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藥大體][용약대체]
內經 (陰陽應象大論篇 第五)曰 病之始起也 可刺而已.
其盛 可待衰而已.
故因其輕而揚之 因其重而減之 因其衰而彰之.
其高者 因而越之 其下者 因而竭之 中滿者 瀉之於內.
其有邪者 漬形以爲汗 其在皮者 汗而發之
其慓悍者 按而收之 其實者 散而瀉之(陰陽應象大論篇 第五).
내경에 “병이 생긴 초기에는 침을 놓아서 낫게 해야 하고
병이 한창 심해지는 때에는 병이 덜릴 때까지[可待衰] 치료해야 한다.
병이 경(輕)하면 발산[揚]시키고 중(重)하면 덜리게[減] 하고
몸이 약하면[衰]좋아지게[彰] 하며 병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하초(下焦)에 있으면 아래로 이끌어 없어지게 해야 하며
뱃속이 그득하면 설사시키고 속에 사기가 있으면 몸이 젖도록 땀을 내야 한다.
병이 피부에 있으면 땀을 내어 발산시켜야 하고 급하고
맹렬하면 눌러서 억제해야 하고 실하면 발산시키고 설사시켜야 한다”고 씌어 있다.
寒者 熱之 熱者 寒之 微者 逆之 甚者 從之 堅者 削之 客者 除之 勞者 溫之
結者 散之 留者 攻之 燥者 濡之 急者 緩之 散者 收之 損者 益之 逸者 行之
驚者 平之 上之 下之 摩之 浴之 劫之 開之 發之 適事爲故.(內經 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차면 덥게 하고 열하면 차게 해야 한다.
경[微]하면 역치[逆]하고 심(甚)하면 종치[從]해야 한다.
굳은 것은 깎아 내고 들어온 것은 내보내며 피로하면 따뜻하게 하고
뭉쳐 있는 것은 흩어지게 하며 머물러 있는 것은 치고 말랐으면 눅여 주어야 한다.
팽팽해진 것은 늦추어 주고 흩어진 것은 거둬들이고 줄어든 것은
보하며 머물러 있는 것은 돌아가게 하고 놀란 것은 안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올라가게 하고 내려가게 하고 안마를 하고 목욕시키고
고약을 붙이고 몰아 내고 열어 주고 발산시키는 등 알맞은 방법을 써야 한다[내경].
衰者 補之 强者 瀉之 各安其氣 必淸必靜
則病氣衰去 歸其所宗 此治之大體也.(內經 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쇠약하면 보(補)하고 실[强]하면 사(瀉)하여 각기 그 기운이 편안해지게 해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깨끗해지게 하고 안정되게 하면 사기가 약해지고 원기는 회복될 것이다.
이것이 대체적인 치료방법이다[내경].
上盛不已 吐而脫之 下盛不已 不而奪之(王氷).
상초(上焦)가 실한 것이 낫지 않으면 토하게 해서 없어지게 하고
하초(下焦)가 실한 것이 낫지 않으면 설사시켜서 없어지게 해야 한다[왕빙].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病 必求於本][치병 필구어본] (0) | 2020.04.23 |
---|---|
[標本 分治歌][표본 분치가] (0) | 2020.04.23 |
[水火分治歌][수화분치가] (0) | 2020.04.23 |
[形氣用補瀉][형기용보사] (0) | 2018.02.23 |
[近世論醫][근세논의] (0) | 201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