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血治法][통혈치법]
胞脉閉, 月事不來, 先服降心火之劑, 宜三和湯, 玉燭散, 次服五補元 方見虛勞,
後以衛生湯補脾養血.
포맥이 막혀 월경이 나오지 않으면 먼저 심화(心火)를 내리는
삼화탕, 옥촉산을 쓰고 그 다음에 오보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먹는다.
그런 다음 위생탕으로 비(脾)를 보하고 혈을 기른다[養血].
二陽之病, 月事不來, 先瀉心火, 血自下, 亦用上藥[潔古].
두 양[二陽]의 병으로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먼저 심화를 내리면 월경이 저절로 나온다.
이때도 앞의 약을 쓴다(결고).
氣上迫肺, 月事不來, 宜導痰降火, 則心氣下通, 而月事來, 宜通經湯[丹心].
기가 올라가 폐를 압박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은 담을 끌어내리고[導痰]
화(火)를 내리면 심기(心氣)가 아래로 통하여 월경을 하는데, 통경탕을 쓴다(단심).
先賢治血閉之法, 皆主於補血瀉火.
補血者四物湯, 瀉火者調胃承氣湯, 卽玉燭散也[綱目].
선현들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모두 혈을 보하고 화(火)를 내리는 방법을 썼다.
혈을 보하는 데는 사물탕을, 화(火)를 내리는 데는 조위승기탕, 즉 옥촉산을 쓴다(강목).
胃弱血枯經斷, 宜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加 川芎, 生地黃, 天花粉.
위(胃)가 약하고 혈이 말라서 월경이 끊어진 데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천궁, 생지황, 천화분을 더 넣고 쓴다.
正半産後失血多經閉, 宜十全大補湯 方見虛勞[入門].
아기를 낳거나 유산으로 출혈을 많이 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濕痰粘住, 經閉者, 導痰湯 方見痰飮 加川芎當歸黃連, 不可服地黃[入門].
습담이 늘어붙어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도담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궁·당귀·황련을 더 넣고 쓰며, 지황은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室女勞心血閉, 宜柏子仁丸, 澤蘭湯[良方].
처녀가 노심초사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백자인환, 택란탕을 쓴다(양방).
氣血盛實, 經血遏閉者, 宜萬痛丸, 血極膏[入門].
기혈이 너무 왕성하여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데는 만통환, 혈극고를 쓴다(입문).
血海疼痛, 宜烏藥湯[東垣].
혈해(血海)가 아픈 데는 오약탕을 쓴다(동원).
血閉通用增味四物湯, 導經丸, 瑞金散, 六合湯.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증미사물탕, 도경환, 서금산, 육합탕을 두루 쓴다.
脾胃鬱火耗血不通, 宜歸脾湯方見神門.
肝脾鬱怒, 血傷不通, 宜加味歸脾湯[良方].
비위(脾胃)에 화(火)가 몰려 혈이 마르고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귀비탕(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쓰고,
간(肝)과 비(脾)에 성낸 기운이[怒] 막혀 혈(血)이 상하고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가미귀비탕을 쓴다(양방).
'[內景篇] > [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結成瘕][혈결성가] (0) | 2019.12.09 |
---|---|
[室女月經不行][실여월경불행] (0) | 2019.12.09 |
[血閉][혈폐] (0) | 2019.12.09 |
[調血治法][조혈치법] (0) | 2019.12.09 |
[月候不調][월후부조]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