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客忤 卒厥 諸證][객오 졸궐 제증]
客忤者 中惡之類也, 多於道間 門外得之,
令人心腹絞痛 脹滿 氣衝心胸 不卽治 亦殺人
取百草霜20g 塩4g 和硏溫水調下(本草).
객오는 중악(中惡)과 비슷한 병이다.
흔히 길가에서나 문밖에서 걸리게 되는데
그 증상은 명치 밑이 비트는 것같이 아프고 불러오르고 그득하며 기운이 가슴으로 치밀어 오른다.
이것을 곧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백초상 20g과 소금 4g을 함께 따뜻한 물에 타서 먹여야 한다[본초].
又 取塩雞子大 靑布裹燒赤硏 納酒中頓服 當吐惡物,
又 取細辛 桂心 爲細末 納口中,
又 銅器或瓦器盛熱湯 用厚衣襯腹上於衣上熨之, 冷則易 便愈,
又, 至寶丹方見風門 蘇合香元方見氣門 以薑汁 或溫酒 或童尿調灌(諸方).
또는 소금 달걀만한 것을 쪽물 들인 천에 싸서 불에 태워 갈아 술에 타서 먹이기도 한다.
또는 구리그릇이나 질그릇에 끓는 물을 담아서 배를 찜질해주되 배에 두터운 옷을 대고 해준다.
그리고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가면서 해주어야 낫는다.
또는 지보단(처방은 풍문에 있다)이나 소합향원을 생강즙이나 데운 술에 타서 먹인다[제방].
帝曰 厥 或令人腹滿, 或令人暴不知人,
或至半日, 遠至一日, 乃知人者何也?
岐伯曰 陰氣盛於上 則下虛 下虛則腹脹滿,
陽氣盛於上 則下氣重上 而邪氣逆 逆則陽氣亂,
陽氣亂, 則不知人也(內經 厥陰篇 第四十五).
황제(黃帝)가 “궐병(厥病)에 걸리면 배가 그득해지거나 갑자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한나절이나 하루가 지나서야 사람을 알아보게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음기가 위에서 실(實)하면 아래는 허(虛)해지는데
아래가 허해지면 배가 불러오르고 그득해진다.
양기(陽氣)가 상초(上焦)에서 실(實)해지면 하초(下焦)의 기운이 지나치게 올라오므로
사기가 거슬러오르게 된다.
사기가 거슬러오르게 되면 양기가 어지러워지고
양기가 어지러워지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게 된다”라고 하였다[내경].
凡卒急之證 有氣厥 血厥 痰厥 食厥 中風 中寒 中暑 中濕之類
皆詳見各門 隨證治之(回春)
갑자기 생기는 급한 병중에는 기궐, 혈궐, 담궐, 식궐, 중풍, 중한, 중서, 중습 등
(다 해당한 부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이 있는데 증상에 맞게 치료해야 한다[회춘].
至聖來復丹 通治諸厥 危急之疾(得效).
지성내복단(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은 여러 가지 궐증으로 위급하게 된 것을 두루 치료한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