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挫閃腰痛][좌섬요통]
擧重勞傷, 或挫閃墜落, 以作痛, 亦謂之腰痛.
宜獨活湯, 乳香趁痛散, 如神湯, 舒筋散, 立安散, 神麴酒.
무거운 것을 들다가 힘에 겨워 다치거나 삐끗하거나 떨어져서 아프게 되는데,

이것을 개요통(腰痛)이라고도 한다.
독활탕, 유향진통산, 여신탕, 서근산, 입안산, 신곡주 등을 쓴다.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腰痛][풍요통]   (0) 2020.03.03
[瘀血腰痛][어혈요통]   (0) 2020.03.02
[食積腰痛][식적요통]   (0) 2020.03.02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食積腰痛][식적요통]
因醉飽入房, 濕熱乘虛入腎, 腰痛難以俛仰, 四物湯 方見血門 合二陳湯 方見痰飮

加 麥芽 神麴 葛花 縮砂 杜冲 黃柏 官桂 枳殼 桔梗, 煎服.

痛甚者, 宜速效散[入門].  
술에 취하거나 음식을 많이 먹고 성생활을 하여 습열(濕熱)이 허한 틈을 타서

신(腎)에 들어가 허리가 아파 구부리거나 펴는 것이 어려운 데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을 합한 것에

맥아, 신곡, 갈화, 사인, 두충, 황백, 육계, 지각, 길경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

통증이 심한 데는 속효산을 쓴다(입문).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瘀血腰痛][어혈요통]   (0) 2020.03.02
[挫閃腰痛][좌섬요통]   (0) 2020.03.02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痰飮腰痛][담음요통]
脈滑者伏者. 是痰飮痛也[丹心].
맥이 활(滑)하거나 복(伏)한 것은 담음(痰飮)으로 아픈 것이다(단심).
痰飮流注經絡, 腰背疼痛,

二陳湯, 或芎夏湯 並見痰飮 加 南星 蒼朮 黃柏, 或用控涎丹 方見痰飮.
담음이 경락을 돌아다녀 허리와 등이 아픈 데는

이진탕이나 궁하탕(두 처방 모두 담음문)에 남성, 창출, 황백을 더 넣어 쓰거나,

공연단(처방은 담음문)을 쓴다.
痰飮腰痛, 宜南星半夏, 加快氣藥佐之[丹心].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데는

남성과 반하에 기를 잘 돌려주는 약을 더 넣어 도와주어야 한다(단심).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挫閃腰痛][좌섬요통]   (0) 2020.03.02
[食積腰痛][식적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脈法][맥법]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脈大者, 腎虛腰痛也[丹心].
맥(脈)이 대(大)하면 신(腎)이 허하여 허리가 아프다(단심).
腎虛者, 疼之不已者, 是也[丹心].
신이 허한 경우에는 통증이 멎지 않는다(단심).
房慾傷腎, 精血不足養筋.

陰虛悠悠痛, 不能擧者, 六味地黃元,

或八味元 方並見虛勞, 加鹿茸, 當歸, 木瓜, 續斷[東垣].
지나친 성생활로 신을 상하면 정혈(精血)이 힘줄[筋]을 충분히 기르지 못한다.

음이 허하여 은은히 아프면서 허리를 펼 수 없으면 육미지황원이나

팔미원(두 처방 모두 허로문)에 녹용·당귀·모과·속단을 더 넣어 쓴다(동원).
腎虛腰痛, 宜靑娥元, 加味靑娥元, 壯本丹, 局方安腎丸, 補髓丹.
신허요통에는 청아원, 가미청아원, 장본단, 국방안신원·보수단 등을 쓴다.
陽虛腰軟, 不能運用, 宜九味安腎丸, 百倍丸, 杜冲丸, 補腎湯.
양이 허하여 허리에 힘이 없어 움직일 수 없으면 구미안신환, 백배환, 두충환, 보신탕 등을 쓴다.
腰軟者, 肝腎伏熱, 治用黃柏防己[醫鑑].
허리에 힘이 없는 것은 간신(肝腎)에 열이 잠복해 있는 것이므로

황백과 방기를 써서 치료한다(의감).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積腰痛][식적요통]   (0) 2020.03.02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脈法][맥법]   (0) 2020.03.02
[腰爲腎府][요위신부]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有腎虛, 有痰飮, 有食積, 有挫閃, 有瘀血,

有風, 有寒, 有濕, 有濕熱, 有氣, 凡十種.
요통에는 신허요통, 담음요통, 식적요통, 좌섬요통, 어혈요통,

풍요통, 한요통, 습요통, 습열요통, 기요통 등 모두 열 가지가 있다.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脈法][맥법]   (0) 2020.03.02
[腰爲腎府][요위신부]   (0) 2020.03.02
[腰圍度數][요위도수]   (0) 2017.05.25

[脈法][맥법]   
按之至骨, 脈氣少者, 腰脊痛而身有痺也[內經].

뼈가 닿게 눌러야 맥이 잡힐 정도로 맥의 기(氣)가 적으면

허리뼈가 아프고 몸이 저린 것이다(내경).

尺脈沈, 腰背痛.

척맥이 침(沈)하면 허리와 등이 아프다.

腰痛之脈皆沈弦,

沈弦而緊者爲寒, 沈弦而浮者爲風,

沈弦而濡細者爲濕, 沈弦而實者爲挫閃[脈經].

허리가 아픈 맥은 모두 침현(沈弦)하다.

맥이 침현하며 긴(緊)한 것은 한요통이고, 침현하며 부(浮)한 것은 풍요통이며,

침현하며 유세(濡細)한 것은 습요통이고, 침현하며 실(實)한 것은 좌섬요통이다(맥경).

腰痛脈必沈而弦, 沈爲滯, 弦爲虛, 澁是瘀血.

緩者是濕, 滑者伏者是痰, 大者是腎虛也[丹心].

요통 때의 맥은 반드시 침하고 현한데,

침한 것은 막힌 것[滯]이고 현한 것은 허(虛)한 것이다.

삽(澁)한 것은 어혈요통이며, 완맥(緩脈)은 습요통이고,

활맥(滑脈)과 복맥(伏脈)은 담음요통이며, 대맥(大脈)은 신허요통이다().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腰爲腎府][요위신부]   (0) 2020.03.02
[腰圍度數][요위도수]   (0) 2017.05.25

[腰爲腎府][요위신부]
腰者, 腎之府, 轉搖不能, 腎將憊矣[內經].
허리는 신(腎)의 집이므로 허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면

앞으로 신이 쇠약해지게 된다(내경).
腰者, 腎之外候, 一身所恃, 以轉移開闔者也.

然諸經貫於腎, 絡於腰脊, 雖外感內傷, 種種不同, 必腎虛而後邪能湊之.

故不可純用凉藥, 亦不可純用蔘芪補氣也[入門].
허리는 신의 상태가 밖으로 드러나는 곳이며,

허리에 의지해서 온몸을 움직이고 구부렸다 폈다 한다.

그런데 모든 경맥이 신을 거쳐서 허리뼈를 얽고 있으므로

비록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의 병이 여러 가지로 다르더라도

반드시 신이 허한 뒤에야 사기가 신에 침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늘한 약만 써서도 안 되고, 인삼과 황기같이 기를 보하는 약만 써서도 안 된다(입문).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脈法][맥법]   (0) 2020.03.02
[腰圍度數][요위도수]   (0) 2017.05.25

[腰圍度數][허리 둘레의 치수]
腰圍4尺2寸(靈樞 骨度 第十四).
허리 둘레는 4자 2치이다[영추].
腰脊者 身之大關節也(靈樞 刺節眞邪 第七十五).
허리뼈는 몸에서 제일 큰 관절이다[영추].

'[外形篇] > [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腰痛][담음요통]   (0) 2020.03.02
[腎虛腰痛][신허요통]   (0) 2020.03.02
[腰痛有十][요통유십]   (0) 2020.03.02
[脈法][맥법]   (0) 2020.03.02
[腰爲腎府][요위신부]   (0) 2020.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