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鱉甲][별갑 / 자라등딱지]

主癥瘕 痃癖

燒黃 爲末 酒服7.5g 日二次(本草).

징가와 현벽을 치료한다.

누렇게 되도록 구워서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로 하루 두번 먹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黍米泔][서미감]  (0) 2020.10.16
[蚶殼黍][감각]  (0) 2020.10.16
[魚膾][어회]  (0) 2020.10.16
[白楊木][백양목]  (0) 2020.10.15
[郁李仁][욱리인]  (0) 2020.10.15

[魚膾][어회 / 생선회]

主腹內 伏梁 痃癖 氣塊

以蒜虀薑醋 食之 鯉魚膾 尤佳(本草).

뱃속에 생긴 복량(伏梁), 현벽, 기괴를 치료한다.

마늘, 부추, 생강, 식초를 두고 회를 쳐서 먹는다.

잉어회(鯉魚膾)는 더 좋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蚶殼黍][감각]  (0) 2020.10.16
[鱉甲][별갑]  (0) 2020.10.16
[白楊木][백양목]  (0) 2020.10.15
[郁李仁][욱리인]  (0) 2020.10.15
[虎杖根][호장근]  (0) 2020.10.15

[白楊木][백양목 / 사시나무]

療癥癖 堅如石 積年不差 取東南枝

細剉五升 漬之 封口 經二宿 每服一合 日三(本草).

징벽으로 돌같이 뜬뜬한 것이 생겨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동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쓴다.

잘게 썰어서 5되를 노랗게 되도록 볶아 술 5되에 담그고 아가리를 잘 막아

2일밤 동안 두었다가 한번에 1홉씩 하루 세번 먹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鱉甲][별갑]  (0) 2020.10.16
[魚膾][어회]  (0) 2020.10.16
[郁李仁][욱리인]  (0) 2020.10.15
[虎杖根][호장근]  (0) 2020.10.15
[桑耳][상이]  (0) 2020.10.14

[郁李仁][욱리인 / 이스라치씨]

療癖 取仁 湯浸去皮 爲細末

每7.5g 白麪搜和作燒餠 空心食之

當快利 若不止 飮冷醋湯(本草).

현벽을 치료한다.

씨를 끓인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리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흰밀가루와 함께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들어 구워서 빈속에 먹는다.

그러면 반드시 설사가 시원하게 나간다.

만일 설사가 멎지 않으면 끓인 물에 식초를 섞어서 식혀 먹어야 한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膾][어회]  (0) 2020.10.16
[白楊木][백양목]  (0) 2020.10.15
[虎杖根][호장근]  (0) 2020.10.15
[桑耳][상이]  (0) 2020.10.14
[續隨子][속수자]  (0) 2020.10.14

[虎杖根][호장근 / 범싱아뿌리]

主癥結 暴瘕 痛欲死 取根爲麤末 酒漬飮 日三(本草).

징가가 뭉친 것과 갑자기 징가가 생겨 죽을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뿌리를 거칠게 가루내어 술에 풀어서 하루 세번 먹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楊木][백양목]  (0) 2020.10.15
[郁李仁][욱리인]  (0) 2020.10.15
[桑耳][상이]  (0) 2020.10.14
[續隨子][속수자]  (0) 2020.10.14
[蒴藋][삭조]  (0) 2020.10.14

[桑耳][상이 / 뽕나무버섯]

主血病 癥瘕 積聚 取燒爲末 酒調 服之(本草).

혈병(血病)과 징가와 적취를 치료하는데 태워 가루내서 술에 타 먹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郁李仁][욱리인]  (0) 2020.10.15
[虎杖根][호장근]  (0) 2020.10.15
[續隨子][속수자]  (0) 2020.10.14
[蒴藋][삭조]  (0) 2020.10.14
[牽牛子][견우자]  (0) 2020.10.13

[續隨子][속수자 / 천금자]

宣一切積滯 日服十粒

若瀉多 取薄酸冷粥 喫之卽止(本草).

여러 가지 적체를 치료하는데 매일 10알씩 먹는다.

그 다음 설사가 심하게 나면 약간 신 죽(酸粥)을 차게 하여 먹어야 곧 멎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虎杖根][호장근]  (0) 2020.10.15
[桑耳][상이]  (0) 2020.10.14
[蒴藋][삭조]  (0) 2020.10.14
[牽牛子][견우자]  (0) 2020.10.13
[商陸][상륙]  (0) 2020.10.13

[蒴藋][삭조 / 덧나무]

主暴癥 腹中堅硬如石 痛欲死

蒴藋根一小束 細切 酒一甁 浸三宿溫服五合 日三 神效(本草).

갑자기 적이 생겨 뱃속이 돌같이 뜬뜬해지고 죽을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삭조뿌리 작게 1묶음을 잘게 썰어서 술 1병에 3일밤 담가 두었다가

한번에 5홉씩 하루 세번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효과가 좋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桑耳][상이]  (0) 2020.10.14
[續隨子][속수자]  (0) 2020.10.14
[牽牛子][견우자]  (0) 2020.10.13
[商陸][상륙]  (0) 2020.10.13
[大黃][대황]  (0) 2020.10.13

[牽牛子][견우자 / 나팔꽃씨]

治五般積聚 痃癖 氣塊黑丑取頭末半生半炒

蜜丸梧子大臨臥時以薑湯呑下甚妙

5가지 적취와 현벽, 기괴를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黑丑)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은 것으로 맏물가루를 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에

잠잘 무렵에 생강을 달인 물로 먹으면 잘 낫는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續隨子][속수자]  (0) 2020.10.14
[蒴藋][삭조]  (0) 2020.10.14
[商陸][상륙]  (0) 2020.10.13
[大黃][대황]  (0) 2020.10.13
[玄胡索][현호색]  (0) 2020.10.13

[商陸][상륙 / 자리공]

主暴癥 腹中有物 如石痛刺若 若不治100日死.

多取商陸根 搗爛蒸之 以布藉腹上安藥熨之冷復易自消(本草)

갑자기 징가가 생겨 뱃속에 돌 같은 것이 있으면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백날 만에 죽을 수 있다.

자리공을 많이 캐서 잘 짓찧어 찐 다음 베천에 싸서 배에 붙이고 찜질하는데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 해야 한다.

그러면 징가가 저절로 없어진다[본초].

'[雜病篇] > [積聚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蒴藋][삭조]  (0) 2020.10.14
[牽牛子][견우자]  (0) 2020.10.13
[大黃][대황]  (0) 2020.10.13
[玄胡索][현호색]  (0) 2020.10.13
[三菱][삼릉]  (0) 2020.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