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賦][상한부]  

傷寒爲病 反覆變遷 賴先師究詳之遺旨 成後學診治之良詮

太陽 則頭痛身熱脊强 陽明 則目疼鼻乾不眠 少陽 耳聾脇痛寒熱嘔而口爲之苦

太陰 腹滿自利 尺寸沈而津不到咽 少陰 舌乾口燥 厥陰煩滿囊縮

一二日可發表而散 三四日宜和解而痊 五六日便實方可議下 七八日不解又復再傳

日傳二經病名兩感 經傳六日應無一全

太陽無汗 麻黃爲最 太陽有汗 桂枝可先 小柴胡 爲少陽之要領 大柴胡 行陽明之秘堅

至三陰 則難拘定法 或可溫而或可下 宜數變以曲盡生意 或可方而或可圓

且如陽證 下之早者 乃爲結胸 陰證 下之早者 因成痞氣

發狂爲血 蓄于內 于大便之極實 發黃爲熱 積於中 兼小便之不利

微喘緣表之未解 微煩爲陽之相勝 喘滿而不惡寒者 當下而痊 煩極而反發厥者 乃陰所致

狐惑 盖緣失汗虫蝕 藏急蝕肛 蚘厥 却緣多蝕虫攻咽 及攻胃

渴乃煩多 斑爲熱熾 陽明內實 則爲寒熱往來 太陽中風 因作剛柔二痓

衄血 雖爲欲解 動陰血者 有厥竭之憂 厥利 雖若尋常反能食者 有除中之忌

厥有二端 治非一類 陰厥 脈沈而細 初緣利過 陽厥 脈沈而滑 始因便秘

治陽 則芒硝大黃 治陰 則附子薑桂 死生係反掌之間 脈藥可折肱而治

因知風溫 汗不休 當用漢防己 胸痞 利不止 宜服禹餘粮 倂病歸干一經 邪不傳兮 表解疾愈

戰汗分爲四證 陽升陰兮 熱退身凉 咳逆者 羗活附子 腹痛者 桂枝大黃

微虛相傳 則爲短氣 勞食再復 乃成內傷 陽明 背惡寒而唇口燥懸 知白虎爲最

少陰 身體痛 而筋肉惕 乃聞眞武至强 將欲發黃 先出頭汗 始因和迫

終至亡陽 渴欲飮水 水入卽吐者 五苓散 燥欲潄水 水入不下者 犀角湯

況乃大靑龍 兼理風寒 小承氣 正蠲潮熱 不得眠而 煩燥 甚雞子 入於黃連

但有熱而 嘔噦 頻薑汁 加於竹葉 二匕瓜蒂散 吐傷寒 中脘痰涎 三物桃花湯 理少陰 下利膿血

厚朴半夏 治腹脹爲偏宜 葱白麻黃 理頭疼爲至截 調溫毒 可用黑膏 散赤癍 當行紫雪

吐血者 須煎黃連蘗皮 咽痛者 通用?膚甘桔 三物白 雖云頗峻 散結胸寒實中焦

十棗湯 固非乏常 治痞滿痛連兩脇

加以大熱 錯語呻吟 乾嘔者 黃連解毒 脈遲 熱多寒少 血弱者 黃芪建中 汁之過多 動悸而惕

下之先時 懊憹在胸 旋覆大赭 理心痞而噫不息 桂枝各半 療身痒而汗不通 勞復

身熱湯名猳鼠糞 腸垢臍熱 藥用白頭翁 疫癘者 春夏秋冬 各有分 用雖十全九證

百合者 行住坐臥 皆不定 號爲百脈一宗

常謂多眠 身猶灼熱 風溫 可用萎蕤 不眠 心蘊虛煩 斂汗 必須酸棗

手足攣搐 當末牛芳根 咳嗽生痰 宜行金沸草 不可汗 本有數種 動氣與風濕408脈虛

不可下 自非一端 動氣與陽浮408在表 濕證 不可汗傷 霍亂 多緣熱惱

溫病 發於春夏 要須柴葛以解肌 奔豚 挾逐寒邪 多用桂苓爲可保

盖聞乍寒微熱 名似瘧 不嘔淸便 必自愈 臍痛引陰 名藏結 下利白胎 不可醫

口燥咽乾 雖少陰 下莫可緩 肉瞤筋惕 發動氣 汗以致羸 陽明與少陽合病 脈弦者 名曰負

傷寒與熱病將痊 食多者 號曰遺 自汗 有風溫 濕溫 若亡陽 則朮附可用

身痛 有表證 裏證 若陰毒 則四逆尤遲 脾約者 大便難 而小便數 治用大黃枳殼

恊熱者 小便澁 而大便利 用須黃連當歸 嘔吐 有寒有熱 寒則當溫 熱當以解

譫語 有虛有實 實則可下 虛不可爲

陽毒 則狂斑煩亂 以大靑升麻 可廻困篤 陰毒 則唇靑厥逆 以正陽甘草 或拯顚危

發厥時 胸煩尤甚 此藏氣絶 而精神散 大汗後 身熱猶盛 此陰陽交 而魂魄離

嗟夫生死之關

陰陽是主 陽脈 見於陰經 其生也 可知 陰脈 見於陽經 其死也 可許 土衰木旺 則爲賊能 無剋除之災 水升火降 則爲和會 見歡欣之擧 緣傷寒傳變之不常 非雜病徑直而可取

是用替篤心神

洞窺藏府 推惻隱之 端以濟乎今 拯疲癃之 疾以遵乎古 庶幾可 登東垣之堂 不負乎 諄諄之語.

 

상한에 병이 나면 증세변화 복잡하다

선현들이 자세하게 연구해 논 원칙 따라

후학들이 치료하는 기준 또한 삼았다네

태양증은 두통 있고 열이 나며 등이 곧고

양명증은 눈 아프며 코 마르고 잠 안 오네

소양증은 귀가 먹고 갈비통증[脇痛] 추워하며

열이 나고 구역나며 입이 또한 쓰다네

태음증은 배가 그득 설사 또한 절로 나고

척맥(尺脈) 촌맥(寸脈) ()하면서 침이 나지 않는다네

소음증은 혀 마르고 입 안이 깔깔하며

궐음증은 속이 번만(煩滿) 음낭이 줄어드네

1-2일에 땀을 내서 표증(表證)을 풀어 주고

3-4일에 화해해서 반표반리 낫게 하네

5-6일에 뒤굳으면 설사를 시킬 거고

7-8일에 안 풀리면 또다시 전경되네

하루두경 전하면 양감(兩感)이라 하는데

전경된 지 6일 되면 하나도 못 살리라

태양증에 땀 없으면 마황탕이 으뜸일세

태양증에 땀 있으면 계지탕을 먼저 쓰라

소시호는 소양증에 많이 쓰는 요약이고

대시호는 양명증의 뒤굳은 것 잘 푼다네

삼음증(三陰證)이 되며는 일정한 방법없어

덥히기도 하거니와 사하기도 한다네

증상 자주 변하는덴 알맞게 의견 내서

우방이나 기방들을 그때그때 갈아 쓰라

양증에 일찍 설사시키면 결흉(結胸)되고

음증에 일찍 설사시키면 비기( )되네

발광(發狂)은 속에 어혈 있거나 대변 몹시 굳은 때문

황달은 열이 속에 쌓였는데 소변불리 때문일세

약간 천식 있는 것은 표증 못 푼 때문이고

약간 답답한 것은 양기가 성해진 탓

숨차면서 오한없음 설사시켜 나을 거고

몹시 답답 궐증(厥證) 남은 음증(陰證)에서 온 것일세

호혹증(狐惑證)은 땀을 제때 못 내어서 오장항문 벌레먹고

회궐증( 厥證)은 배가 고파 위와 목에 회충 치민 것이라네

갈증이란 심히 답답한 것이고

반진은 열이 몹시 성한 탓

양명증에 내실(內實)하면 한열(寒熱)이 왕래하고

태양병에 중풍되면 강치유치(剛 柔 ) 된다네

코피가 멎는 데도 음혈(陰血)이 발동되면

궐증(厥證)될 우려 있고 궐()과 이()는 심상해도

도리어 잘 먹으면 제중(除中)이 될 수 있네

궐증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치료에는 한 가지로 안 된다네

음궐맥(陰厥脈)이 침세(沈細)한 것 설사 과히 시킨 탓

양궐맥(陽厥脈)이 침활(沈滑)한 것 변비가 원인일세

양궐치료 하는 데는 망초와 대황 쓰고

음궐치료 하는 데는 부자 건강 육계 쓰네

죽고 삶이 순식간에 달렸으니

맥과 약에 경험 많이 쌓을 걸세

풍온(風溫)에 땀이 계속 나오며는 한방기(漢防己)를 써야 하고

흉비()에 설사멎지 않으며는 우여량(禹餘粮)이 좋다네

병병(倂病)은 한경으로 몰리는데 사기가

()치 않고 땀이 나고 병 나으며

전한(戰汗)4증으로 가르는데 양이 음을

이기면 열 내리고 몸이 식네

해역(咳逆)에는 강호리(강활)와 부자 쓰고

복통(腹痛)엔 계지와 대황 쓰네

()사 허()사 어울리면 숨이 약간 가쁘고

()복 식()복 되며는 내상증이 된다네

양명증에 등 시리고 입술과 입 마르며

백호탕이 제일인 줄 알아야 할 것이고

소음증에 몸 아프고 힘살이 푸들푸들

진무탕이 강력한 걸 이제야 들었노라

황달이 생기려면 머리 먼저 땀이 나고

처음에 불로 치면[] 나중에는 망양(亡陽) 되네

목이 말라 물을 마셔 그 물 곧 토하며는 오령산을 써야 하고

입이 말라 양치하고 그 물 아니 넘어가면 서각탕이 좋다네

대청룡은 풍한(風寒)을 겸해서 치료하고

소승기는 조열(潮熱)을 바로잡아 없애네

잠 못 자서 번조한데 황련탕에 달걀 넣고

열이 있어 잦은 구얼() 죽엽탕에 강즙 넣네

두 숟갈의 과체산은 상한의 중완담연(中脘痰涎) 막힌 것을 토케 하고

세가지인 도화탕은 소음증에 농혈하리(膿血下利) 멎지 않음 낫게 하네

후박과 끼무릇(반하)은 복창(腹脹)에 아주 좋고

파흰밑(총백)과 마황은 골 아픈 데 단번일세

온독을 푸는 데는 흑고(黑膏)를 써야 하고

적반()을 헤치는덴 자설(紫雪)을 써야 하네

토혈(吐血)에는 황련과 황백피를 달여 먹고

목 아픈덴 저부와 감초 길경 두루 쓰네

삼물백(三物白)은 성질이 비록 세나

결흉으로 중초(中焦)에 맺힌 한기 헤쳐 주고

십조탕은 보통약이 아니라도

비만으로 양쪽 갈비 아픈 것을 낫게 하네

심한 열로 헛소리와 신음소리 헛구역엔

황련해독탕을 쓰고 맥 느리고 열 많으며

덜 춥고 피 적은데 황기건중탕을 쓰네

땀을 과히 내어서 가슴 뛰고 놀라며

미리 설사 시켜서 가슴 속 괴로운데

선복대자탕으로 가슴 트직 계속 트림 함께 모두 없애고

계지각반탕으로 몸 가렵고 땀 안 남을 겸하여 치료하네

노복(勞復)으로 열 나는데 가서분탕을 쓰고

장구(腸垢)로 배꼽 달면 백두옹탕을 쓰네

돌림열병 봄과 여름 가을 겨울 다른데

이 약 쓰면 열 명에 아홉 낫고

백합병은 걷고 서고 앉고 누움 모두 같지

않은데 백맥(百脈) 한데 모인 걸세

잠 많은데 몸이 달면 풍온(風溫)이니 위유() 쓰고

잠 못 자고 가슴 답답 땀 걷는데 산조 쓰라

손발에 쥐이는 덴 우엉뿌리 가루 쓰고

기침하고 담 있는 덴 금비초가 좋은 약

땀낼 수 없는 것이 몇 가지가 있는데

동기(動氣)와 풍습(風濕)이며 맥이 허한 것이고

설사시켜 안 될 것이 한 가지가 아닌데

동기와 양기 떠서 겉으로 나온 걸세

습증은 땀을 내서 상()케 말고

곽란은 흔히 열로 생긴다네

온병은 봄과 여름 생기는데 시갈(柴葛)로 해기(解肌)하고

분돈(奔豚)은 한사를 끼고 난 병 복령으로 다스리네

낮에 춥고 약간 열남 학질( )이라 하는데

토하지 않고 설사하면 반드시 낫는다네

배꼽통증[臍痛] 음낭까지 땅기며는 장결(藏結)인데

설사하고 백태(白胎) 끼면 치료할 수 없다네

입 마르고 목이 타면 소음증이 있더라도 설사 빨리 시키라

살이 푸들 힘줄 뛰면 동기증이 생기는데 땀을 내면 여윈다네

양명병과 소양병이 한데 합쳐 맥현(脈弦)하면 부()라 하는 병이고

상한열병 나을 때에 음식 많이 먹으며는 유증(遺證)이라 한다네

땀이 절로 나는 것은 풍온습온 있는데

망양(亡陽)으로 그러하면 출부탕을 써야 하고

몸이 몹시 아픈 데는 표증이증 있는데

음독으로 그러하면 사역탕도 늦다네

비약증(脾約證)은 대변 보기 어렵고 오줌 잦은

것인데 대황지각 써야 하고

협열( )리는 오줌이 적으면서 대변 설사

나가는데 황련 당귀 써야 하고

토하기에 한증열증 두 가지가 있는데

한증에는 덥혀 주고 열증에는 풀어 주네

섬어( )에도 허증실증 두 가지가 있는데

실증에는 설사시키고 허증에는 할 수 없네

양독(陽毒)에는 미치고 발반[狂斑]되고 번란(煩亂)한데

대청승마 쓰며는 위독한 것 풀리고

음독(陰毒)에는 푸른 입술 궐역(厥逆)이 되며는

정양감초 등으로 죽는 사람 살린다네

궐역될 때 가슴이 더욱 심히 답답한 것

오장 기운 끊어져서 정신마저 흩어지네

땀이 몹시 난 뒤에 몸이 더욱 뜨거운 것

음양이 삭갈려서[] 혼백이 없어지네

죽고 사는 관문이고 음과 양이 중심일세

음경에 양맥 오면 아무래도 가히 살 수 있고

양경에 음맥 오면 아무래도 죽게 되네

비토[]가 쇠약하고 간목이 왕성하면

서로 적대되어서 제어할 길 바이 없고

신수[]가 올라가고 심화가 내려가면

서로 조화 되어서 기뻐 웃음 웃으리

상한에 전변됨이 보통 복잡하지 않으니

잡병(雜病)에 곧바로 진단함과 다르다네

침착하게 정신을 단단히 가다듬어

오장육부 속 형편을 꿰뚫어 살펴보세

인술이 정신 살려 지금 환자 구원하고

쇠진한 질병치료 옛날 원칙 준수하세

그래야 동원의 앉은 자리 갈 수 있고

친절한 그의 말을 저버리지 않을 걸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相類四證][상한상류사증]  (0) 2020.06.14
[傷寒十六名][상한십육명]  (0) 2020.06.14
[傷寒有五種][상한유오종]  (0) 2020.06.14
[靈砂][영사]  (0) 2020.06.14
[痼冷][고랭]  (0) 2020.06.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