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腫治法][수종치법]

 

治腫脹大法 宜補中 行濕 利小便,

以人蔘 白朮爲君,

蒼朮 陳皮 茯苓爲臣,

黃芩 麥門冬爲使 以制肝木,

少加厚朴 以消腹脹, 氣不運 加木香 木通,

氣下陷 加升麻 柴胡 此補中治濕湯方也(丹心).

수종으로 부은 것을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은 중기(中氣)를 보하고

습을 빠지게 하며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삼과 흰삽주(백출)를 주약으로 하고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을

신약으로 하며 속썩은풀(황금), 맥문동을 좌사약으로 하여 간목(肝木)을 억제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박을 좀 넣어 써서 배가 불러 오른 것을 내려야 한다.

기가 잘 돌지 못할 때에는 목향, 으름덩굴(목통)을 넣고 기가 아래로 내려 처졌을 때에는

승마와 시호를 넣는데 이렇게 한 약이 바로 보중치습탕이다[단심].

 

治浮腫 宜以辛散之, 以苦泄之, 以淡滲利之,

使上下分消, 其濕正所謂 “開鬼門 潔淨府”, 開鬼門者 謂發汗也,

潔淨府者 利小便也(東垣).

부종을 치료할 때에는 맛이 매운 약으로 헤치고 맛이 쓴 약으로 설사시키며

맛이 싱거운 약으로 스며 나가게 하여 상초와 하초로 습이 갈라져 나가 없어지게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귀문(鬼門)을 열고 정부(淨腑)㈜를 깨끗하게 하는 것이다.

귀문을 연다는 것은 땀을 낸다는 것이고 정부를 깨끗하게 한다는 것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는 것이다[동원].

 

夫爲腫之水 乃腐濁之氣,

滲透經絡 流走谿谷 灌入隧道 血亦因之而化水 欲藉脾土 以制之,

導腎氣以利之, 殊不知脾病 則金氣衰, 木寡於畏而來侮土, 脾欲不化之職,

肺氣下降, 滲道開通, 使敗濁之氣 稍淸者 復回而爲氣 爲血 爲津液,

甚者 在上爲汗, 在下爲尿, 以漸而分消矣(丹心).

대체로 부종을 생기게 하는 물은 썩고 탁한 기운이 경락으로 스며들고 

작은 혈맥에 들어갔다가 큰 혈맥으로 들어가서 혈이 변화되어 생긴 물이다. 

이것을 비토(脾土)로써 억제하려면 신기(腎氣)를 유도하여 물을 나가게 해야 한다. 

그리고 비에 병이 생기면 폐금의 기가 쇠약해져 간목을 약하게 억누르게 된다. 

그러면 간목이 비토를 더 억누르게 되므로 비가 병들게 된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이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심경(心經)의 화를 내리고 비토를 보양하여 소화작용이 잘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폐기(肺氣)가 아래로 내려오므로 물길이 열리고 썩고 탁한 기운이 좀 맑아지는데 

이것은 기혈이 되고 진액이 된다. 

다 맑아지면 위에 있는 것은 땀이 되고 아래에 있는 것은 

오줌으로 갈라져 나오므로 점차 부종이 내린다[단심]. 

 

諸有水者 腰以下腫 當利小便 宜五苓散方見寒門 澤瀉散 神助散.

腰以上腫 當發汗乃愈 宜麻黃甘草湯 越婢湯 防己茯苓湯(仲景).

여러 가지 수기로 허리 아래가 부었을 때에는 반드시 오줌이 잘 나가게 해야 하는데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택사산, 신조산을 쓴다.

허리 위가 부었을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하는데 마황감초탕, 월비탕, 방기복령탕을 쓴다[중경].

 

陽水 宜八正散方見小便 或人蔘敗毒散方見寒門

加麻黃 防風 黃芩 梔子服

陰水 宜實脾散 胃苓湯 復元丹(諸方).

양수(陽水)에는 팔정산(처방은 오줌문에 있다)이나

인삼패독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마황, 방풍, 속썩은풀(황금), 산치자를 넣어서 쓴다.

음수(陰水)에는 실비산, 위령탕(胃笭湯), 복원단을 쓴다[저방].

 

他病久則皆能變水 因雨濕而浮腫

宜平胃散方見內傷 加白朮 赤茯苓 草豆蔲 且服導滯通經湯(寶鑑).

다른 병도 오래되면 모두 수종으로 변할 수 있다. 

비를 맞았거나 습기를 받아서 생긴 부종에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초두구를 넣어서 쓴다. 

또는 도체통경탕도 쓴다[보감]. 

 

飮水過多而浮腫, 宜胃苓湯方見大便 加減胃苓湯 退腫塌氣散(聖惠).

물을 많이 마셔서 생긴 부종에는 위령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가감위령탕(加減胃 湯), 퇴종탑기산을 쓴다[성혜]. 

 

久喘後水氣 宜分氣飮 葶藶丸

오랫동안 천식을 앓은 뒤에 생긴 수기에는 분기음, 정력환을 쓴다. 

 

久瘧變水氣 宜黃甲丸方見瘧門 退黃丸方見血門

학질을 오랫동안 앓다가 수기가 생긴 데는 

황갑환(처방은 학질문에 있다), 퇴황환(退黃丸, 처방은 황달문에 있다)을 쓴다. 

 

久痢變水氣 宜加味腎氣丸 或補中益氣湯方見內傷加炮附子久服

이질을 앓다가 수기가 생긴 데는 가미신기환이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부자(싸서 구운 것)를 넣어서 오랫동안 먹는다. 

 

瘧痢後 通用五皮散(入門).

학질이나 이질을 앓은 뒤에 생긴 수종에는 오피산을 두루 쓴다[입문]. 

 

水蠱證 黃米丸 漆雄丸 靑木香元方見前陰(入門).

수고증(水蠱證)에는 황미환, 칠웅환, 청목향원(靑木香元)을 쓴다[입문]. 

 

瀉濕泄水 宜三花神祐丸方見下門 煨腎丸 神助散(入門).

습을 없애고 물을 빼는 데는 삼화신우환(처방은 설사문에 있다), 외신환, 신조산(神助散)을 쓴다[입문]. 

 

瘡疥變水腫 宜赤小豆湯(入門).

헌데나 옴을 앓다가 수종이 생긴 데는 적소두탕을 쓴다[입문]. 

 

水腫 泄瀉 宜葶藶木香散 大橘皮湯(丹心).

수종 때 설사가 나면 정력목향산, 대귤피탕을 쓴다[단심].

'[雜病篇] > [浮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結陽證][결양증]  (0) 2020.10.19
[十水證][십수증]  (0) 2020.10.19
[脈法][맥법]  (0) 2020.10.18
[水病有五種][수변유오종]  (0) 2020.10.18
[浮腫形證][부종형증]  (0) 2020.10.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