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眼喎斜 宜灸聽會 頰車 地倉

又法 喎向右者 灸左 喎陷中喎向左者 灸右喎陷中 各二七壯 立愈(綱目).

 

입과 눈이 비뚤어졌으면 청회, 협거, 지창혈에 뜸을 뜬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오른쪽이 비뚤어졌으면 왼쪽 귀 앞의 움푹한 곳에 뜸을 뜨고

왼쪽이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의 움푹한 곳에 뜸을 뜨는 것인데

각각 14장씩 뜨면 곧 낫는다[강목].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噤][구금]  (0) 2020.05.21
[半身不遂][반신불수]  (0) 2020.05.20
[中風 不能視][중풍 불능시]  (0) 2020.05.20
[卒中風 喎斜][졸중풍 와사]  (0) 2020.05.20
[中風 皆灸][중풍계구]  (0) 2020.05.20

中風 目戴上 不能視

灸第二椎骨上各七壯 一齊下 和立愈(綱目).

 

중풍에 눈을 치뜨고 보지 못하는 데는

2추골과 제 5추골 위에 뜸을 각각 7장씩 뜨는데 동시에 뜨면 곧 낫는다[강목].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身不遂][반신불수]  (0) 2020.05.20
[口眼喎斜][구안와사]  (0) 2020.05.20
[卒中風 喎斜][졸중풍 와사]  (0) 2020.05.20
[中風 皆灸][중풍계구]  (0) 2020.05.20
[治風七穴][치풍칠혈]  (0) 2020.05.20

卒中風 喎斜 涎塞不省

宜灸聽會 頰車 地倉 百會 肩髃 曲池 風市 三里 絶骨

耳前 髮際 大椎 風池 凡12穴(本事). 

 

졸중풍(卒中風)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이 막혀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데는

청회(聽會), 협거(頰車), 지창(地倉), 백회, 견우, 곡지, 풍시, 삼리, 절골,

귀 앞의 머리털이 난 경계, 대추, 풍지 등 11개의 혈에 뜸을 뜬다[본사].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眼喎斜][구안와사]  (0) 2020.05.20
[中風 不能視][중풍 불능시]  (0) 2020.05.20
[中風 皆灸][중풍계구]  (0) 2020.05.20
[治風七穴][치풍칠혈]  (0) 2020.05.20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凡中風 皆灸之

 

모든 중풍 때에는 뜸을 떠야 한다.  

治風七穴 百會 耳前髮際 肩井 風市 三里 絶骨 曲池.

一方 加有風池 合谷 肩髃 環跳 凡九穴(資生).

 

풍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7개의 혈은 백회,

귀 앞의 머리털이 난 경계, 견정, 풍시, 삼리, 절골, 곡지혈 등이다.

어떤 처방에는 풍지, 합곡(合谷), 견우, 환도(環跳)혈을

포함하여 모두 9개의 혈로 되어 있다[자생].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卒中風 喎斜][졸중풍 와사]  (0) 2020.05.20
[中風 皆灸][중풍계구]  (0) 2020.05.20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將風中府之候][장풍중부지후]  (0) 2020.05.20
[風 入藏 ][풍 입장]  (0) 2020.05.20

凡覺心中憒亂 神思不怡 或手足麻痺 此將風中藏之候

宜灸百會 風池 大椎 肩井 曲池 間使 三里(資生).

 

가슴이 울렁거리고 기분이 좋지 않으면서 혹 팔다리가 마비되는 것은

풍이 5장에 들어가려는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백회(百會), 풍지(風池), 대추(大椎),

견정(肩井), 곡지(曲地), 간사(間使), 삼리(三里)혈에 뜸을 떠야 한다[자생].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風 皆灸][중풍계구]  (0) 2020.05.20
[治風七穴][치풍칠혈]  (0) 2020.05.20
[將風中府之候][장풍중부지후]  (0) 2020.05.20
[風 入藏 ][풍 입장]  (0) 2020.05.20
[中風之候][중풍지후]  (0) 2020.05.18

凡覺手足 或麻或痛 良久乃已 此將風中府之候

宜灸百會 曲鬢 肩髃 曲池 風市 三里 絶骨(資生).

 

팔다리가 저리거나 아프다가 풀리는 것은

앞으로 풍이 6부에 들어가려는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백회(百會), 곡빈, 견우, 곡지(曲池), 풍시(風市),

삼리(三里), 절골(絶骨)혈에 뜸을 떠야 한다[자생].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風七穴][치풍칠혈]  (0) 2020.05.20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風 入藏 ][풍 입장]  (0) 2020.05.20
[中風之候][중풍지후]  (0) 2020.05.18
[中風痰盛][중풍담성]  (0) 2020.05.18

凡人不信 此法 不肯灸 忽然卒死 是爲謂何病?

風 入藏 故也.

風病者 不可不知(綱目).

 

대체로 사람들은 이 방법을 믿지 않기 때문에 뜸뜨는 것을 싫어하다가

갑자기 죽게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풍이 5장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풍병이 있는 사람은 이것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강목].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將風中府之候][장풍중부지후]  (0) 2020.05.20
[中風之候][중풍지후]  (0) 2020.05.18
[中風痰盛][중풍담성]  (0) 2020.05.18
[治中風][치중풍]  (0) 2020.05.18

凡人 非時足脛上 及手食指次指忽痠疼 麻痺良久 方解 此將中風之候

急灸三里 絶骨各三壯 春秋報灸 常令兩脚 有灸瘡 爲妙(資生). 

 

때없이 정갱이나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이 시글고 아프면서

마비되었다가 다시 풀리곤 하는 것은 중풍의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빨리 삼리(三里)와 절골(絶骨)혈에 뜸을 각각 3장씩 떠야 하는데

가을과 봄에도 뜸을 떠서 늘 양쪽다리에 구창(灸瘡)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 좋다[자생].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將風中府之候][장풍중부지후]  (0) 2020.05.20
[風 入藏 ][풍 입장]  (0) 2020.05.20
[中風痰盛][중풍담성]  (0) 2020.05.18
[治中風][치중풍]  (0) 2020.05.18

中風痰盛 聲如曳鋸 服藥 不下 宜灸臍下

氣海 關元200~300壯亦可 轉死廻生

五藏氣絶 危證 亦宜灸之(綱目).

 

중풍 때에 담(痰)이 성(盛)하여 목에서 톱질하는 것같은 소리가 나면서

약을 먹어도 내리지 않을 때에는

기해(氣海), 관원(關元)혈에 뜸을 2백-3백장 뜨면 죽게 되었던 사람도 다시 살아나게 된다.

5장의 기가 끊어져 위험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도 뜸을 뜬다[강목].   

'[雜病篇] > [風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將風中藏之候][장풍중장지후]  (0) 2020.05.20
[將風中府之候][장풍중부지후]  (0) 2020.05.20
[風 入藏 ][풍 입장]  (0) 2020.05.20
[中風之候][중풍지후]  (0) 2020.05.18
[治中風][치중풍]  (0) 2020.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