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急下兩證][급하양증]

 

少陰主腎 繫舌本 熱氣入藏 留於少陰之經 腎汁乾 咽路焦 故口燥 咽乾 而渴 宜急下之.

非若陽明宜下 而可緩也 雖然陽明一證 發熱 汗多 亦急下之 以胃汁乾 故也(活人).

소음경은 신()을 주관하며 혀뿌리와 연결되어 있다.

열기(熱氣)5장에 들어가 소음경에 머무르면 신의 진액이 마르고

목구멍이 타는 것 같기 때문에 입과 목 안이 말라서 갈증이 난다.

이때는 빨리 설사를 시켜야 한다.

양명병에 설사시킬 때에 천천히 시키는 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양명경증에 열이 나며 땀이 많이 나도 빨리 설사시킬 것이다.

이것은 위액(胃液)이 마르기 때문이다[활인].

 

少陰證 口燥 咽乾 謂之腎汁乾 宜急下之 陽明證 發熱 汗多 謂之胃汁乾 亦急下之(活人).

소음증으로 입 안과 목이 마르는 것은 신의 진액이 마르는 것인데 빨리 설사시킬 것이다.

양명증에 열이 나고 땀이 많은 것은 위액이 말라드는 것이므로 역시 빨리 설사시킬 것이다[활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