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麻木][마목]
靈樞曰, 衛氣不行, 則爲麻木.

영추에서는 "위기(衛氣)가 잘 돌지 못하면 마목(麻木)이 생긴다"고 하였다.

靈樞曰, 開目, 則陽道行, 陽氣遍布周身,

閉目, 則陽道閉而不行, 如晝夜之分, 知其陽衰而陰旺也.

久坐而起, 亦有麻木, 知其氣不行也.

當補其肺中之氣, 則麻木自去矣[東垣].

영추에서는 "잠에서 깨면 양기가 다니는 길[陽道]이 열리므로 양기가 온몸을 두루 돌고,

잠이 들면 양기가 다니는 길이 닫히므로 양기가 돌지 못하는데,

이는 마치 밤낮의 구별이 있는 것과 같으니 이로써 양(陽)이 쇠약해지면

음(陰)이 왕성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오랫동안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 또한 마목이 생기는데

이로써 기가 흐르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위기[肺中之氣]를 보하면 마목은 저절로 없어진다(동원).

如肌肉麻, 必待瀉榮氣而愈[綱目].

근육에 쥐가 나면 반드시 피를 빼야[瀉榮氣] 낫는다(강목).

諸痺之中, 着痺, 卽麻木不仁也[綱目].

여러 가지 비증(痺證) 중에서 착비(着痺)가 바로 마목불인이다(강목).

河間曰, 着痺者, 留着不去, 四肢麻木, 拘攣也.

內經曰, 病久入深, 榮衛之行澁, 經絡時踈, 故不痛, 皮膚不榮, 故爲不仁.

夫所謂不仁者, 或周身或四肢, 喞喞然麻木, 不知痛痒如繩札縳初解之狀.

古方, 名爲麻痺者, 是也[正傳].

유완소는 "착비란 착 달라붙어서 없어지지 않는 것으로,

팔다리에 마목이 생기고 떨리면서 오그라든다"고 하였다.

내경에서는 "병이 오래되면 깊은 곳으로 들어가 영혈(榮血)과 위기가 잘 돌지 못하게 되는데,

경락이 간혹 뚫리는 때가 있으므로 아프지는 않지만 피부를 잘 길러주지 못하므로

불인(不仁)하게 된다"고 하였다.

불인이란 온몸이나 팔다리가 찌릿찌릿하게 마목이 되며 아픔이나 가려움은 잘 모르는데,

마치 줄로 묶었다가 처음 풀었을 때 나타나는 느낌과 같다.

옛날 의서에서 '마비'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정전).

麻是氣虛, 木是濕痰死血, 然則曰麻曰木, 以不仁中而分爲二也[丹心].

마(麻)는 기가 허할 때 생기고, '목(木)'은 습담이나 죽은피 때문에 생기는데,

마나 목은 불인을 둘로 나눈 것이다(단심).
手十指麻, 是胃中有濕痰死血, 痰用二陳湯 方見痰飮 加蒼白朮桃仁紅花,

少加附子行經, 血用四物湯 方見血門 加 蒼白朮 陳皮 茯苓 羌活 蘇木 紅花[醫鑑].

열 손가락이 뻣뻣한 것은 위(胃)에 습담과 죽은피가 있기 때문이다.

습담이 있으면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창출, 백출, 도인, 홍화를 더 넣어 쓰는데,

부자를 조금 넣어 경락을 잘 돌게 한다.

죽은피가 있으면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창출, 백출, 진피, 복령, 강활, 소목, 홍화를 더 넣어 쓴다(의감).

手足麻因濕者, 香蘇散 方見寒門 加 蒼朮 麻黃 桂枝 羌活 白芷 木瓜[醫鑑].

팔다리가 뻣뻣해진 것이 습(濕) 때문이면 향소산(처방은 한문)에

창출, 마황, 계지, 강활, 백지 , 모과를 더 넣어 쓴다(의감).

手足麻木, 四物湯合二陳湯, 加 桃仁 紅花 白芥子 竹瀝 薑汁 以行經[醫鑑].

팔다리가 뻣뻣할 때에는 사물탕과 이진탕을 합한 것에

도인, 홍화, 백개자, 죽력, 강즙을 더 넣어 경락을 잘 돌게 한다(의감).

渾身麻, 是氣虛也, 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加 木香 烏藥 香附 靑皮 防風 川芎, 少加桂枝行經[醫鑑].

온몸에 마목이 생기는 것은 기가 허하기 때문이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목향, 오약, 향부자, 청피, 방풍, 천궁을 더 넣고

계지를 조금 넣어 경락을 잘 돌게 한다(의감).

麻木, 宜人蔘益氣湯, 神效黃芪湯, 冲和補氣湯, 雙合湯, 開結舒經湯, 麻骨方.

마목에는 인삼익기탕, 신효황기탕, 충화보기탕, 쌍합탕, 개결서경탕, 마골방 등을 쓴다.    

 

'[外形篇] > [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索澤證][색택증]   (0) 2020.03.07
[麻骨方][마골방]   (0) 2020.03.07
[丹毒][단독]  (0) 2020.03.07
[痤疿][좌비]   (0) 2020.03.07
[癮疹][은진]   (0) 2020.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