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聾][허롱]
因久瀉, 或大病後, 風邪乘虛入耳, 與氣相搏, 嘈嘈而鳴, 或時眼見黑花,

宜四物湯 方見血門, 加知母黃柏 並鹽酒炒 菖蒲遠志, 水煎服.

或腎氣丸 方見虛勞, 加磁石破故紙兔絲子黃柏, 空心鹽湯呑下.

오랜 설사나 큰 병을 앓고 난 뒤에 풍사가 허한 틈을 타 귀로 들어가서

정기와 서로 맞부딪치면 시끄러운 소리가 나고 때때로 눈에 흑화(黑花)가 보인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 황백(둘 다 소금을 탄 술에 축여 볶은 것),

석창포, 원지를 더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

또는 신기환(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자석, 파고지, 토사자, 황백을 더 넣어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若勞役脫氣者, 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加 菖蒲, 白茯苓, 黃柏, 知母 並鹽水炒, 煎服[入門].

과로하여 기가 다 빠진 사람은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석창포, 백복령,

황백, 지모(황백과 지모는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外形篇] > [耳]'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厥聾][궐롱]   (0) 2020.02.03
[勞聾][노롱]   (0) 2020.02.03
[濕聾][습롱]  (0) 2020.02.03
[風聾][풍롱]   (0) 2020.02.03
[耳聾][이롱]  (0) 2020.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