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灸不可兼施][침구불가겸시]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內經]言 “鍼而不灸 灸而不鍼”,
庸醫鍼而復灸 灸而復鍼, 後之醫者 不明 軒岐之道.
鍼而復灸 灸而復鍼者 有之.
殊不知書中所言某穴在某處 或鍼幾分 或灸幾壯 此言 若用鍼當用幾分
若用灸當用幾壯 謂其穴者 不可復鍼 鍼者 不可復灸宜.
今之醫者 凡灸必先灸三壯 乃用鍼 復灸數壯
謂之[透火艾之說] 是不識 書中軒岐之旨也(神應).
내경에는 “침을 놓으면 뜸을 뜨지 말아야 하고 뜸을 뜨면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
서투른 의사는 침을 놓고는 또 뜸을 뜨며 뜸을 뜨고는 또 침을 놓는다”고 하였다.
지금 의사들은 내경의 글을 잘못 이해하고 침을 놓고는 뜸을 뜨며 뜸을 뜨고는
또 침을 놓는 일이 있다.
이것은 의학책에 어떤 침혈은 어느 곳에 있는데
침을 몇 푼 놓으며 뜸은 몇 장 뜬다고 한 것을 잘 알지 못한 것이다.
이 말은 만일 침을 놓으려면 몇 푼 놓아야 하고 뜸을 뜨려면 몇 장 떠야 하며
그 침혈에 뜸을 떴으면 다시 침을 놓지 말고
침을 놓았으면 다시 뜸을 뜨지 말라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의사들은 대체로 뜸을 뜨는데
반드시 먼저 뜸 3장을 뜨고 이어 침을 놓은 다음 또 뜸을 몇 장 뜨면서
이렇게 하여야 불기운이 들어간다고 하는데
이것은 내경의 본뜻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신응].
昔宏綱先生 嘗言惟腹上用鍼 隨灸數壯 以固其穴 他處忌之
云 此亦醫家權變之說也(神應).
배의 침혈에는 침을 놓고 또 뜸을 몇 장 떠서
그 침혈을 고정시키고 딴 곳에는 이렇게 하지 말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의사들이 그때그때 쓰는 방법이다[신응].
問[鍼經](卽靈樞經也)云 “鍼幾分 灸幾壯 鍼訖而後灸何也?
曰鍼則鍼 灸則灸 若鍼而不灸 若灸而不鍼”(綱目).
침경(즉 영추경)에 “침은 몇 푼 놓고 뜸은 몇 장 뜬다고 하였는데
침을 놓고 이어 뜸을 뜨는 것이 어떤가” 하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침을 놓을 때에는 침만 놓고 뜸을 뜰 때에는 뜸만 떠야 한다.
그러므로 침을 놓은 다음에는 뜸을 뜨지 말고
뜸을 뜬 다음에는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강목].
灸而勿鍼 鍼而勿灸
[鍼經]爲此常丁寧 庸醫鍼灸一齊用 徒施患者 炮烙刑(入門).
뜸을 뜬 다음에는 침을 놓지 말아야 하고
침을 놓은 다음에는 뜸을 뜨지 말아야 한다.
침경에는 이와 같이 똑똑하게 씌어 있는데
서투른 의사들이 침과 뜸을 같이 놓아 공연히 환자의 살만 지진다[입문].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用鍼須合天時][용침수합천시]  (0) 2018.06.07
[不耐鍼灸][불내침구]  (0) 2018.06.07
[調養法][조양법]  (0) 2018.06.07
[療灸瘡法][요구창법]  (0) 2018.06.07
[發灸瘡法][발구창법]  (0) 2018.06.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