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硫黃][유황]

生用治疥癬及惡瘡 嗅其臭不止 可愈 疥瘡(本草).

유황(생것)은 옴과 버짐, 악창으로 냄새가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옴으로 진문 데도 좋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銀][수은]  (0) 2020.12.17
[雄黃][웅황]  (0) 2020.12.17
[久漏瘡][구누창]  (0) 2020.12.15
[熟犬肉][숙견육]  (0) 2020.12.15
[蝮蛇膽][복사담]  (0) 2020.12.15

[久漏瘡][구누창]  

 

久漏瘡 足內踝上一寸 灸3壯, 

在上則灸肩井 鳩尾(東垣).

오랜 누창 때에는 발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1치 되는 곳에 뜸을 3장 뜬다.

누창이 윗도리에 생겼을 때에는 견정혈(肩井穴)과 구미혈(鳩尾穴)에 뜸을 뜬다[동원].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黃][웅황]  (0) 2020.12.17
[硫黃][유황]  (0) 2020.12.17
[熟犬肉][숙견육]  (0) 2020.12.15
[蝮蛇膽][복사담]  (0) 2020.12.15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熟犬肉][숙견육] 

肛漏多孔 熟犬肉 蘸藍汁 食之 七日差(得效).

치루[肛漏]로 구멍이 많이 생겼을 때에는

잘 익힌 개고기에 쪽즙(藍汁)을 묻혀서 7일 동안 먹으면 낫는다[득효].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硫黃][유황]  (0) 2020.12.17
[久漏瘡][구누창]  (0) 2020.12.15
[蝮蛇膽][복사담]  (0) 2020.12.15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蝮蛇膽][복사담]   

蝮蛇膽 取汁塗之(本草). 

살무사의 담즙을 바르면 낫는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漏瘡][구누창]  (0) 2020.12.15
[熟犬肉][숙견육]  (0) 2020.12.15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煉松枝][연송지]  

煉松枝 塡瘡口 令滿日三易 卽效(本草).

졸인 송진을 헌데에 가득 채워 넣는데 하루 세번씩 갈아 넣으면 낫는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熟犬肉][숙견육]  (0) 2020.12.15
[蝮蛇膽][복사담]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鰻鱺魚][만려어]  (0) 2020.12.14

[鯉魚腸][잉어장]  

鯉魚腸 火灸 封瘡口 半日許 覺痒 開看虫出差(本草).

잉어(鯉魚)의 내장을 불에 구워서 헌데에 한나절 동안 놓아두면 가렵다.

이 때에 헌데를 보아 벌레가 많아 나왔으면 낫는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蝮蛇膽][복사담]  (0) 2020.12.15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鰻鱺魚][만려어]  (0) 2020.12.14
[鼴鼠][언서]  (0) 2020.12.14

[蠐螬虫][제조충]  

取蠐螬虫剪去兩頭 安瘡口上 以艾炷灸之7壯一易

不過7枚 無不效(東垣). 

굼벵이를 대가리와 꽁무니를 잘라 버리고 헌데 위에 놓은 다음 약쑥뜸을 7장을 뜬다.

한번 뜨고는 굼벵이를 버리는데 이와 같이 일곱번 하지 않아서 낫는다[동원].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鰻鱺魚][만려어]  (0) 2020.12.14
[鼴鼠][언서]  (0) 2020.12.14
[橡斗子][상두자]  (0) 2020.12.14

[鰻鱺魚][만려어 / 뱀장어] 

鰻鱺魚 取膏 塗之 幷食 其肉甚效(本草).

뱀장어 기름을 내어 헌데에 바르고 그 고기를 먹어도 아주 좋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鼴鼠][언서]  (0) 2020.12.14
[橡斗子][상두자]  (0) 2020.12.14

[鼴鼠][언서 / 두더지]

鼴鼠 燒取膏 塗之 最妙(本草).

두더지를 태우면서 기름을 받아 바르면 잘 낫는다[본초].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鰻鱺魚][만려어]  (0) 2020.12.14
[橡斗子][상두자]  (0) 2020.12.14

[橡斗子][상두자 / 상수리]

橡斗子12箇 一實黃丹 一實白礬 兩藥相合

定麻皮纏了 燒存性 硏細 入麝香少許 洗淨糝之

名曰 烏金散(資生). 

상수리깍지(橡斗子) 12개.

위의 약에서 6개에는 백반을 가득 채워 넣고

6개에는 황단을 가득 채워 넣어서 서로 마주대고 삼끈으로 동여 맨다.

이것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서 사향 1g과 섞어서 쓰는데

헌데를 깨끗하게 씻은 다음 뿌린다.

이것을 오금산(烏金散)이라고 한다[제생].  

'[雜病篇] > [諸瘡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煉松枝][연송지]  (0) 2020.12.15
[鯉魚腸][잉어장]  (0) 2020.12.15
[蠐螬虫][제조충]  (0) 2020.12.15
[鰻鱺魚][만려어]  (0) 2020.12.14
[鼴鼠][언서]  (0) 2020.1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