患人臍內用鹽一捻塡之, 倒置甁口, 覆在臍上, 偃臥. 如覺冷, 小便卽通[類聚].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통제법은 흰 자기 병에 물을 가득 담고
글씨가 써 있는 종이로 병의 주둥이를 7겹으로 밀봉한 다음,
환자의 배꼽을 한 줌의 소금으로 메우고 병을 거꾸로 하여 배꼽 위에 올려놓고 눕는다.
찬 느낌이 있으면 오줌이 곧 나온다(『의방유취』).
治小便癃閉不通, 宜貼臍膏 方見大便 通關散.
융폐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첩제고(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통관산을 쓴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禁][소변불금] (0) | 2019.12.20 |
---|---|
[難治不治證][난치불치증] (0) | 2019.12.19 |
[洗熨法][세위법] (0) | 2019.12.19 |
[關格宜吐瀉][관격의토사] (0) | 2019.12.19 |
[關格證][관격증]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