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治聲音藥]통치성음약]
尋常聲音不淸,

宜加味固本丸, 加味上淸丸, 嘹喨丸, 發聲散, 訶子散, 訶子淸音湯, 出聲音方.
보통 목소리가 맑지 않으면

가미고본환, 가미상청환, 요량환, 발성산, 가자산, 가자청음탕, 출성음방을 쓴다.
[一方]
治一人患乾咳嗽聲瘂用.
白朮 二錢,

人蔘, 橘紅 各一錢半,

半夏麴 一錢,

白茯苓, 桑白皮, 天門冬 各七分,

甘草, 靑皮 各三分,

五味子 二十粒,

知母, 地骨皮, 瓜蔞仁, 桔梗 各五分.
作一貼, 入薑三片, 煎服.

夏加黃芩五分.

仍與四物湯入童便竹瀝薑汁幷炒黃柏.

二藥晝夜相間服, 兩月聲出而愈[丹溪].
어떤 사람이 마른기침을 하다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썼다.
백출 두 돈,

인삼, 귤홍 각 한 돈 반,

반하국 한 돈,

백복령, 상백피, 천문동 각 일곱 푼,

감초, 청피 각 서 푼,

오미자 스무 알,

지모, 지골피, 과루인, 길경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데,

여름에는 황금 다섯 푼을 더 넣는다.

이어 사물탕에 동변(童便), 죽력, 생강즙, 황백(볶은 것)을 넣어 먹는다.

이 두 가지 약을 밤낮으로 서로 바꾸어가면서 두 달을 먹으면 목소리가 나오고 낫는다(단계). 

'[內景篇] > [聲音]'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治證][불치증]   (0) 2019.11.03
[息有音][식유음]   (0) 2019.11.02
[腎怯與失音相似][신급여실음상사]   (0) 2019.11.02
[聲嘶][성시]   (0) 2019.11.02
[瘖瘂有二][음아유이]  (0) 2019.1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