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諸疝治法][제산치법]
疝痛屬濕熱, 痰積流下作病, 因寒鬱而發也[丹心].
산통은 습열 때문에 생기며 담과 적이 흘러내려 병이 되는데,
찬 기운을 만나 뭉쳐서 아프게 된다(단심).
疝痛之證, 古方用辛溫之劑以散之, 是治其標也.
丹溪以爲痰飮食積死血流注, 歸於厥陰肝經, 用辛平之藥, 以豁痰消積破血, 是治其本也.
夫疝痛有定處, 是有形之積也.
非痰飮, 與食積死血相聚, 而何哉.
若是無形之氣, 作痛則走注滿腹, 而流散於遍身矣[方廣].
옛 처방에서는 산병으로 아픈 증을 신온한 약으로 그 기를 흩어주었는데,
이는 그 표(標)를 치료한 것이다.
주진형은 담음이나 식적, 어혈이 돌아다니는 것이 족궐음간경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고
맵고 성질이 평한 약을 써서 담을 풀고[豁痰] 적을 삭히며[消積] 혈을 풀었는데[破血],
이는 그 본(本)을 치료한 것이다.
산통은 일정한 자리가 있는데 이것은 형체가 있는 덩어리[積]가 있기 때문이다.
담음과 식적과 어혈이 서로 모이지 않고서는 어떻게 이렇게 되겠는가?
만약 형체가 없는 기가 아프게 한다면 배 전체로 돌아다닐 것이고,
전신으로 흩어져 퍼질 것이다(단심).
治法大要, 以流行踈利爲先.
毋曰, 腎虛得病, 不敢踈泄.
盖腎爲邪氣所干, 若不逐去病根, 病何由愈.
倘或姑息補住, 使大小府秘而不通, 邪氣入腹衝心, 危殆必矣[直指].
치료법의 큰 줄기는 잘 흐르게 하고[流] 잘 돌게 하고[行] 잘 소통시키고[踈]
잘 나가게 하는 것[利]을 우선으로 한다.
신허하여 생긴 병이니 함부로 소설시키지 말라고 하여서는 안 된다.
신(腎)이 사기의 침범을 받았는데 만
약 병의 뿌리를 뽑아내지 않으면 무슨 수로 병이 낫겠는가?
늘 하던 대로 보하기만 하면 대장과 소장을 막히게[秘澁] 하여
대소변이 통하지 않게 되니,
사기가 뱃속으로 들어가 심(心)을 치받아 반드시 위태로워진다(직지).
凡疝痛走注無形者, 屬氣也.
痛有常處而有形, 乃濕痰食積瘀血也[入門].
일반적으로 산통이 돌아다니고 형체가 없는 것은 기병(氣病)에 속한다.
아픈 데가 일정하고 형체가 있는 것은 습담과 식적과 어혈 때문이다(입문).
此疾雖因虛而得, 不可以虛驟補.
經云, 邪之所湊, 其氣必虛, 留而不去, 其病卽實, 故必先滌去所蓄之邪, 然後補之.
諸藥多借巴豆氣者, 盖爲此也[本事].
이 병은 비록 허해서 생긴 것이지만 허한 것을 급하게 보해서는 안 된다.
내경에 "사기가 들어간 곳은 그 기가 반드시 허하다"고 하였는데,
사기가 머물러 없어지지 않으면 이 병이 실해지므로
반드시 먼저 사기가 쌓인 것을 몰아내 없애고 나서 보한다.
여러 처방들이 파두의 기를 빌려오는 것은 대체로 이 때문이다(본사).
疝有挾虛而發者, 其脈不甚沈緊, 而豁大無力者, 是也.
其痛亦輕, 惟覺重墜牽引耳. 當以蔘朮爲君, 踈導藥佐之.
踈導卽桃仁山査枳實梔子茱萸川練玄胡索丁香木香之類, 是也[丹心].
산병에는 몸이 허한 틈을 타서 생기는 것이 있는데, 맥이 심하게 침긴하지 않고
활대무력(豁大無力)한 것이 이것이다.
그 아픔도 심하지 않아 무겁게 처지고 당기는 느낌이 있을 뿐이다.
마땅히 인삼과 백출을 군약으로 하고, 소도약을 좌약으로 하여야 한다.
소도하는 약은 도인, 산사, 지실, 치자, 오수유, 천련자, 현호색, 정향, 목향 같은 것들이다(단심).
諸疝, 以手按之大痛者, 爲實, 不痛者, 爲虛[丹心].
모든 산병에서 아픈 곳을 손으로 눌러서 많이 아픈 것은 실한 것이고
아프지 않은 것은 허한 것이다(단심).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疝藥][수산약] (0) | 2020.03.26 |
---|---|
[寒疝藥][한산약] (0) | 2020.03.26 |
[疝病證候][산병증후] (0) | 2020.03.26 |
[㿉疝][퇴산] (0) | 2020.03.26 |
[狐疝][호산]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