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泣][읍]
難經曰, 腎主液, 入肝爲泣.
난경에서는 "신(腎)은 액(液)을 주관하는데 간에 들어가면 눈물이 된다"고 하였다.
黃帝曰, 人之哀而泣涕出者, 何氣使然.
岐伯曰, 心者五藏六府之主也, 目者宗脈之所聚也, 上液之道也, 口鼻者氣之門戶也.
故悲哀愁憂則心動, 心動則五藏六府皆搖, 搖則宗脈感,
宗脈感則液道開, 液道開則泣涕出焉.
液者所以灌精濡空竅者也,
故上液之道開則泣, 泣不止則液竭,
液竭則精不灌, 精不灌則目無所見矣, 命曰奪精[靈樞].
황제가 "사람이 슬퍼하여 눈물과 콧물이 나는 것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하는 것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심(心)은 오장육부를 주관하고, 눈은 종맥이 모인 곳이고 액이 올라가는 길이며,
입과 코는 기가 드나드는 곳이다.
그러므로 슬퍼하거나 근심하면 심이 움직이고 심이 움직이면 오장육부가 모두 흔들리고
오장육부가 흔들리면 종맥이 감응하고 종맥이 감응하면 액이 흐르는 길이 열리고
액이 흐르는 길이 열리면 눈물과 콧물이 나온다.
액이라는 것은 정(精)을 대주어서 공규(空竅)를 축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액이 올라가는 길이 열리면 눈물을 흘리며 울고,
울음이 그치지 않으면 액이 말라 없어지게 되고,
액이 말라 없어지게 되면 정을 공급해주지 못하고,
정이 공급되지 않으면 눈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 탈정(奪精)이라고 부른다(영추).
又曰, 五藏六府之津液盡上滲于目,
心悲氣並則心系急, 心系急則肺擧, 肺擧則液上溢.
夫心系與肺不能常擧, 乍上乍下, 故咳而泣出矣[靈樞].
오장육부의 진액이 모두 위로 올라가 눈으로 스며드는데,
심의 기와 슬퍼하는 기운이 다투면 심계(心系)가 당기고[急],
심계가 당기면 폐가 들리고[擧], 폐가 들리면 액이 위로 올라 넘치게 된다.
심계와 폐는 늘 들려 있지 못하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그러므로 기침을 하면 눈물이 나오는 것이다(영추).
老人膽汁慳, 哭則無淚, 笑則有淚, 火盛水虧也.
故膽熱者亦流淚[入門].
노인은 담즙(膽汁)이 적어서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고 오히려 웃을 때 눈물이 나오는데,
이것은 화(火)가 성하고 수(水)가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담(膽)에 열이 있어도 또한 눈물을 흘린다(입문).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涎][연] (0) | 2019.11.08 |
---|---|
[涕][체] (0) | 2019.11.08 |
[積氣生液][적기생액] (0) | 2019.11.07 |
[禁忌][금기] (0) | 2019.11.07 |
[汗出凶證][한출흉증] (0) | 2019.11.07 |