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癰疽發病之原]옹저발병지원] 

榮氣不從 逆於肉理 乃生癰腫(內經 生氣通天論篇 第三)
영기(榮氣)가 잘 돌지 못하고 살결로 몰리면 옹종(癰腫)이 생긴다.
腎移寒於肝 癰腫少氣. 脾移寒於肝, 癰腫筋攣 (內經 氣厥論篇 第三十七)
신(腎)의 찬기운이 간(肝)에 전해가면 옹종이 생기고 기운이 없어진다.
비(脾)의 찬기운이 간에 전해가면 옹종이 생기고 힘줄이 가드라든다.
諸癰腫 筋攣骨痛, 此寒氣之腫, 八風之變也(內經 脈要精微論篇 第十七).
여러 가지 옹종으로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가 아픈 것은 찬기운으로 붓기 때문이다.
이것이 8풍(八風)의 변증이다.
膏梁之變 足生大丁 受如持虛(內經 生氣通天論篇 第三).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흔히 큰 정창(丁瘡)이 생기는데
이것은 마치 빈그릇으로 물건을 받는 것과 같은 것이다[내경].
『帝』曰 癰疽何以別之?
『岐伯』曰 營衛稽留於經脈之中 則血澁而不行,
不行則衛氣從之而不通 壅遏而不得行
故熱 大熱不止 熱勝 則肉腐, 肉腐 則爲膿.
然不能陷骨髓 不爲焦枯 五臟不爲傷 故命曰癰 (靈樞 癰疽 第八十一).
황제(黃帝)가 “옹(癰)과 저(疽)는 어떻게 갈라 보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영위(榮衛)가 경맥 속에 머물러 있으면
피가 잘 돌지 못하게 되는데 피가 잘 돌지 못하면 위기도 잘 돌지 못하고 막힌다.
이와 같이 돌지 못하면 열이 난다.
그리고 열이 심하게 계속 나면 살이 썩는데 살이 썩으면 고름이 생긴다.
그러나 살이 뼈있는 데까지는 꺼져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골수(骨髓)는 마르지 않고 5장(五臟)도 상하지 않는데
이것을 옹(癰)이라고 한다”고 대답하였다.
熱氣淳盛 下陷肌膚 筋髓枯 內連五臟 血氣竭 當其癰下 筋骨良肉皆無餘
故命曰疽(靈樞 癰疽 第八十一).
열이 몹시 나서 살이 꺼져 들어가고 힘줄과 골수가 마르며
속으로는 5장에까지 미치고 혈기가 줄어들며
힘줄과 뼈, 성한 살이 다 상하는 것을 저(疽)라고 한다[영추].
六府不和 則留結爲癰(脈度 第十七)
又云 三陽發病 下爲癰腫 三陽乃足太陽膀胱經 卽腦疽 背癰 臀癰之類是也.
(內經 陰陽別論篇 第七)
6부(六府)가 고르지 못하면 몰려서 옹이 생긴다.
또는 3양(三陽)에 병이 생기면 그것이 아래로 내려가서 옹종이 된다.
3양이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인데,
즉 뇌저(腦疽), 배옹(背癰), 둔옹(臀癰)이 생기는 곳이다[내경].
癰疽 因陰陽相滯而生 盖氣陽也 血陰也,
血行脈內 氣行脈外 周流不息 寒濕搏之則凝滯而行遲 火熱搏之 則沸騰而行速
氣得邪而鬱 津液稠粘 爲痰 爲飮, 積久滲入脈中 血爲之濁 此陰滯陽而爲癰,
血得邪而鬱 隧道阻隔 或溢 或結, 積久溢出脈外 氣爲之亂 此陽滯於陰
而爲疽(丹心).
옹저는 음양이 서로 엉켜서 생긴다.
대체로 기(氣)는 양이고 혈(血)은 음이다.
혈은 맥 안에서 돌고 기는 맥 밖으로 쉬지 않고 도는데
한습이 침범하면 막혀서 더디게 돌아간다.
화열(火熱)이 침범하면 끓어 오르기 때문에 빨리 돌아가다가 사기를 만나서
한 곳에 몰리면 진액이 걸쭉해져 담(痰)이 되고 음(飮)이 되는데
오래되면 이것이 맥 속으로 스며들어가므로 혈(血)이 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어 생긴 옹은 음에 양이 막혀서 된 것이다[단심].
癰者壅也, 疽者沮也.
血氣壅沮 寒熱不散 陰滯於陽則發癰,
陽滯於陰則發疽,所發無定處也.
옹(癰)이란 막힌다는 ‘壅’자의 뜻과 같다.
저(疽)라는 것은 걸린다는 ‘沮’자의 뜻과 같다.
혈기가 막히고 찬기운과 열이 흩어지지 못할 때
음에 양이 막히면 옹이 생기고 양이 음에 막히면 저가 생기는데
생기는 곳은 일정하지 않다.
六府 蘊熱騰出於膚肉之間 其發暴盛 腫而光軟 皮薄以澤 侵展廣大者爲癰,
五藏 蘊熱攻焮乎筋骨之內 其發停蓄 狀如㾦 皮厚以堅 淡白焦枯者 爲疽(直指).
6부(六府)에 있던 열이 힘살 사이로 나가면서 갑자기 성(盛)해지면 몹시 붓는데
윤기가 나고 말랑말랑하며 피부가 얇아지면서 번들번들해진다.
그리고 넓게 퍼지는데 이것이 옹(癰)이다.
5장(五藏)에 몰린 열이 힘줄과 뼈 속까지 뻗치면 화끈화끈 달고 오래되면
생김새가 두드러기가 겹친 것 같은 것이 생긴다.
그리고 피부가 두터워지면서 뜬뜬해지고 허옇게 되며 습하지는 않은데
이것이 저(疽)이다[직지].
癰發於六府 若燎原之火 外潰肌肉, 疽發於五藏 若陶室之隧 乃鎖骨髓(入門).
옹이라는 것은 6부와 관련되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무연한 벌판에 불 붙는 것과 같이 살이 겉으로 터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저라는 것은 5장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질그릇 굽는 굴 속과 같아서 속으로 골수가 상한다[입문].
凡 鬱抑傷心 及久患消渴 必發癰疽 丁瘡 宜愼之(俗方).
억울한 일을 당하여 마음이 상하거나 소갈병이 오래되면
반드시 옹저(癰疽)나 정창(丁瘡)이 생기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속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