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腎病治法][신병치법]
腎苦燥, 急食辛以潤之, 開腠理, 致津液, 通氣也.
腎欲堅, 急食苦以堅之, 用苦補之, 鹹瀉之[內經].
신은 마르는 것을 싫어하는데, 이런 때는 빨리 매운 것을 먹어서 눅여주고
주리를 열어서 진액을 보내주고 기를 통하게 하여야 한다.
신은 단단하고자 하니 빨리 쓴 것을 먹어서 단단하게 하여야 한다.
쓴 것으로 보하고 짠 것으로 사한다(내경).
腎苦燥, 宜知母黃柏.
腎欲堅, 宜知母.
補以黃柏, 瀉以澤瀉.
又曰, 腎虛宜熟地黃[東垣].
신은 마르는 것을 싫어하니 지모, 을 쓴다.
신은 단단하고자 하니 지모를 쓴다.
보(補)하려면 황백을 쓰며, 사(瀉)하려면 택사를 쓴다.
또한 신이 허하면 숙지황을 쓴다고 하였다(동원).
腎病宜食辛, 黃黍雞肉桃葱, 取其辛潤也[內經].
신병에는 기장쌀·닭고기·복숭아·파 같은 매운 것을 먹는데,
이는 그 매운맛의 눅여주는 성질을 취한 것이다(내경).
腎病宜食大豆豕肉栗藿, 取本味也[甲乙經].
신병에는 콩·돼지고기·밤·미역이 좋은데,
이것은 자기 본래의 미인 신의 미[짠맛]를 취한 것이다(갑을경).
腎病禁犯焠熱食溫炙衣[內經].
신병에는 구위법(灸熨法)을 쓰지 말고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말며
뜨겁게 불에 쬔 옷을 입지 말아야 한다(내경).
腎本無實, 不可瀉.
錢氏只有補腎地黃元.
無瀉腎之藥[綱目].
신에는 본래 실한 증상이 생기지 않으므로 신을 사(瀉)하면 안 된다.
전을(錢乙)의 처방에는 신을 보하는 지황원(地黃元)만 있고,
신을 사하는 약은 없다(강목).
左腎屬水, 水不足則陰虛, 宜補腎丸, 六味地黃丸, 滋陰降火湯.
右腎屬火, 火不足則陽虛, 宜八味丸, 加減八味丸, 溫腎散.
왼쪽 신은 수(水)에 속하는데, 수가 부족하면 음이 허해진다.
보신환이나 육미지황환, 자음강화탕을 쓴다.
오른쪽 신은 화(火)에 속하는데, 화가 부족하면 양이 허해진다.
팔미환이나 가감팔미환, 온신산을 쓴다.
'[內景篇] > [腎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絶候][신절후] (0) | 2019.11.30 |
---|---|
[兩臟同一腑][양장동일부] (0) | 2019.11.30 |
[腎病間甚][신병간심] (0) | 2019.11.30 |
[腎病虛實]신병허실] (0) | 2019.11.30 |
[腎病證][신변증] (0)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