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關格證][관격증]
邪在六府則陽脉不和, 陽脉不和則氣留之, 氣留之則陽脉盛矣.
邪在五藏則陰脉不和, 陰脉不和則血留之, 血留之則陰脉盛矣.
陰氣太盛則陽氣不得相營, 故曰格.
陽氣太盛則陰氣不得相營, 故曰關.
陰陽俱盛, 不得相營, 故曰關格.
關格者, 不得盡其命而死矣[靈樞].
사기가 육부에 있으면 양맥이 고르지 못하고
양맥이 고르지 못하면 기가 한곳에 머무르게 되며 기가 머무르면 양맥이 왕성하게 된다.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이 고르지 못하고
음맥이 고르지 못하면 혈이 한곳에 머무르게 되며 혈이 머무르면 음맥이 왕성하게 된다.
음기가 지나치게 왕성하면
양기가 음기와 서로를 다스리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격(格)'이라고 한다.
양기가 지나치게 왕성하면
음기가 양기가 서로를 다스리지 못하기 때문에 '관(關)'이라고 한다.
음과 양이 모두 왕성하여 서로를 다스리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관격'이라고 한다.
관격이 있으면 자기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는다(영추).
關則不得小便, 格則吐逆.
關者甚熱之氣, 格者甚寒之氣.
無出曰關, 無入曰格.
寒在胸中, 遏絶不入.
熱在下焦, 塡塞不便[潔古].
관은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이며, 격은 위로 토하는 것이다.
관의 원인은 심한 열기이고, 격은 심한 한기이다.
나가지 못하는 것을 '관'이라 하고, 들어오지 못하는 것을 '격'이라고 한다.
한기가 가슴에서 꼭 막아서 음식이 들어가지 못하고
열이 하초에서 꽉 막혀서 오줌이 나가지 못한다(결고).
陰陽易位, 病名關格.
寒在胸中, 水漿不下, 故曰格.
熱在丹田, 小便不通, 故曰關[雲岐].
음양의 위치가 뒤바뀌어 생긴 병이 관격이다.
가슴에 한기가 있어서 마신 것이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격'이라 하고,
열이 단전에 있어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관'이라고 한다(운기).
關者不得小便, 格者吐逆, 上下俱病也[綱目].
관은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이며, 격은 위로 토하는 것으로,
관격은 위아래에 모두 병이 있는 것이다(강목).
內經曰, 人迎脉大於氣口四倍, 名曰格.
氣口脉大於人迎四倍, 名曰關.
내경에서는 "인영맥이 기구맥보다 4배 큰 것을 '격'이라 하고,
기구맥이 인영맥보다 4배 큰 것을 '관'이라 한다"고 하였다.
兩寸俱盛曰關格, 其證嘔逆而小便不通者是也[正傳].
양쪽 촌맥이 모두 왕성한 것을 관격이라고 하는데,
구역질을 하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이 바로 그 증상이다(정전).
此證多死, 寒在上熱在下故也[丹心].
이러한 증상으로 대개 죽는데, 찬 기운이 위에 있고 열이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단심).
大小便不通, 亦謂之陰陽關格, 乃三焦約之病也.
凡大小便不通, 內經謂之三焦約, 約者不行也.
長流水煎八正散服之[類聚].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음양 관격이라고 하는데, 삼초약(三焦約)이라는 병이다.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내경에서는 '삼초약'이라고 하였는데,
'약(約)'이란 기가 '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끓인 장류수에 팔정산을 먹는다(유취).
關格者, 謂膈中覺有所碍, 欲升不升, 欲降不降, 欲食不食, 此謂氣之橫格也[醫鑑].
관격은 가슴 부위에 막힌 느낌이 있어 올리려 하여도 오르지 않고
내리려 하여도 내려가지 않으며 먹고 싶어도 먹을 수 없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기가 가로막혔다[橫格]'라고 한다(의감).
關格, 宜芒硝湯, 大承氣湯 方見寒門.
中虛者, 補中益氣湯加檳榔, 以升降之.
痰格者, 枳縮二陳湯.
관격에는 망초탕, 대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쓰고,
중초의 기가 허한 사람은 보중익기탕에 빈랑을 넣어 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며,
담이 막힌 경우는 지축이진탕을 쓴다.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洗熨法][세위법] (0) | 2019.12.19 |
---|---|
[關格宜吐瀉][관격의토사] (0) | 2019.12.19 |
[轉脬證][전포증] (0) | 2019.12.19 |
[癃閉宜瀉][융폐의사] (0) | 2019.12.18 |
[癃閉宜吐][융폐의토]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