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暑病形證][서병형증]

 

暑病 身熱自汗 口乾面垢而已(入門).

서병은 몸에서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 입이 마르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다[입문].

 

傷暑之證 面垢 自汗身熱 背寒煩悶 大渴倦怠 少氣毛聳 惡寒

或頭疼 或霍亂 或四肢厥冷 但身體無痛.

더위에 상한 증상[傷暑證]은 얼굴에 때가 끼고 저절로 땀이 나며 몸에서 열이 나고

잔등이 시리며 안타깝게 답답하고[煩悶] 몹시 갈증이 나며

몸이 나른하면서 기운이 없고 솜털이 일어서면서 오한(惡寒)이 나고

혹 머리가 아프거나 곽란( )이 있거나 팔다리가 싸늘하며[四肢厥冷] 다만 몸이 아프지 않다[직지].

中暑之證 六脈沈伏 冷汗自出 悶絶而昏 不知人事矣(直旨).

중서(中暑)의 증상은 6맥이 침복(沈伏)하며 찬 땀이 저절로 나고 숨이 끊어지는 것 같으며[悶絶]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직지].

 

太陽 中喝者 暑病也 發熱惡寒 身重頭痛 其脈弦細芤遲 小便已 灑灑然毛聳

手足逆冷 少有勞身 卽熱口開 前板齒燥

若發汗 則惡寒甚加 溫鍼 則發熱甚數 下之則淋甚(仲景).

태양중할(太陽中 )은 서병인데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몸이 무겁고 머리가 아프며

맥은 현(), (), (), ()하고 오줌을 누고 나면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며

손발이 싸늘하고 조금 피로하면 곧 열이 나서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른다.

만일 땀을 내면 오한이 더 심해지고 온침(溫鍼)을 놓으면

열이 더 심하게 나고 자주 설사시키면 임병(淋病)이 심해진다[중경].

 

何故灑然毛聳 盖熱則諸毛孔開

故洒然惡寒 口開 前板齒燥者 齒乃骨之精 今燥者骨熱也

鍼藥不能治 當灸大椎 穴(雲岐).

왜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는가. 대체로 열이 나면 털구멍들이 열리므로

자연히 오한이 나며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르게 되는데

이빨은 뼈의 정기(精氣)이므로 이가 마르는 것은 뼈에 열이 있는 것이다.

이때는 침()과 약으로는 치료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대추혈(大 頁穴)에 뜸을 떠야 한다[운기].

 

 

[脈法][맥법] 

 

傷寒脈虛

더위를 먹으면[暑傷] 맥이 허하다.

 

脈虛 身熱得之 傷暑(脈一作氣 : 仲景).

(()라고 한 데도 있다)이 허하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은 서병이다[중경].

 

暑傷於氣 所以 脈虛弦細芤遲 體狀無餘(脈訣).

더위[]가 기()를 상하면 맥이 허(), (), (), (芤), ()하다. 다른 맥은 없다[맥결].

 

中暑之脈 陽弱陰虛微遲 似芤(三因).

중서(中暑)의 맥에서 양맥은 약하고 음맥은 허(), (), ()한 것이 규맥( )과 같다[삼인].

 

暑脈 弦細芤遲何也 盖寒傷形 熱傷氣

氣傷則氣消 而脈虛弱 所以弦細芤遲 皆虛脈也(本事).

서병의 맥이 현, , , 지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대체로 찬 것[]은 형체를 상()하고 더위는 기()를 상한다.

기를 상하면 기운이 없어져서 맥이 허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 , , 지는 다 허한 맥[虛脈]이다[본사].

 

暑脈虛而微弱 或浮大而散

或隱不見 夫微弱隱伏 皆虛類也(正傳).

서병의 맥은 허하면서 미약(微弱)하거나 부대(浮大)하면서 산()하며

혹 아주 알리지 않는데 아주 미약하고 아주 알리지 않는 것은 다 허한 부류의 맥이다[정전].

 

中暑與熱 病相似 但熱病 脈盛, 中暑脈虛 以此辨之(活人).

중서(中暑)와 열병(熱病)은 비슷한데

다만 열병(熱病)의 맥은 성하고 중서의 맥은 허하므로 이것으로서 감별한다[활인].   

 

 

[傷寒傳變爲溫爲暑][상한전변위온위서]

 

凡病傷寒 而成溫者 死.

先夏至日者 爲病溫 詳見瘟疫 後夏至日者 爲病暑

暑當與汗 皆出勿止(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상한이 온병(溫病)으로 되는 것은 하지 이전이고

(자세한 것은 온역문에 있다) 하지 이후이면 서병이 된다.

서병(暑病)은 반드시 땀이 나야 한다.

땀이 나는 것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내경].

 

 

'[雜病篇] > [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喝 中熱之辨][중갈 중열지변]  (0) 2020.06.17
[中暑救急][중서구급]  (0) 2020.06.17
[暑病形證][서병형증]  (0) 2020.06.17
[脈法][맥법]  (0) 2020.06.17
[暑者相火行令也][서자상화행령야]  (0) 2017.07.15

[暑者相火行令也][서자상화행령야] 

夏至日後 病熱爲暑.

暑者 相火行令也.
夏月人感之 自口齒而入 傷心包絡之經,
其爲證 煩則喘喝 靜則多言 身熱而煩心 大渴引飮 頭疼自汗 倦怠少氣
或下血 發黃 生斑.
甚者 火熱制金 不能平木 搐搦 不省人事矣(節齊).
하지(夏至) 후에 열병을 앓는 것은 서병(暑病)이다.
서(暑)란 상화(相火)가 작용하는 것이다.
여름에 더위를 먹으면 심포락(心包絡)의 경맥을 상한다.
그 증상으로는 답답증[煩]이 나며 숨이 차고 목쉰 소리를 하며
답답증이 멎으면 말이 많으며 몸에서 열이 나고 가슴 속이 답답하며[心煩]
갈증이 몹시 나서 물을 켜고 머리가 아프며
저절로 땀이 나고 몸이 나른해하면서 기운이 없고
혹 하혈하며 황달이 생기고 반진이 돋는다.
심하면 화열(火熱)이 폐금(肺金)을 너무 억제해서
폐금이 간목(肝木)을 고르게 하지 못하므로
경련이 일면서 정신을 잃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절제].

'[雜病篇] > [暑]'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喝 中熱之辨][중갈 중열지변]  (0) 2020.06.17
[中暑救急][중서구급]  (0) 2020.06.17
[暑病形證][서병형증]  (0) 2020.06.17
[脈法][맥법]  (0) 2020.06.17
[傷寒傳變爲溫爲暑][상한전변위온위서]  (0) 2020.06.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