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乳汁][하유즙]  
氣滯乳少者, 宜漏蘆散, 氣塞乳少者, 宜涌泉散[入門].
기(氣)가 얹혀서 젖이 적으면 누로산을 쓰고, 기가 막혀서 젖이 적으면 용천산을 쓴다(입문).
益元散 方見暑門 以冷薑湯, 或井水調, 日三服, 下乳汁, 最妙[入門].
익원산(서문에)을 생강을 달여 식힌 물이나 우물물에 하루 세 번씩 타서 먹으면

젖을 나오게 하는 데 가장 좋다(입문).
下乳汁, 宜猪蹄湯 方見上, 通乳湯, 通草湯, 立效方, 鍾乳散 卽上乳粉服法也.
젖을 나오게 하는 데는 저제탕(처방은 앞에), 통유탕, 통초탕, 입효방,

종유산(곧 앞에서 말한 종유분 먹는 방법이다) 등을 쓴다.

[産後乳汁不行有二][산후유즙불행유이]
乳汁不行有二種, 有氣血盛而壅閉不行者, 有氣血弱而枯涸不行者.  

虛當補之, 實當踈之.

踈用通草漏蘆土瓜輩.

補用鍾乳粉猪蹄鯽魚之類[三因].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기혈(氣血)이 너무 성하여 막혀서 나오지 않는 것이 있고,

반면에 기혈이 너무 약하여 말라서 나오지 않는 것이 있다.

허한 것은 보해야 하고 실한 것은 소통시켜야 하는데,

소통시키는 데는 통초, 누로, 토과 등을 쓰고,

보하는 데는 종유분, 저제, 붕어 등을 쓴다(삼인). 
累經產而無乳者, 亡津液故也, 須服滋益之藥以動之.

雖有乳却, 又不甚多者, 須服通經之藥以動之, 仍以羹臛引之.

盖婦人之乳, 資於衝脈與胃經通故也.

大抵婦人素有疾在衝任經者, 乳汁少而色黃, 所生之兒, 怯弱多病[良方].
여러 번 아이를 낳아서 젖이 나오지 않는 사람은 진액이 말랐기 때문인데,

불려주고 늘려주는[滋益] 약을 먹어서 나오게 해주어야 한다.

비록 젖이 있으나 나오다 말거나 그리 많지 않을 때는

경맥을 통하게 하는 약을 써서 통하게 한 다음 고깃국으로 끌어내야 한다.

부인의 젖이 나오는 것은 충맥(衝脈)과 위경(胃經)이 서로 통하였기 때문이다.

부인이 평소에 충맥경과 임맥경에 병이 있으면 젖이 적고 색도 누르스름하며

태어난 아기는 겁이 많고 마음이 약하며 병이 많다(양방).   
氣血虛弱, 乳汁少者, 鍾乳粉二錢, 漏蘆濃煎湯, 調服,

或猪懸蹄一隻, 通草五兩, 煮汁服, 或鯽魚木通, 煮汁服, 亦好[入門].
기혈이 약하여 젖이 적은 데는 누로를 진하게 달인 물에 종유분 두 돈을 타서 먹거나,

저현제 한 개와 통초 닷 냥을 달여 먹거나, 붕어와 목통을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外形篇] > [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兒則當消乳][[무아즉당소유]   (0) 2020.02.27
[産前乳出][산전유출]   (0) 2020.02.27
[下乳汁][하유즙]   (0) 2020.02.27
[男女乳腎爲根本][남여유신위근본]  (0) 2020.02.27
[乳間度數][유간도수]  (0) 2017.05.25

[男女乳腎爲根本][남여유신위근본]
男子以腎爲重, 婦人以乳爲重, 上下不同, 而性命之根, 一也[直指].
남자는 생식기[腎]가 중요하고 부인은 젖이 중요한데,

아래와 위가 서로 같지는 않으나 타고난 바탕[性命]의 뿌리는 하나이다(직지).
女人屬陰, 陰極則必自下而上衝, 故乳房大, 而陰戶縮也.
男子屬陽, 陽極則必自上而下降, 故陰莖垂, 而乳頭縮也[入門].
여자는 음(陰)에 속하는데, 음이 극에 이르면 반드시 아래로부터 위로 치밀어오르므로

젖은 커지고 생식기가 오므라든 것이다.

남자는 양(陽)에 속하는데, 양이 극에 이르면 반드시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므로

음경은 늘어지고 젖꼭지가 오므라든 것이다(입문).    

'[外形篇] > [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兒則當消乳][[무아즉당소유]   (0) 2020.02.27
[産前乳出][산전유출]   (0) 2020.02.27
[下乳汁][하유즙]   (0) 2020.02.27
[産後乳汁不行有二][산후유즙불행유이]   (0) 2020.02.27
[乳間度數][유간도수]  (0) 2017.05.25

[乳間度數][젖몸의 치수]
兩乳之間 廣9寸半(靈樞 骨度第十四).
양쪽 젖몸 사이의 너비는 9치 반이다[영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